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전기차 시대 조기개막 위한 미래차 분야 범정부 전략 마련

URL복사
[무료 웨비나] 빠르고 직관적인 강력한 아날로그 시뮬레이션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 왜 주목받고 있을까요?? (5/23)

[첨단 헬로티]

정부는 최근 판교 기업지원 허브에서 자동차 관련 산․학․연 관계자 50여명과 함께 ‘미래차 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산업부는 전기·자율차 등 미래차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했다.


국토부는 2020년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와 2022년 완전자율주행 기반 마련을 위한 구체적 실천계획인 「자율주행 스마트교통시스템 구축방안」을 보고했다. 


우선, 전기차의 약점인 주행거리와 충전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1회 충전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500km 이상) 문제없이 달릴 수 있는 500km 이상 전기차와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충전기술(슈퍼차저)을 개발한다. 급속 충전소도 대형마트 등 주요 이동거점을 중심으로 매년 1,500기씩 설치해 ‘22년에는 전국 주유소(1만2천개)와 비슷한 수준인 1만기까지 확충한다.


금년 전기차 구매 보조금 조기 소진 시 추가 예산 확보를 추진하는 한편, 내연차와 가격차를 감안해 ‘22년까지 보조금 제도를 유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환경개선 효과가 큰 버스, 택시, 소형트럭 등을 전기차로 집중 전환을 추진한다. 금년 중 5개 내외의 지자체를 선정, ’19년부터 연평균 10%씩 교체해 ’30년까지 100% 전기차로 전환한다. 아울러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전기차 저장에너지를 전력망에 연결하는 사업(V2G, Vehicle to Gird) 등 전기차 기반 서비스 실증도 올해부터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자율주행 기술력 확보를 위해 핵심부품 국산화, 전문인력 양성, 표준화를 추진한다.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라이다, 영상센서 등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고, 5G 기반 자율주행 통신기술도 개발한다. 석박사급 연구개발(R&D) 전문인력 양성 규모를 작년 4개 대학에서 올해 7개 대학으로 확대하는 한편, 자율주행 국가표준도 ’17년 93종에서 ’21년 200종까지 확대하고, 국제 표준 논의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시험대(테스트베드) ‘케이-시티(K-City)’를 올해 내로 완공하여 국내외에 개방한다. 초고속·대용량 5G 통신시설을 함께 구축하며, 향후 눈·비·안개 등 기상재현시설도 설치해 케이-시티(K-City)를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다양한 상황·환경의 주행정보를 공유하는 데이터센터도 올해 내로 구축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딥러닝 기술개발을 촉진한다.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중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자율주행 시승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6월에는 서울 영동대로·강남운전면허시험장에서 자율주행차의 면허시험코스 통과 및 자율협력주행 시연·시승행사를 열고, 10월부터 인천공항 제2터미널부터 장기주차장을 연결하는 자율주행 셔틀버스도 시범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올해 10월 대학생 자율차 경진대회를 실제 도로에서 개최하고, 자율주행 택배(20년), 교통약자 호출·이동 서비스(21년) 등 다양한 서비스 모델 실증도 착수한다. 국가 연구개발(R&D)를 통해 올해부터 2021년까지 자율주행을 활용한 새로운 교통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개발·실증한다.


올해는 서울대 캠퍼스 내에서 자율주행 관제․운영시스템을 실증하고, ’19년에는 경부·영동고속도로에서 트럭 군집주행을 시연한다. 또한 ’20년에는 세종시(스마트시티) 등에서 미니셔틀버스를, ’21년에는 수도권·고속도로 등에서 자율주행버스를 운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1월 「규제 혁신 토론회」를 통해 발표한 바와 같이 시험운행허가 간소화 등 자율차 규제혁신 과제를 조속히 추진하고, 상용 필요한 안전기준·보험제도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22년까지 향후 5년간 미래차 분야에 민관합동으로 35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며, 올해 전기·자율주행차, 초소형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등 미래차 분야에서 3,5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