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트너가 전 세계 AI PC 출하량 전망을 발표했다. 가트너는 2025년 AI PC 출하량이 전년 대비 104% 증가한 7780만 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전체 PC 시장의 31%를 차지하는 수치다. 이어 2026년에는 AI PC 출하량이 1억 4300만 대를 넘어 전체 PC 시장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2029년에는 시장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트너는 시장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관세와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해 PC 구매 시점이 늦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사용자는 엣지 환경에서의 AI 활용 확대에 대비해 투자를 이어갈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2026년 말까지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40%가 PC에 AI를 내장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돼, 2024년 2% 대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시장 세분화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트너는 소비자 시장에서는 ARM 기반 노트북이 선호될 것으로 기업 시장에서는 윈도우 x86 기반 노트북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2025년 기업용 AI 노트북 시장 점유율은 윈도우 x86 기반이 71%, ARM 기반은 24%로 예측됐다. 이는 기업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호환성과
'산업지식IN'은 급변하는 산업 현장의 실무자들이 겪는 실제적인 질문에 최고 전문가들이 직접 심층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특별 기획 콘텐츠입니다. 각 주제별로 진행된 온라인 세미나(웨비나) 현장에서 발표자와 참관객이 실시간으로 주고받은 핵심 질의응답을 엄선해 독자들에게 전달합니다. 이는 독자들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얻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콘텐츠는 복잡한 이론보다 실제 사례와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해,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DX)과 혁신을 위한 로드맵 구축을 지원합니다. 지금까지의 산업용 컴퓨팅 장비는 주로 x86 기반 플랫폼을 사용해 왔습니다. 최근 스마트 시티(Smart City),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임베디드 사물인터넷(Embedded IoT) 등 고효율과 저전력을 요구하는 미래형 산업 환경에서는 새로운 아키텍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아키텍처 ‘ARM(Advanced RISC Machines)’가 최적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모바일 기기 시장에서 오랜 기간 검증된 전력 효율과 성능으로, 산업 현장 내 혁신 솔루
통일된 지침과 아키텍처 인터페이스로 x86의 미래 설계에 주력 인텔과 AMD는 오늘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컴퓨팅 아키텍처의 미래 조성을 위해 기술 리더들이 참여한 x86 생태계 자문 그룹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x86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 전반에 걸쳐 뛰어난 성능과 원활한 상호운용성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새로운 요구를 충족시키며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이 그룹은 플랫폼 간 호환성을 지원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을 간소화하며, 개발자에게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한 아키텍처 요구사항과 기능을 파악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x86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X86은 지난 40년 이상 현대 컴퓨팅의 기반이 돼 왔으며 전 세계 데이터 센터와 PC에서 선호하는 아키텍처로 자리매김했다. 동적인 AI 워크로드, 맞춤형 칩렛, 3D 패키징 및 시스템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특징지어지며 오늘날의 진화하는 환경에서 견고하고 확장되는 x86 생태계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인텔 팻 겔싱어 CEO는 “우리는 현재와 미래의 고객 요구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수준의 커스터마이징, 호환성 및 확장성을 갖춘 x86 아키텍처 및 생태계
[첨단 헬로티]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과 같은 제3의 플랫폼의 성장으로 인한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로 서버 시장은 기존과 다른 형태의 컴퓨팅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서버 가상화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강력한 컴퓨팅 용량과 스토리징 기능이 요구되고 있고, 기존 랙서버 보다는 성능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블레이드 혹은 멀티 노드 등의 모듈러 서버의 역량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모듈러 서버는 다자간 자원의 효율적인 공유와 민첩한 서버 관리를 지원해준다. 또 최근 저전력 친환경 데이터센터에 인증이 강화되면서 최소의 상면적에서 최대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고집적 서버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는 추세다. 유닉스 vs x86 vs U2L 현재 서버 시장은 크게 x86 서버 시장과 유닉스(Unix) 서버를 포함한 비(Non)-x86 시장으로 나뉜다. 먼저, 유닉스 서버란 유닉스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서버를 말하며 ‘안전성’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현재 유닉스 서버는 IBM, HPE, 오라클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1990년대까지 대부분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IT 인프라의 핵심 시스템으로 활용됐다. x86 서버는 &lsq
[첨단 헬로티] 전세계 서버 시장 선점 HPE vs 델EMC 각축 ∙∙∙ 인스퍼, 매출과 출하량 부문서 최고 성장세 가트너(Gartner)는 2017년 3분기 전세계 서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으며, 출하량은 2016년 2분기 이래 5.1% 상승했다고 밝혔다. 가트너 수석연구원 제프리 휴잇(Jeffrey Hewitt)은 “2017년 3분기 글로벌 서버 매출은 두드러진 지역별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가 이어졌다. 클라우드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을 위한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이 이 기간 서버 시장의 주요 성장 요인”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x86 서버 출하량은 올해 5.3%, 매출은 올 3분기 16.7% 증가했으나, RISC/아이테니엄(Itanium) 유닉스 서버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은 23.5%, 벤더 매출은 18.3% 하락해 전반적인 감소세가 두드러졌다”고 덧붙였다. 휴렛패커드 엔터프라이즈(HPE)는 매출 기준으로 전세계 서버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했다. 2017년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3.2% 감소했으나, 약 31억 달러의 매출, 21%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