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케스트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관하는 ‘클라우드 장애극복을 위한 AI 어시스턴트 기반 운영·관리 자동화 기술개발’ 과제를 수주했다고 5일 밝혔다. 총 사업비는 41.8억 원이며 과제는 2028년 12월까지 3년 6개월간 수행된다.
이번 과제는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장애를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탐지하고 분석·조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AI 어시스턴트가 실시간으로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원인을 설명하며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설명 가능한 AI’ 구현이 핵심이다.
오케스트로는 가상화, 멀티 클라우드 통합 관리,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자동화 도구 등 클라우드 인프라 전반을 아우르는 풀스택 클라우드 기술을 자체 개발해 왔다. 수년간 축적한 AIOps(AI for IT Operations)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로그·메트릭·트레이스 등 대규모 운영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의사결정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AI 어시스턴트 분야에서도 GS 인증 1등급을 획득한 상용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생성형 AI 챗봇 ‘클라리넷(CLARINET)’은 반복적인 운영 업무와 시스템 질의에 자연어로 응답하며, 실시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대화형 솔루션이다.
지식 검색 플랫폼 ‘G-AIDSP’는 자체 검색 지식베이스와 결합된 생성형 AI 플랫폼으로, 할루시네이션을 최소화하고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한다. 두 제품 모두 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성과 비용 효율성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오케스트로는 생성형 AI와 CMP를 결합해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전반을 스스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AI 클라우드 관리 에이전트’ 구현을 지향하고 있다. 이번 과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고도화 단계로, 자율 운영 기능을 실제 환경에서 반복 검증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이를 정교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오케스트로는 데이터센터급 클라우드 운영 환경인 ‘CX Arena’를 자체 구축하고, 고성능 네트워크 계측기를 활용해 패킷 손실, 지연, 대역폭 병목 등 다양한 장애 조건을 가상 트래픽으로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AI 어시스턴트 및 장애 탐지 기술의 신뢰성과 실효성을 반복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대구 PPP를 시작으로 자사 솔루션이 적용된 하이퍼스케일급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직접 구축·운영하며 실환경 기반의 실증 체계를 확장하고 있다. 오케스트로는 축적된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AI 데이터센터로의 확장과 함께 이에 대한 전략적 투자도 검토 중이다.
오케스트로 융합기술원 박소아 원장은 “AI 어시스턴트를 중심으로 복잡한 클라우드 운영을 보다 직관적이고 자동화된 구조로 전환하는 것이 이번 과제의 핵심 방향”이라고 밝혔다. 오케스트로 그룹 김민준 의장은 “기술 개발부터 실증, 확산까지 전 과정을 내재화해 미래형 인프라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