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근무나 수업의 일상화로 스마트폰, 디지털 기기 등의 사용시간이 늘면서 시력 저하를 호소하는 이들이 있다.
안과 전문의들은 시력교정술을 받으면 안경과 렌즈 등 교정장치 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증가하지만, ‘근시퇴행’과 같은 후유증이 걱정되기도 한다고 지적한다.
이들에 따르면 근시퇴행은 각막을 깎아내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의 레이저 시력교정수술을 받은 후 각막이 다시 원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커지면서 회복 과정에서 시력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 전문의는 “이 같은 부작용이 우려되면 각막을 그대로 보전하면서 시력만 교정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ICL렌즈삽입술의 경우 홍채 뒤쪽에 생체 친화적인 재질로 만들어진 맞춤형 특수렌즈 EVO ICL을 삽입하는 방식의 시력교정술”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렌즈삽입술이 짧은 회복기간과 근시퇴행, 각막확장증, 안구건조증, 빛 번짐 등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고 덧붙였다. 또 각막과 수정체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데다 부작용이 나타난다 하더라도 삽입했던 인공렌즈를 제거하기만 하면 언제든 수술 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고 했다.
GS안과 김정섭 원장(시력교정센터장)은 “ICL렌즈삽입술은 올바른 렌즈 선택이 필요하다”며 “환자마다 안구, 시력 상태가 모두 다른 만큼 자신에게 적합한 렌즈를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정섭 원장은 “수술에 사용되는 렌즈가 개인의 눈 조건보다 작거나 크면 안구 내 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방수의 흐름을 막아 백내장 또는 녹내장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체계적인 검안 시스템이 갖춰진 병원에서 사전에 눈 상태를 꼼꼼하게 파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