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CJ대한통운, 로봇 ‘두뇌’ RFM 공동개발 돌입…물류 AI 얼라이언스 강화 행보

RFM 통해 로봇의 시각·언어·센서 융합 판단 구현
물류 현장 데이터 기반 고정밀 로봇핸드 기술 개발

URL복사

 

CJ대한통운이 피지컬AI 기업 리얼월드(RLWRLD)와 손잡고 로봇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obot Foundation Model·RFM)’ 공동 개발에 나선다.

 

CJ대한통운은 23일 리얼월드와 ‘물류용 RFM 공동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시드2 라운드 지분 투자에도 참여한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CJ대한통운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CJ대한통운 김정희 TES물류기술연구소장과 이종훈 경영지원실장, 리얼월드 류중희 대표 등이 참석했다.

 

RFM은 로봇이 시각·언어·음성·센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학습해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 모델이다. 디지털 공간뿐 아니라 물리적 공간을 이해하고 행동하는 피지컬AI 기술이 결합되며, 최근 글로벌 테크기업들이 차세대 로봇기술의 핵심으로 주목하고 있는 분야다. CJ대한통운은 이 기술을 물류 현장에 특화해 적용함으로써,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제 작업을 사람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핵심은 사람의 손처럼 섬세하게 물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핸드 제어 기술이다. 피킹·분류·포장 등 고난도 작업은 기존 로봇 자동화가 한계로 지적돼 온 영역으로, AI 기반 RFM을 적용할 경우 물체의 형태·질감·위치 등을 스스로 판단해 인간 손의 동작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다. CJ대한통운은 실제 물류센터의 피킹 패턴, 포장 동작, 분류 방식 등 작업 데이터를 제공해 로봇핸드 기술의 정밀도를 높이고, 현장 실증·상용화까지 함께 추진한다.

 

리얼월드는 한국·일본·미국 등 제조현장에서 수집한 정밀 4D+ 멀티모달 데이터 기반의 로봇 AI 모델 개발 기업으로, 특정 로봇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는 범용 RFM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AWS 글로벌 생성형AI 스타트업 3기에 선정되며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협업으로 CJ대한통운은 하드웨어 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로보티즈, 로봇핸드 기업 에이딘로보틱스에 이어 로봇의 두뇌 역할을 담당할 AI 기술 파트너까지 확보하게 됐다.

 

CJ대한통운은 물류센터 내 자동화 가능한 공정을 발굴하고, RFM 기반 로봇 적용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RFM이 고도화되면 로봇이 복잡한 상품을 스스로 식별하고 집어 올리며, 상황 변화에 따라 작업 방식을 조정하는 ‘자율 운영형 물류센터(Autonomous Fulfillment Center)’ 구현도 가능해진다. 이는 물류 인력난과 처리량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현 산업환경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종훈 CJ대한통운 경영지원실장은 “미래 물류 경쟁력은 단순한 설비가 아니라 얼마나 고도화된 AI 브레인을 갖추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며 “선도적 기술 확보와 전략투자를 통해 AI 물류 생태계의 주도권을 선점하고 자율 운영형 물류센터 구축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