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T는 LG전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고려대학교와 함께 국내외 중성원자 기반 양자컴퓨터 기술 선도 및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 공동연구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산학연 연계를 통해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중성원자 양자컴퓨터 기술의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됐다. 이를 위해 윤지원 SDT 대표와 최재혁 표준연 양자기술연구소장, 이근영 LG전자 CTO부문 인공지능연구소 책임연구원, 김민혁 고려대 물리학과 조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일 대전 유성구 표준연에서 산학연 공동연구 협약식을 진행했다. 현재 전세계 양자컴퓨터 시장은 초전도체 및 이온트랩 기반 기술이 주도하고 있으나 중성원자 기반 양자컴퓨터는 확장성과 안정성, 정밀한 제어가 강점으로 꼽히며 기술적 발전 가능성이 크다. 중성원자 기반 기술은 성숙한 레이저 및 광학 기술을 활용, 대규모 큐비트 운영에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차세대 양자컴퓨터의 유망한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에 함께 한 기관들은 이번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광학 설계 등 중성원자 기반 양자컴퓨터 기술의 연구개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
SDT는 말레이시아 국립 연구기관 MIMOS와 양자 관련 기술 협력 및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5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윤지원 SDT 대표와 사트 슈크리 엠봉 MIMOS CEO를 비롯해 자프룰아지즈 말레이시아 국제통상산업부 장관, 창리강 과학기술혁신부 장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등 양국 정부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말레이시아 총리의 방한과 함께 이루어진 이번 MOU는 말레이시아의 국가 경제 개발을 위한 5개년 경제개발계획(RMK13) 내 양자 생태계 구축사업을 MIMOS와 함께 진행하고자 추진됐다. 단순한 기술 협력을 넘어 양국간 양자 기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산업 생태계 혁신의 발판을 마련하는 동시에 말레이시아가 지역 내 양자산업 리더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예정이다. SDT는 향후 MIMOS와 협력해 말레이시아 최초의 양자 컴퓨팅 센터 설립 및 운영을 담당한다. SDT의 최첨단 풀스택 양자컴퓨터 기술과 MIMOS의 연구개발 역량을 결합해 물리적 및 클라우드 기반 양자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말레이시아 국가사이버보안국과 SDT
SDT는 애니온 테크놀로지스(Anyon Technologies)와 초전도 양자 컴퓨터 구축을 위한 합작법인(JV)을 설립한다고 19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JV 설립과 함께 두 회사의 독보적인 기술 IP와 인프라를 결합해 완성형 양자 컴퓨터 솔루션을 개발, 한국을 비롯한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전역에 공급함으로써 양자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컴퓨팅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 JV를 설립해 한국 내 SDT의 생산 현장과 인프라를 활용해 QPU를 제외한 모든 양자 컴퓨팅 부품의 제조와 조립을 진행하며 한국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공급망과 제조 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애니온 테크놀로지스는 2021년부터 대규모 하이브리드 양자-고전 컴퓨팅 환경에서 최고의 확장성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성능 초전도 양자 프로세서와 온칩 제어 기술, 마이크로파 양자 네트워킹 구조 등 다양한 첨단 양자 기술을 개발해오고 있다. 오랜 기술 연구를 통해 초전도 기반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독점적 IP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양자 냉동장치인 ‘Dilution Fridge(희석 냉동기)’와 QPU(Quantum Processing Un
SDT는 말레이시아 MIMOS 산하 MIMOS 테크놀로지 솔루션(MIMOS Technology Solutions Sdn Bhd, MTSSB)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말레이시아 최초의 양자 컴퓨팅 센터 설립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MIMOS는 말레이시아 과학기술혁신부(MOSTI) 산하 국립 R&D 센터로서 국가 디지털 인프라 발전과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을 주도하는 연구기관이다. MIMOS의 자회사인 MTSSB는 MIMOS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산업 프로젝트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SDT는 말레이시아 최초의 양자 컴퓨팅 센터 설립을 위한 MTSSB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말레이시아의 양자컴퓨팅 기반 마련은 물론, MIMOS의 전문성을 산업과 연결해 말레이시아가 견고한 양자기술 경쟁력을 마련하는데 힘을 보탤 예정이다. 말레이시아와의 이번 파트너십은 글로벌 시장에서 양자 기술의 수출품으로서의 등장과 새로운 양자 강국으로 부상한 대한민국의 위상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SDT는 양자 기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R&D 투자와 정책을 포함한 선제적인 정부 전략에 힘입어 국가 양자컴퓨팅 구축 프로젝트에
SDT는 세미콘(SemiQon)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세미콘은 핀란드에 소재하고 있는 실리콘 기반 QPU를 개발·생산하는 양자기술 전문기업이다. 양사는 지난달 31일 핀란드 에스포에 위치한 세미콘 본사에서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협약식에는 윤지원 SDT 대표, 히마드리 마줌다르 세미콘 대표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번 협약 이후 구체적 협력방안 등을 논의했다. SDT는 이번 업무협약과 함께 세미콘의 실리콘 기반 QPU 칩을 제공받으며 SDT가 개발, 상용화한 양자 정밀 측정 장비를 세미콘에 제공키로 했다. 안정성과 확장성이 강화된 양자 컴퓨팅 제조를 통해 전세계 양자 컴퓨팅 시장을 공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반도체 산업에서 수십 년간 축적된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세미콘의 QPU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한 실리콘 기반으로 개발돼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반도체 제조 인프라와의 호환성을 높여 생산 비용 절감과 함께 대량 생산 및 양산 체제를 보다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물리적 플랫폼의 QPU 대비 뛰어난 내구성을 지니고 있는 점 역시 장점으로 꼽힌다
SDT가 오는 23일부터 26일까지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리는 ‘2024 국제치안산업대전’에 참가한다. SDT는 각종 범죄 및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양자 기술 기반 스마트폴리스 기술장비를 선보인다. 해당 장비에는 보안 위협을 원천 차단하고 화재나 재난사고 등에 대한 경찰작전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양자난수발생과 양자점 기술 기반 카메라 솔루션이 적용됐다. QRNG 카메라 NodeV는 이미지 생성부터 영상 전송까지 전 과정을 양자난수발생(QRNG) 기술로 보호해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양자암호보안 IP 카메라다. 양자역학적 특성을 이용해 예측 불가능한 순수 난수를 생성함으로써 암호학적으로 높은 보안을 제공하는 양자난수발생기술을 사용한다. 별도의 난수발생 장비 또는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카메라에 탑재되는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의 Dark Shot Noise를 양자 엔트로피 원천으로 활용해 난수를 생성함으로써, 개발기간과 개발비용에 대한 부담을 낮췄다. KIST로부터 이전받은 양자 응용 핵심 원천기술을 이용해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한 암전류 노이즈를 양자 엔트로피의 원천으로 삼아 고속으로 순수난수를 생성하여 외산 카메라의 백도어 문제와 데이터 유출 등으로
SDT가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대한민국방위산업전 ‘DX KOREA 2024’에 참가해 국방 분야의 새로운 혁신을 이끌어낼 양자 기술 기반의 카메라를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양자기술 전문성을 바탕으로 양자 응용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앞장서 오고 있는 SDT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보안 위협을 원천 차단하고 다양한 군사작전 수행을 지원하는 양자난수발생(QRNG)과 양자점(Quantum Dot) 기술 기반 카메라 솔루션을 공개한다. SDT의 QRNG 카메라 ‘NodeV’는 이미지 생성부터 영상 전송까지 전 과정을 양자난수발생 기술로 보호해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양자암호보안 IP 카메라다. QRNG 카메라 경우 높은 정보 보안성을 보유하면서 중앙 서버로 데이터를 옮길 필요 없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순수 국내 원천기술만을 이용해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한 암전류 노이즈를 양자 엔트로피의 원천으로 활용해 고속으로 순수난수를 생성해 외산 카메라의 백도어 문제와 데이터 유출 등으로 고민하는 국가기관이나 군사시설 등 높은 보안 수준이 요구되는 현장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양자점 SWIR 카메라는 열
SDT가 신한벤처투자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Pre-IPO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 유치로 SDT는 전세계 산업 현장 내 양자기술 도입이 본격화되는 양자시장에서 양자기술 상용화 성과를 입증하면서 기술력과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SDT는 정부의 적극적인 R&D 지원으로 양자컴퓨터 제조에 필요한 양자 제어장비 상용화에 성공공했다. 초전도체, 중성원자, 이온 트랩, 실리콘 스핀, 다이아몬드 NV 센터 등 다양한 물리 플랫폼과의 호환성과 양자 컴퓨팅 글로벌 생태계 내 풍부한 파트너십을 갖췄다. SDT는 이번 투자유치를 계기로 정부 지자체와 함께 양자컴퓨팅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국방, AI, 제약 및 화학 등 산업분야에서 양자 상용화 기술 도입을 빠르게 추진해, 양자컴퓨터와 암호통신분야의 국가 안보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방부와 협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2026년 상반기까지 64 큐비트 초전도체 양자컴퓨터 개발을 진행하며, 중성원자 양자컴퓨터 경우 2025년 상반기까지 3D 배열 개발을 완성, 2026년 상반기까지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2027년 상반기까지 20 큐비트 실리콘스핀 양자컴퓨터 개발, 광집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화 추진 위해 협력하기로 결정해 SDT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양자정보응용연구단(이하 KISTI)과 클라우드 기반 양자컴퓨팅 실행 기술 연구 개발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상용화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SDT와 KISTI는 지난달 26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클라우드 기반 양자컴퓨팅 상용화 실행 기술 공동연구와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 활성화 도모 등 본격적인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화 추진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과 함께 다양한 양자컴퓨팅 하드웨어 플랫폼에 확대 적용을 위한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과 고성능컴퓨팅(HPC)-양자처리장치(QPU) 알고리즘 실행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등에 대한 공동연구에 나선다. 이를 위해 KISTI는 양자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과 큐비트 플랫폼과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을 위한 API 서비스 기술 등을 제공하는 한편 SDT는 초전도, 이온트랩, 실리콘 스핀, 포토닉스, 다이아몬드 NV 센터 등의 물리적 양자 플랫폼을 이용한 큐비트 제어 기술과 함께 대규모 연산 데이터 센터 환경
양자 QPU 플랫폼에 사용가능한 양자 계측 제어장비와 클라우드 및 지원 서비스 등 공개 SDT(대표 윤지원)가 오는 25일(화)부터 27일(목)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4’에 참가, 양자 컴퓨팅, 양자 센싱, 양자 보안 등 핵심 양자기술을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SDT는 양자기술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양자 응용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퀀텀코리아 2024를 통해 다수의 양자 QPU 플랫폼에 사용가능한 양자 계측 제어장비와 클라우드 및 지원 서비스 등 양자기술 상용화 성과를 소개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이번 행사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하는 SDT의 양자 가상화 실험실 구현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등 양자가상실험실 구동에 필요한 모든 기술 요소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제공, 실험실 자동화 구현을 통해 연구자가 효율적으로 양자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양자지원기술 기업발굴 및 육성 사업’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한 CCU(Coincidence Counting Unit)와 TTMU(Time Taggi
SDT가 오는 19일부터 21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제조 무역 전시회 ‘2024 매뉴팩처링 월드 재팬(Manufacturing World Japan)’에 참가해 제조현장의 디지털전환을 지원하는 첨단 산업용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13일 밝혔다. SDT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비파괴 원소 분석 장치 ‘LIBS’와 초정밀 분산 온도 측정 장비 ‘DTS’ 등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현상을 정밀하게 계측, 수집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첨단 산업용 계측·제어장비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LIBS(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는 분석시료 표면에 레이저 펄스를 발사하여 발생한 플라즈마를 읽어내는 기술방식의 실시간 비파괴 원소 분석 장비다. 제조공정 과정에서의 불순물이나 용접 불량 검출은 물론 통관 전 유독물 함량 수준 확인, 재활용 소재 가격 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생산 라인, 델타 로봇 등에 직접 설치 가능하며 실험실 수준의 높은 정확성을 기반으로 다량의 원소분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원소분석 기술 대비 빠른 속도는 물론 고체, 액체, 에어로졸 등
SDT는 신소재 맨홀 제조업체 대성테크와 공동개발, 제작한 친환경 스마트 맨홀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기술 국제공동 현지 사업화 지원사업’ 2차 과제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환경기술 국제공동 현지 사업화 지원사업은 국내 환경 산업체의 해외 진출 및 수주 촉진을 위해 국내 우수 환경기술이 해외진출 대상국의 환경규제 및 현지 여견에 부합되도록 현지 실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SDT와 대성테크는 2022년 1차 과제사업으로 일본 내 규격에 부합하는 스마트 맨홀 덮개 설계 및 제작, 일본 하수도 환경 데이터 수집에 최적화된 센서 검증, 일본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에 맞는 통신 기술 검증 및 하드웨어 설계 등 현지 최적화된 시제품 개발을 진행, 최종 성공판정을 받은 바 있다. 지난 2023년 1월부터 진행된 2차 과제사업에서는 필리핀 마닐라 지역을 선정, 현지 업체와 5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시범운영을 전개헸다. 이를 위해 필리핀 내 맨홀 규격에 부합하는 덮개 설계 및 제작은 물론 맨홀 개폐 여부와 수위,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등 지중시설 내 각종 환경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센서 적용,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에 맞는 통신 기술 검증 및 하드웨어 설계 등
소성로 내부 온도 측정용 고온계, 비파괴 원소 분석 LIBS & XRF 등 신규 산업용 DX 솔루션 소개 "최적화된 호환성과 확장성으로 산업현장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생산성 극대화 지원해 나갈 것" SDT가 오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 (InterBattery 2024)’에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 SDT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각기 다른 제조산업현장에서 생산되는 각종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수집, 관리하며 산업현장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소성로 내부 온도 측정용 고온계는 세라믹으로 보호된 Endoscopic Optical Pyrometer를 소성로 벽면에 설치, 소성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광케이블을 통해 원하는 장소에서 온도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고온(최고 1,600°C)과 수십 미터에 달하는 소성로 내부환경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소성로 품질관리 어려움을 해결해준다. 산업현장에 특화된 내구성과 기구설계 역량을 기반으로 실시간 비파괴 원소 분석이 가능한 LIBS(Laser-Induced
SDT가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이하 한울본부)와 IoT 혁신제품 테스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SDT와 한울본부는 이번 업무협약과 함께 맨홀 상태를 실시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맨홀 관리시스템을 구축, 산업현장에서의 사고 예방 및 다량의 맨홀 관제시스템의 효율성 등 스마트 맨홀 사업성을 함께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한울본부는 스마트 맨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 및 테스트베드를 제공하며, SDT는 스마트 맨홀 인프라 구축 및 유지관리를 담당한다. 또한 사업 기간 중 수집되는 맨홀 내 각종 환경 빅데이터 분석 연구 및 관련 결과를 공유하며 산업안전 강화를 위한 4차 산업기술 IoT 활용 기술 교류와 협력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무엇보다 실시간으로 맨홀 내외부 환경 확인 및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제공하는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을 구축, 이상징후 발생에 대한 즉각적인 확인과 이에 따른 선제적 조치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안정적인 통신서비스 유지관리 등 인적, 물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지능형 센서 시스템 ‘친환경 스마트 맨홀’은 통신이 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양자시대, 무어의 법칙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밝혀 SDT의 윤지원 대표가 ‘2024 ICT 산업전망 컨퍼런스’에 참석, 국내외 양자컴퓨팅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했다. 올해로 23회째를 맞이하는 ICT 산업전망컨퍼런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매년 국내·외 ICT 전망과 함께 ICT산업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행사다. 올해 행사에서는 ‘디지털 혁신이 만든 미래, 일상 속으로’라는 주제와 함께 구글 최고의 미래학자이자 발명의 아버지로 불리는 토마스 프레이 다빈치 연구소장을 비롯, 국내·외 ICT 분야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 ICT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며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새로운 기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다가올 디지털 미래’ 세션에서 ‘양자컴퓨팅 산업의 현황과 향후 전망’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윤지원 SDT 대표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양자시대에 무어의 법칙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밝혔다. 덧붙여 “무엇보다 미래 양자기술은 안보 측면에서 창과 방패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기술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양자기술 우위 선점을 위한 공격적 투자가 경쟁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만큼 국내 ICT산업 역시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