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서울로보틱스, 日 닛산 탁송 공정 무인·자동화 프로젝트 수주 ‘쾌거’

URL복사

 

닛산 그룹 공장 물류 자동화 나서

자율주행 기능 없는 일반 차량도 무인화하는 ‘레벨5 컨트롤 타워’ 공급

 

서울로보틱스가 일본 글로벌 완성차 기업 닛산(Nissan) 그룹 공장 내 물류 자동화 프로젝트를 따냈다.

 

이번 수주는 닛산 공장에서 생산된 완성차를 항만이나 물류 거점으로 이동시키는 ‘탁송’ 과정을 무인·자동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사측은 이 과정에서 자체 기술 ‘레벨5 컨트롤 타워(LV5 CTRL TWR)’를 해당 공장에 도입한다. 이는 기존 숙련된 운전사가 차량에 탑승해 운전하던 이송 과정을 무인화하는 과정이다.

 

레벨5 컨트롤 타워는 공장과 같은 제한된 환경 안에서 운전자나 안전요원의 개입 없이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인프라 기반 인공지능(AI) 솔루션이다. 특히 자율주행 기능이 없는 일반 차량도 원격 제어를 통해 자율주행차처럼 운행하도록 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이미 5년 전부터 상용화돼 운영되고 있다.

 

주목할 점은 기존 규칙 기반 시스템의 한계를 AI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로 개선한 것이 핵심이다. 회사는 지난 8년간 축적한 방대한 산업 현장의 예외 상황(Edge Case) 데이터를 학습한 AI 기술을 고도화해 왔다. 이는 폭설·폭우 등 혹독한 기상 조건에서도 정확한 객체 인식을 구현하며, 수십 대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통합 제어하는 수준에 도달했다.

 

서울로보틱스 측은 국내 AI 기술이 글로벌 자동차 제조 현장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는 수준에 도달했음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자동차 분야 전통 강자인 닛산 그룹이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자율주행 AI 기술력을 선택한 것을 강조한 것이다.

 

회사는 무엇보다 닛산의 연간 글로벌 생산 규모와 직결된 점이 이번 프로젝트의 주목할 점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외화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같이 완성차 생산량과 연동되는 사업 모델은 경기 변동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아울러 이번 프로젝트는 다른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확장에도 강력한 레퍼런스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사는 기술 검증 과정을 거쳐, 수년 내 상용화를 목표로 긴밀히 협력할 전망이다.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는 “본 계약을 통해 현재 논의 중인 다수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의 프로젝트 성사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기여할 우수 인재 영입에 집중하고, 연내 코스닥 상장도 성공적으로 완수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서울로보틱스는 연내 코스닥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을 연구개발(R&D) 투자와 우수 인재 영입 등 장기적 전략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B2B 시장의 완전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고 다양한 자율 로봇 시스템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