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람다256이 퓨어스토리지의 서비스형 스토리지(Storage-as-a-Service, STaaS) 플랫폼 에버그린//원(Evergreen//One™)을 도입하며 블록체인 서비스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퓨어스토리지는 지난 25일 람다256이 블록체인 노드와 데이터 서비스 운영에 있어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사 STaaS 플랫폼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람다256은 블록체인 노드 서비스와 데이터 인덱싱 서비스 ‘노딧(Nodit)’을 제공하며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20개 이상의 퍼블릭 체인 운영 과정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했고 노드 복구 시 스냅샷 기반 디스크 볼륨 복원에 수 일이 소요되는 등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의 제약에 직면했다. 특히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 4개의 노드를 운영해야 했고 스토리지 비용 역시 비례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람다256은 퓨어스토리지 에버그린//원을 도입해 운영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에버그린//원은 SLA 기반으로 성능과 용량을 설정하면 퓨어스토리지가 적합한 스토리지로 자동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구독형 서비스다. 이를 통해 람다256은 스토리지 관리 부담을 줄이고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퓨어스토리지의 무중단 업그레이드 기술은 서비스 운영에 차질 없이 안정성을 보장했다.
성능과 확장성 측면에서도 개선이 있었다. 퓨어스토리지 어레이는 람다256의 블록체인 서비스 특성상 요구되는 높은 성능을 충족했고 급격히 늘어나는 블록체인 수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아울러 퓨어스토리지는 포트웍스(Portworx)와의 통합을 통해 람다256이 운영 중인 쿠버네티스 환경과 원활히 연동되도록 했으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도 운영 중단을 최소화했다. 사용량 기반 과금 체계는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재무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람다256 오재훈 기술연구소장은 “퓨어스토리지 도입으로 스토리지 운영 부담을 줄이고 핵심 서비스 개발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할 수 있게 됐다”며 “SLA 기반 서비스와 무중단 업그레이드는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안정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큰 가치를 주었다”고 말했다.
퓨어스토리지코리아 전인호 지사장은 “블록체인 서비스는 폭발적인 데이터 증가와 높은 복잡성이 특징이며 안정적이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퓨어스토리지 플랫폼을 통해 람다256은 비즈니스 성공의 토대를 마련했을 뿐 아니라 블록체인 업계 전반의 성능 기준을 새롭게 세웠다”며 “퓨어스토리지는 국내 기업들이 자신 있게 세계적 수준의 혁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