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리서치는 25일 씨이랩을 엔비디아 GPU 도입 확대에 따른 최대 수혜주로 평가하며, AI 인프라 사업을 중심으로 Vision AI와 디지털 트윈 분야에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씨이랩은 ‘Seeing the Unseen: Vision AI’라는 슬로건 아래,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데이터를 AI로 가시화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다. 주요 사업 분야는 AI 인프라, Vision AI, 디지털 트윈으로 구분되며, GPU 활용률을 50% 높이고 AI 환경 구축 시간을 95% 단축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 ‘AstraGo(아스트라고)’를 비롯해 영상 분석 기반 Vision AI, NVIDIA Omniverse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재모 아리스 리서치 연구원은 “씨이랩은 AI 인프라 사업에서 엔비디아 Preferred Partner 인증을 기반으로 GPU 활용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AI 인프라 부문에서 2025년 3분기 기준 누적 220여 개 라이선스를 발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Vision AI는 CCTV 영상 분석과 이상 징후 탐지 기능을 중심으로 제조·건설·교통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 중이며, 교통 혼잡도 분석 솔루션을 기반으로 일본 시장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연구원은 “디지털 트윈 사업은 반도체 공장에서 3년 연속 수주에 성공하며 전년 대비 289% 성장했으며, 향후 스마트팩토리와 자율주행 로봇 등 제조업 전반으로 피지컬 AI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적 전망에 대해서는 “씨이랩은 2026년 매출 150억 원과 영업이익 10억 원(연결 기준)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8년에는 매출 500억 원 돌파와 영업이익률 20~30%를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국내 GPU 도입 속도와 정부 AI 산업 정책 변화가 주요 체크 포인트이며, Vision AI와 디지털 트윈의 고성장이 씨이랩의 중장기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