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물류업계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혁신의 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CJ대한통운(대표 박근희)이 업계 최초로 AI 휴머노이드 로봇 현장 실증에 돌입하며 물류 자동화 패러다임 전환에 시동을 걸었다.
CJ대한통운은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대표 김병수)와 협력해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를 위한 피지컬 AI(Physical AI)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피지컬 AI는 AI가 디지털 환경을 넘어 현실 세계를 물리적으로 이해·인식하고 행동하는 지능을 의미한다. 협약식은 24일 서울 종로구 CJ대한통운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 김정희 소장과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가 참석해 기술 협력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 9월 중순부터 군포 풀필먼트센터에 로보티즈 휴머노이드 로봇을 배치해 현장 실증을 시작했다. 단순 연구개발 차원을 넘어 상용화 가능성을 직접 검증하는 단계로 우선 상품 포장 라인의 완충재 보충 작업에 투입해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점검 중이다. 이는 단순 반복 업무를 휴머노이드가 대체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기반 운영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례로 꼽힌다.
이번 협력에서 로보티즈는 휴머노이드 하드웨어 개발과 공급을 맡는다. 로봇 관절 모듈, 액추에이터(구동장치), 제어기 등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맞춤 제작이 가능해 각 물류센터 공정 특성에 최적화된 휴머노이드 구현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운영 시스템과 AI 소프트웨어 개발을 담당하며 물류 현장 적용을 위한 데이터 축적과 알고리즘 고도화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은 올해 말까지 실증 사업을 완료한 뒤, 내년부터 주요 물류센터에 순차적으로 휴머노이드를 도입하고 상용화를 본격 추진한다. 김정희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이번 실증은 물류용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분수령”이라며 “휴머노이드 상용화는 결국 데이터 싸움이며 현장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해 AI와 휴머노이드 중심의 새로운 물류 기술 생태계를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CJ대한통운은 또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K-휴머노이드 연합’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는 로봇 기업, 학계, 전문가들이 모인 협의체로 CJ대한통운은 주요 수요기업으로서 기술 실증 및 적용 확대에 기여하며 국내 휴머노이드 산업 발전에도 힘을 보탤 계획이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