HD현대로보틱스가 각종 공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협동 로봇을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 전시부스에 내놔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SMATOF 2023은 이달 17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를 맡고,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산업 전시회다. 18회째를 맞은 올 전시회에는 110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HD현대로보틱스는 협동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제조 산업 혁신에 기여한다는 비전을 보유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빈피킹·디버깅·스폿 용접 등 공정에 활용되는 협동로봇 3종을 포함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SDK) 개방화를 통해 사용자가 설비 및 공정에 맞게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자사 전략도 함께 소개했다. HD현대로보틱스 전시 부스에서 시연 중인 ‘HH020’, ‘HS220’, ‘HH7’은 각각 디버깅, 용접 스폿, 빈피킹 공정에서 활약한다. 특히 HH7은 비전 기술과 연동해 티칭 프로세스를 생략하고 빈피킹 공정을 수행하는 HH7 모델이다. HD현대
SMATOF 2023, 이달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서 개최... 100개사 400개 부스 규모 로봇산업 및 3D프린팅 특별관, 창원시 투자유치·디지털혁신 플러스관 등 전시장 구성 콘퍼런스·네트워킹 DAY·수출상담회 등 부대행사도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과 동시에, 제조 산업에서의 자동화 실현이 산업 내 화두다. 로보틱스·3D프린팅·소프트웨어·금형·가공 및 성형·공구 등 분야 혁신 및 융합 기술이 자동화와 만나 제조 산업의 미래로 평가받는다. 이에 작게는 기관 및 업체에서부터 국가 차원의 자동화 혁신 전략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 배경에서 우리나라 경상남도 창원은 오랜 기간, 항공우주·해양플랜트·기계·자동차 등 산업 분야의 기반 및 인프라를 확보한 중공업 산업의 중심 지역이라 평가받는다. 그 중심에는 공장이 있는데, 창원시에 따르면 최근 몇년 동안 2000여 개 이상의 창원 내 기존 산업 공장이 스마트 팩토리 전환에 성공했다. 장금용 창원시 제1부시장은 “창원시는 최근 부각되는 첨단 산업 내 제조 공정 전주기에 걸친 자동화 및 스마트 팩토리 전환을 상당 부분 완수했다”며 “기계산업이 디지털화되는 대전환의 길목에서 많은 산업 관계자 및 기관의
17일, SMATOF 2023 전시회 부대행사로 열린 FactoryCon에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안광현 단장이 기조강연으로 ‘제조현장 디지털화 및 고도화 촉진 방안’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 창원컨벤션센터, 첨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경남로봇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서 111개사 4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통한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외 기업들의 전략과 사례를 들을 수 있는 ‘FactoryCon’은 첫째 날은 안광현 단장의 기조발표에 이어 △LS일렉트릭 김재신 실장, △한국생산성본부 이정철 팀장, △스트라타시스 김대경 엔지니어가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통한 제조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발표가 있었으며, 둘째 날은 ‘제조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전환’을 주제로 업계 전문가들의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이달 17일 열린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 주최기관 창원시의 장금용 제1부시장이 SMATOF 2023 참가업체 전시 부스에 방문해 메타버스 기술을 시연 중이다. SMATOF 2023은 이달 17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를 맡고,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산업 전시회다. 18회째를 맞은 올 전시회에는 110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한편, SMATOF 2023은 FA솔루션·제어 및 계측·센서 및 비전·소프트웨어·물류 솔루션·로봇·3D 프린팅·금속 등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소개한다. 여기에 로봇산업 특별관, 창원시 디지털 혁신 협력관, 3D 프린팅 특별관, 푸드TECH 라운지 등 특별관도 구성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이달 17일 전시회 주최기관 창원시의 장금용 제1부시장을 비롯해, 김당주 경남로봇산업협회 회장, 서종휘 한화로보틱스 대표, 이소우 한국지멘스 상무, 이창훈 HD현대로보틱스 산업용로봇영업 본부장, 유세현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본부장, 조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 연구원장, 이길선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전무, 김정권 (주)첨단 부사장, 박병규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장, 권영근 코엑스 신사업개발실장 등 전시회관계 내빈이 참가업체 부스에 방문했다.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은 이달 17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를 맡고,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산업 전시회다. 18회째를 맞은 올 전시회에는 110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한편, SMATOF 2023은 FA솔루션·제어 및 계측·센서 및 비전·소프트웨어·물류 솔루션·로봇·3D 프린팅·금속 등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소개한다. 여기에 로봇산업 특별관, 창원시 디지털 혁신 협력관, 3D 프린팅 특별관, 푸드TECH 라운지 등 특별관도 구성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이달 17일 열린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 주최기관 창원시의 장금용 제1부시장이 SMATOF 2023 개막식 자리에서 환영사를 진행하고 있다. SMATOF 2023은 이달 17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를 맡고,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산업 전시회다. 18회째를 맞은 올 전시회에는 110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한편, SMATOF 2023은 FA솔루션·제어 및 계측·센서 및 비전·소프트웨어·물류 솔루션·로봇·3D 프린팅·금속 등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소개한다. 여기에 로봇산업 특별관, 창원시 디지털 혁신 협력관, 3D 프린팅 특별관, 푸드TECH 라운지 등 특별관도 구성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마크텍코리아가 SMATOF 2023에서 산업용 레이저 마킹기 ‘Handheld Laser Marking Machine, ‘Desktop Laser Marking Machine', 'Mini split Laser Marking Machine' 등을 선보였다. 마크텍코리아는 일본 상장 업체인 Alconix Corporation의 한국 투자법인으로, 철강 및 자동차 산업에 마킹(레이저, 타각기) 및 비파괴 검사 자동화 설비를 제작/공급하는 산업용 마킹 시스템 전문 업체다.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은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며, 스마트 제조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 공급업체들이 대거 참가해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 기술을 선보이며 선도기업의 신기술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마크텍코리아가 선보인 ‘Mini split Laser Marking Machine’은 20W, 60W의 출력으로 마킹 범위는 100×100mm이며 옵션으로 300×300mm까지 가능하다. 이 제품은 헤드 스탠드, Operation Table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동화 설비 통신 적용이 가능하다. 그 외 ‘Handhel
SMATOF 2023에서 더싸인은 Bruker Alicona사 비접촉 광학식 3차원 측정기 'InfiniteFocus SL'를 선보였다.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은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며, 스마트 제조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 공급업체들이 대거 참가해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 기술을 선보이며 선도기업의 신기술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더싸인이 선보인 InfiniteFocus SL은 Focus Variation 기술 기반 광학식 3차원 측정기로, ISO 4287·4288·25178 등 표면거칠기 측정 규격이 갖춰진 기술이다. 이 제품은 형상과 표면거칠기를 단 한 대의 설비에서 측정 가능하고 높은 콘트라스트와 초점심도의 컬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우수한 구조와 특화된 조명 제어 기술로 신속하고 고분해능의 데이터를 만들 수 있어 연구소와 생산 현장에 적합하다. 한편, 창원컨벤션센터, 첨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경남로봇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서 111개사 4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할더룀헬드코리아가 SMATOF 2023에서 쉽고 빠르고 견고하며 안전한 나사산 리프팅 핀과 볼 리프팅 핀을 선보였다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은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며, 스마트 제조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 공급업체들이 대거 참가해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 기술을 선보이며 선도기업의 신기술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할더룀헬드코리아가 선보인 리프팅 핀은 일반 아이볼트와는 다르게 빠르게 체결할 수 있으며 높은 하중도 충분히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무엇보다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최대한 보장한다. 특히, 나사산 리프팅 핀은 버튼을 눌러 나사산 부위에 쉽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하중을 처리할 때 상당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창원컨벤션센터, 첨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경남로봇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서 111개사 4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통한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외 기업들의 전략과 사례를 들을 수 있는 ‘FactoryCon’, 지멘스
계측 센서 전문기업 히스코센서가 SMATOF 2023에서 온도·압력 전송기 신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은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며, 스마트 제조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 공급업체들이 대거 참가해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 기술을 선보이며 선도기업의 신기술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히스코센서가 이번 전시회에서 T200 Series 온도전송기, P400 Series 압력전송기, LS400 Series 레벨스위치, P206 Series FND지시형 압력전송기, T300 Series 온도전송기, P603 Series 차압전송기, P601 Series 압력전송기 등을 소개하며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한편, 창원컨벤션센터, 첨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경남로봇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서 111개사 4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통한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외 기업들의 전략과 사례를 들을 수 있는 ‘FactoryCon’, 지멘스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과 디지털 비즈니스를
협동로봇 기업 뉴로메카가 지난 11일 오스트리아의 글로벌 로봇 산업 자동화 솔루션 기업 케바(KEBA)와 산업용 로봇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날 행사는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와 케바 Schatz Markus 대표가 참석, 뉴로메카의 서울 본사에서 진행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산업용 로봇 사업 분야에서 협력해 △산업용 로봇 시스템 개발, △산업 현장 자동화 공정 발굴, △신사업 모색을 함께 추진한다. 케바는 산업용 로봇 제어기에 적합한 다양한 서보드라이브를 개발하고, 뉴로메카는 산업용 로봇 제어기를 개발하고, 제어고도화를 추진하며, 뉴로메카의 협동형 산업로봇 아이콘(ICON) 및 델타로봇 라인업에 이를 적용한다. 또한 케바의 신사업인 전기차 자동충전 시스템 사업 분야의 협력을 진행, 글로벌 사업기회 모색을 함께 추진한다.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는 “양사의 로봇 제어 기술을 통합하여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며.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케바 로봇제어기의 높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고중량물의 핸들링이 요구되는 철강 자동화 등의 로봇 자동화 공정에서 신사업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케바 Schatz Marku
뉴빌리티는 '제5회 국제치안산업대전'에 참가해 자율주행 배달 로봇과 자율주행 순찰 로봇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2019년부터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국제치안산업대전은 치안산업 육성과 치안환경 변화 대응을 위해 국내외 기업이 보유한 치안 관련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고 수출과 연계하는 행사로, 국내 최초 치안 산업 전문 B2B전시회이자 경찰청이 주최하는 전시회다. 경찰청 교통국 통합 부스 내 전시 예정인 뉴빌리티는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을 통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복잡한 도심지 주행이 가능한 배달 로봇과 정해진 순찰구간을 자율주행하며 경비요원들의 업무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순찰 로봇 등을 직접 선보인다. 한편, 전시회 기간 중인 19일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을 시작으로 11월 17일에는 지능형로봇법 개정안 시행 등 실외 이동 로봇이 보행로를 합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이 본격적으로 열린다. 뉴빌리티는 이런 규제 해소에 맞춰 기존 자율주행 기술에 더해 신호등 상태 정보 등을 활용, 과밀하고 복잡한 도심지 교통환경에서 한층 안전하게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관련한 기술개발 고도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시회 기간 중에는 로봇이 신호등을 인지하고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데이터 수집·통합·분석으로 실시간 시스템 모니터링 및 운영 기능 제공 달리웍스가 지난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3 AIoT 국제전시회에 참가해 자사가 개발한 IoT 플랫폼 '씽플러스(Thingplus)'를 소개했다. 달리웍스는 AIoT 기술로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디지털 전환이 기업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며, AIoT는 디지털 업무 환경 구현 및 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손꼽힌다. 달리웍스의 씽플러스는 다양한 종류의 IoT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장비 연결을 지원하며, 데이터 수집·통합·분석으로 실시간 시스템 모니터링 및 운영 기능을 제공한다. 씽플러스는 하드웨어를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연결하고 SaaS 방식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손쉽게 IoT 기술을 도입하도록 돕는다. 이와 함께 클라우드 기반 서버는 안정성과 확장을 지원하며, AI 기반 분석 및 예측 모델 제공으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 운영 자동화, 리포트 자동 생성 등 업무 효율 증대 및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씽플러스는 반응형 웹으로 제작돼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며,
다양한 공간에 따른 업무 방식과 정책 고려해 효율적인 공간 운영에 초점 맞춰 동아피엠이 지난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3 AIoT 국제전시회에 참가해 자사의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선보였다. 동아피엠의 스마트워크 서비스는 몇 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스마트오피스 플랫폼은 여러 업종과 규모의 고객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공간에 따른 업무 방식과 정책을 고려해 효율적인 업무공간 운영과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SaaS 클라우드 플랫폼은 자율 좌석 예약 시스템과 회의실 예약 시스템 중소기업용으로 구축된다. 워케이션 플랫폼은 휴가지에서 일하며 휴식을 취하는 하이브리드 업무방식에 이점을 가진 워케이션 오피스다. 플랫폼 구축 시 조건에 맞는 예약부터 편리한 IoT 장비 연동과 통합 운영이 가능하다. 동아피엠의 스마트워크 플랫폼은 키오스크, 웹, 모바일, 월패드, 전자명패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성돼 있다. RFID, 안면, 홍채, 지문과 같은 바이오 인증을 포함한 여러 인증 시스템을 정책 및 업무 환경에 고려해 구축한다. 동아피엠은 무엇보다 사람과 공간 ICT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인 협업과 소통이 가능한 업무환경을 만드는데 주력하
초거대 AI 클라우드 및 거대 언어 모델(LLM) 갖춘 차세대 온보드 엣지 AI 로봇 플랫폼 개발에 협력키로 로보틱스 플랫폼 업체 인티그리트와 AI 반도체 업체 퓨리오사AI가 ‘온보드 엣지 AI 로보틱스 플랫폼’ 공동 개발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온보드 엣지 AI 로보틱스 플랫폼은 이동형 로봇 및 고성능 모빌리티 구현을 위한 기술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에 AI 전용 칩셋과 구동 환경이 통합된 제어보드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인티그리트 5G 기반 로봇 플랫폼과 퓨리오사AI 비전 AI 및 언어모델 전용 프레임워크를 HW/SW 환경에 통합한다. 인티그리트에 따르면 해당 플랫폼을 통해 현장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공·분석·추론하는 등으로 AI 지원 AMR 시스템, 스마트 모빌리티 구현이 가능하다. 또 각종 오픈소스 환경에서 모듈식 구성요소를 활용하고, 맞춤형 하드웨어 및 AI 시스템을 구축해 서버, 엣지 장치에 적용하거나 배포할 수 있다. 양사는 1세대 신경망 처리장치(Neural Prosessing Unit 이하 NPU)를 로보틱스 플랫폼에 통합한 온보드 엣지 AI 로봇 플랫폼 ‘에어패스 F1’을 발표한 데 이어, 퓨리오사 AI 2세대 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