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전 국민 과학문화 시대 연다...KAIST, 참여형 과학·AI 교육 확대

URL복사

 

KAIST는 정부의 과학문화 확산 정책에 발맞춰 과학 대중화를 기반으로 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과학교육나눔(KSOP)’, ‘OPEN KAIST’, ‘일반인을 위한 KAIST형 IT·AI 사관학교’를 운영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KAIST는 이를 통해 미래 과학기술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과학문화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광형 총장은 “KAIST는 ‘과학기술로 인류와 사회에 기여하는 대학’이라는 사명 아래 교육 나눔을 통한 기회의 사다리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 과학기술을 넘어 따뜻한 과학, 포용적 교육, 지속 가능한 과학문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사회와 소통하며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과학영재교육연구원에서 운영하는 KSOP는 사회적 배려 대상 청소년 가운데 수학·과학 분야 잠재력을 지닌 학생을 선발해 KAIST 재학생·대학원생이 직접 멘토링을 제공하는 대표 과학나눔 프로그램이다. 2015년 250명으로 시작해 2022년부터 연 1000명 규모로 확대됐으며, 2025년까지 누적 약 8000명이 참여했다. 졸업생의 70% 이상이 이공계로 진학하는 성과를 냈고, 졸업생이 다시 멘토로 참여하는 지식 환류 구조도 자리 잡았다.

 

대전·세종·화성뿐 아니라 제주·목포·안동 등 소외지역에서도 창의과학 교육 봉사를 진행해 지역 간 교육격차 완화에도 기여했다. 특히 멘티 학생이 다시 초등학생을 지도하는 프로그램은 KAIST의 과학문화 확산을 상징하는 대표 사례로 꼽힌다. 학부모 설명회·가족캠프·상담 지원 등 가정 단위 프로그램도 운영해 학생의 정서와 진로 지원을 강화했다. 2025년에는 다섯 번째 가족캠프가 개최되며 참여 폭이 더욱 확대됐다.

 

졸업생과 멘토들이 중심이 된 ‘KSOP FRIENDS’는 장학·멘토링·기부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민 참여형 소액 정기기부 프로그램인 ‘키다리 아저씨 프로젝트’로 확장·발전하고 있다.

 

연구실과 캠퍼스를 시민에게 격년으로 개방하는 KAIST 대표 과학문화 행사 OPEN KAIST는 2025년 방문객이 2023년 대비 4배 이상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랩투어는 사전 대기 인원이 몰릴 정도로 큰 관심을 받았다.KAIST는 많은 관람객으로 일부 참여가 어려웠던 점을 고려해 앞으로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운영을 보완할 계획이다.

 

군 장병을 위한 ‘KAIST IT 아카데미’는 AI·전산·프로그래밍 기초를 실습 중심으로 교육하는 비학위 프로그램으로, KAIST 대학원생 강사진이 참여한다.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방식으로 운영되며 연간 약 1000명의 교육생이 참여한다.

 

비학위 SW 교육과정인 ‘SW 사관학교(정글)’은 2021~2024년 누적 308명이 수료하며 청년 SW 인재 양성의 대표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주요 취업처는 네이버, 크래프톤, 팀스파르타, 니어스랩, 우아한형제들 등이다. 정글은 실습 중심 프로그래밍 교육, 현업 개발자 멘토링, 기획·설계 피드백을 제공해 즉시 실무 투입 가능한 개발자를 양성한다.

 

정글 프로그램의 성과를 기반으로 2022년 크래프톤이 ‘크래프톤 정글’을 출범해 운영하고 있다. 이는 KAIST 출신 장병규 의장이 설립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으로, KAIST 인재양성 모델이 민간으로 확산된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KAIST는 2025년 청소년 과학·수학·AI 탐구 프로그램인 ‘주니어 KAIST’를 출범하며 미래 인재 플랫폼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KAIST는 앞으로도 과학기술 기반 사회공헌과 미래 인재 양성을 통해 국가와 함께 성장하는 공공연구대학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