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BUTECH 2025] 차세대 공장,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인프라’가 완성된다

URL복사

공장의 미래상 담은 BUTECH 2025, 제조업 '퀀텀 점프' 시작점...여기서 '터졌다'

 

‘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슬로건으로 한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BEXCO)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올해 BUTECH는 단순한 산업·공장 자동화(FA) 분야 전시 콘셉트를 넘어, 인공지능(AI)·로보틱스·디지털트윈(Digital Twin)·머신러닝·비전 등 제조업의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기술들이 총출동했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 전략과 경쟁력 확보 방안 등 국내 제조업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 현장이었다. 국내 제조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 이번 BUTECH 2025. 과연 각 분야 혁신·유망 참가업체는 어떤 기술·솔루션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사로잡았을까? 이번 <헬로즈업> 특별 기획에서는 대한민국 제조업 ‘퀀텀 점프(Quantum Jump)’의 핵심 기술을 자세히 조망한다.


[공장 인프라] 최첨단 공장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든든한 버팀목

 

AI와 로보틱스가 주도하는 최첨단 공장의 화려함 뒤에는 묵묵히 제 역할을 다하는 필수 인프라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마치 인체의 신경망처럼 공장의 모든 설비와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잇고, 공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돕는다. 센서·전원공급장치(MPS)·안전시스템·원격관리솔루션 등은 제조 현자에서 공정 안정성과 에너지 효율, 그리고 작업자의 안전을 책임진다. 이로써 지속 가능한 제조업의 미래를 위한 굳건한 기반을 마련한다.

 

이번 섹션에서는 바로 이 ‘보이지 않는 곳의 힘’을 집중 조명한다. 차세대 공장의 진정한 경쟁력을 결정짓는 필수 인프라와 전력 효율화 기술을 심층적으로 선보인다.


 

< 디지털후로 > 유량 측정·제어 기술

 

 

‘디지털후로’는 연료 디스펜서, 유량계, 유량 제어 카운터 등를 개발·제조하는 계측기기 업체다. 2009년 설립 이후 자체 기술 기반 타원형 기어 유량계와 터빈 유량계를 개발했다. 현재 핀란드·태국·인도 등 해외 시장에도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정밀성·내구성을 갖춘 계측 솔루션을 바탕으로, 글로벌 니즈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엔지니어링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오발기어 타입 유량계(Oval Gear Type Flowmeter)는 베어링 없이 두 개의 오발기어(Oval Gear)가 교차 회전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유량을 측정하는 간단한 구조를 채택해 내구성·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작동 부품을 최소화해 낮은 고장률이 특징이고, 석유화학·냉동·식음료(F&B) 등 다양한 분야에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해당 솔루션의 측정 정확도는 ±0.5%로, 정위치에 설치했을 때 더욱 정밀한 유량 제어를 지원하다. 이 제품은 알루미늄·스테인리스 등 두 가지 소재로 구분해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소재 제품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 나사형·플랜지형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돼, 설비 환경에 맞춤화된 도입을 지원한다.

 

< 피짜토 > 산업·현장 안전 솔루션

 

 

피짜토는 위치 스위치(Position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안전 장치(Safety Device), 안전 모듈(Safety Module), 풋 스위치(Foot Switch), 제어 및 신호 장치, 엘리베이터용 장치 등을 생산·판매한다. 산업 현장에서 기계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들은 산업·공장 자동화(FA) 산업에서 로봇과 컨베이어 벨트의 정지·제어에 활용되며, 다양한 산업 환경에 적합한 솔루션과 고객 요구에 맞춤형(Customized)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안전 스위치(Safety Switch)는 산업 현장의 안전 제어를 위한 기능이 집약된 솔루션으로, 비상 정지 버튼과 셀프 모니터링 접점 블록(Self-monitoring Contact Block)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국제 방수·방진 등급 IP69K 및 IP67를 충족하며, 고온·고압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자기유지 기능이 있는 모델은 버튼이 눌린 상태를 감지한 후 자동으로 잠김 상태를 유지해 복구 전까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모듈형 컨택트 블록(Modular Contact Block)은 전기 신호를 정밀하게 제어하며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의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다.

 

< 서원오토메이션 > 진공 펌프

 

 

서원오토메이션은 공압·진공·모션 제어 분야를 아우르는 산업 자동화 솔루션 전문 업체다. 지난 1982년부터 40여 년간 유공압 장비, 감속기, 에어 모터, 진공 시스템 등 다양한 자동화 부품과 시스템을 국내 산업 현장에 공급해 왔다.

 

여기에 미국·독일 등 기술을 적극 도입해 기술력을 강화했다.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는 구동 장치 조립부터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까지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환경 기술 분야에서는 수처리 시스템용 구동 장치와 통합 관리 솔루션도 함께 지원한다.

 

진공 펌프(Vacuum Pump)는 소형·경량화 구조와 뛰어난 에너지 효율을 갖춘 고성능 장비로, 최소 0.5밀리바(mbar) 에이(a)까지 잔류 압력을 낮춰, 99.95% 수준의 진공을 구현할 수 있다. 설치 면적이 작아 공간 제약이 적으며, 공랭 시스템(Air Cooling System)을 적용해 별도의 수처리가 필요 없다.

 

단일단 로터리 베인 컴프레서(Single-stage Rotary Vane Compressor)를 개발한 뉴모포어(Pneumofore)의 기술력이 반영된 이 장비는 동급 대비 전력 소비가 낮고 생애주기비용(LCC) 측면에서도 경쟁 우위를 지닌다. 현재 유럽·아시아·북미 등 글로벌 시장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 오리엔트전자 > 전력 효율화 솔루션

 

 

오리엔트전자는 통신 및 산업용 전원공급장치(SMPS)와 전력전자 부품을 전문적으로 개발·생산하는 전원 솔루션 업체다. 1979년에 등장해 600여 종의 표준 모델과 1000종 이상의 주문형 제품을 자체 설계했다.

 

이 가운데 새롭게 출시된 GDR 시리즈는 교류(AC) 100~240볼트(V) 및 직류(DC) 120~370볼트(V)의 광범위한 입력 전압을 지원하는 제품군이다. 이는 과전압·과전류 보호, 3년 품질 보증, 인러시 전류 제한(Inrush Current Limiting) 등의 안정 기능을 갖춘 고신뢰성 파워 솔루션이다. 이 시리즈는 출력 전압 12V, 24V, 48V에 따라, 최대 60암페어(A)까지 공급이 가능하며, 최대 92%의 에너지 효율과 200%의 부스트 기능을 제공한다.

 

GDR 시리즈는 반도체 제조 장비의 전압 강하 내성(Voltage Sag Immunity) 국제 표준 ‘SEMI F47’ 테스트를 통과했고, CE·EMC·KC 등 인증을 취득했다. -40~70℃의 넓은 작동 온도 범위를 갖춰 산업 현장의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됐다. 제품군은 GDR60부터 GDR480까지 총 6종으로 구성됐고, 모듈별로 표준화된 크기와 대류 냉각(Convection Cooling) 방식으로 시스템 통합이 용이하다.

 

< 세펙트 > 열·연기 감지기기

 

 

세펙트는 기계 자동화 분야에서 다양한 안전 솔루션을 취급한다. 안전 장치 개발부터 시스템 설계, 인증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종합 안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요 솔루션으로 가드락 안전 도어 스위치, 열연 감지기, 비접촉식 스위치, 안전 비상 정지 스위치, 안전 컨트롤러 등을 보유했다.

 

이 중 열·연기 감지기는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는 복합형 감지기다. 온도·연기를 동시에 감지해 이상 발생 시 즉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췄다. 광전식 연기 감지 방식과 복사열 기반의 온도 감지 기술로 정밀도를 높였으며, 5개의 LED로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제품은 RS-485 통신을 지원해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이 용이하고, 최대 16개까지 직렬 연결이 가능해 다양한 배전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 알서포트 > 원격 제어 솔루션

 

 

알서포트는 원격 제어·지원, 화상회의 등 협업 중심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공급하는 기업이다. 클라우드 기반 원격 기술 분야에서 아시아 시장 점유율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 웹(Web) 기반 화상 회의 플랫폼부터 모바일 원격 상담 서비스까지 다양한 기술을 자체 개발해 일상과 업무의 디지털 전환(DX)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한국·일본·중국 등 현지 법인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입지를 확대해가고 있다.

 

리모트뷰(RemoteView)는 재택근무 환경에 특화된 원격 제어 솔루션이다. 기업 내 IT 자산과 사용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어 대상 PC나 사용자를 그룹으로 분류해 부서별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기능과 엑셀(Excel) 양식을 활용한 대규모 사용자 일괄 등록도 지원한다. 사용자별로 원격 제어, 캡처, 프린트, 파일 전송 등 세부 기능을 개별 제어할 수 있어 보안성·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 PC의 프로세스, 서비스, 웹사이트 접속을 제한하고, 요일·사용자별 접속 가능 시간 설정도 가능해 보안 통제가 유연하다. 보안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에게 메일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도 포함돼, 분산된 재택근무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운영과 사고 대응 체계를 지원한다.

 

< 정우전기 > 산업용 모터

 

 

정우전기는 1998년 창립 이래 산업용 모터 개발·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기술력·품질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최근에는 고효율 영구자석 모터(PM Motor)를 내놓고 특화된 기술력을 한층 증명했다.

 

BUTECH 전시회를 통해 고효율 영구자석 모터 등 다양한 모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정우전기 영구자석 모터는 기존 유도 전동기 대비 고효율·저소음·저진동 등 성능을 갖췄고, 소형·경량화 설계를 보유했다. 특히 높은 전력 소비 절감 효과를 드러내 에너지 효율을 중시하는 스마트 팩토리에 최적화됐다고 평가받는다.

 

이 외에도 현장에는 삼상·단상 유도전동기, 브레이크 모터, 방폭 모터, 유압용 모터, 인버터 모터 등 산업 현장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폭넓은 라인업이 출품됐다. 정우전기 모터는 컨베이어 시스템, 펌프, 팬 등 각종 분야의 공장 내 다양한 자동화 설비에 안정적인 동력을 공급하는 중이다. 사측은 견고한 내구성과 최적화된 제어 시스템을 자사 제품의 특징으로 강조했다.

 

< 부광테크 > 전력 제어 및 안전 시스템 부품

 

 

부광테크는 산업용 전기 제어 및 FA 관련 부품을 공급한다. 스마트 팩토리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는 업체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공장 설비의 효율적인 전력 관리와 안전한 제어 환경 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과 기술력을 전파한다. 안정적인 전원 공급, 효율적인 에너지 분배, 시스템 보호는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 인프라로, 부광테크는 이러한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BUTECH 전시회에서는 다양한 부품 솔루션을 선보였다. 유니버셜 코아유니트(Universal Core Unit)는 사출 성형 금형의 복잡한 언더컷(Under-cut) 형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핵심 부품이다. 이는 금형 설계 자유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로 활약하고 있다.

 

이어 전시장 한편에 배치된 가스스프링(Gas Spring)은 프레스 금형 및 자동화 설비에 안정적인 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압축 질소 가스로 일정한 힘을 유지하고, 정밀한 압력 제어를 지원해 공정 안정성과 제품 품질 확보에 기여한다.

 

끝으로, 워터공급장치(Water Supply Unit)는 금형이·장비의 온도 조절에 필수적인 워터라인에 물을 공급·제어하며, 정밀한 유량·온도 제어 기능으로 냉각 효율을 최적화한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최재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