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드론 산업의 새로운 도약,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DIA)' 출범

URL복사

 

 

국토부, 창립총회 개최… '드론 5대 완성체 프로젝트' 공개하며 성장 동력 확보
 

국내 드론 산업이 산·학·연·관의 협력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14일(수) 오후, 마곡 코엑스에서 드론 산업의 성장과 협력을 위한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Drone Industry Alliance, DIA)'의 출범을 공식 선언하는 창립총회를 개최한다.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는 영세한 국내 드론 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분산된 역량을 하나로 모아 산업 성장을 가속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G에너지솔루션 등 드론 산업체 263개와 국방부, 산업부 등 공공 분야, 학계를 포함하여 총 347개 기관이 이미 회원으로 가입(2025년 5월 기준)하며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이번 창립총회에는 드론 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진 정부 기관, 기업, 지자체, 공공기관, 학회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드론 산업 생태계 구성원 간의 협력을 도모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드론 산업은 뛰어난 기술 발전 가능성과 광범위한 시장 확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드론 기업이 영세하여 독자적인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최근 1,000만 불 수출의 탑(유비 파이)과 200만 불 수출(니어스랩) 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는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평균 매출액이 1.6억 원에 불과한 대다수의 국내 드론 기업들은 기술 개발과 사업화 전략을 함께 논의하고 주도할 협력의 기회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이번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 창립총회에서 드론 산업 혁신 정책의 주요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농업, 소방, 건설·시설 관리, 물류, 항공 드론을 국산 기술로 개발하기 위한 야심 찬 '드론 완성체 5대 프로젝트'를 공개하여 외산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자립도를 높여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드론 부품 국산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제조 기반 조성을 위한 스마트 드론 팩토리, 드론 기업 지원 센터, 그리고 차세대 드론 인력 양성 방안 등 드론 산업 전반의 성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도 발표될 예정이다.

 

스마트 드론 팩토리는 고가의 핵심 부품 제조 장비를 공유하여 생산 경쟁력을 높이는 공유 공장이며, 드론 기업 지원 센터는 자율 비행, 객체 인식 등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육성을 위한 공간 및 자문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초등학생부터 기업 근무자까지 전 생애 주기에 걸친 드론 코딩 및 조종 인재 교육 방안도 제시된다.

 

 

 

그뿐만 아니라, 2025년 9월부터 10월까지 전주(드론 축구 월드컵), 부산(국제 드론 라이트쇼), 포천(세계 드론 페스타), 남원(국제 드론 레이싱)에서 릴레이로 개최되는 대규모 드론 축제인 '케이드론 투 월드 페스티벌(K-Drone to World Festival)'에 대한 소개도 이루어질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추경에 조류 대응 드론 개발 및 소방 특화 드론 도입·국산화를 위한 예산 100억 원을 반영하는 등 드론 신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재난 현장에 드론을 투입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드론 산업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드론은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닌 우리의 일상 속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드론과 함께하는 시대'를 열고 있다"며, "드론 기술의 자립화와 고도화를 통해 '메이드 인 코리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창립총회가 대한민국 드론 산업이 경쟁을 넘어 협력으로, 단절을 넘어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되고, 글로벌 기술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임을 강조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향후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 운영을 통해 상용화 촉진, 규제 개선, 인프라 구축, 핵심 기술 자립, 국제 협력 등 5개 분과에서 발굴 및 연구된 과제의 성과를 정책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