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전방십자인대파열, 계단 오르내릴 때 무릎 불안정할 수도”

URL복사

무릎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물인 십자인대는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이어주는 조직이다. 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 두 가지가 있으며 이들은 서로 교차되어 관절을 잡아주고 있다. 


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다리가 비틀리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꺾어지는 등 무릎에 강한 충격을 받으면 조직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관련 전문의들에 따르면 전방십자인대는 후방십자인대에 비해 비교적 약한 편이어서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은 크게 접촉성과 비접촉성 외상으로 구별하는데, 비접촉성 외상에 의한 손상이 80%가 넘게 나타난다고 설명한다.


비접촉성 외상은 대체로 점프 후에 잘못된 자세로 착지했거나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몸을 틀어 방향을 전환했거나 급격한 감속, 외반력, 과신전 등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순간 ‘투두둑’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무릎에 통증이 느껴진다. 그렇지만 통증이 빠르게 가라앉는 경우도 있어 단순 염좌나 타박상으로 오인하고 부상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이들 전문의는 말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파열은 MRI 촬영과 같은 정밀검사로 인대의 파열 정도를 파악하고 동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무릎 관절이 불안정하지 않은 비교적 가벼운 손상은 수술이 아닌 물리치료나 주사 요법, 보조기 착용 등의 비수술적 치료 방식을 적용한다”면서 “하지만 전체 전방십자인대의 절반 이상이 파열되었거나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완전파열이 발생했다면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전방십자인대파열 재건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에 파열이 생기면 무릎에 통증이 느껴지는 증상 외에도 무릎이 붓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면 주변 구조물에도 악영향을 끼쳐 무릎연골에도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무릎에 충격을 받은 후에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