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시각·행동 등 기능 담은 AI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MOMA’ 전시해 “지능형 로봇 영역에 첫발...세계 시장 진출과 솔루션 고도화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고성엔지니어링이 로봇 축제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서 플래그십 로봇 ‘MOMA(Mobile Manipulator)’를 통해 참관객에게 집중조명받았다. 올해 로보월드는 지난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컨텍스에서 열렸다.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솔루션이 한자리에 총출동했다. 고성엔지니어링 전시부스의 하이라이트 MOMA는 ‘거대멀티모달모델(Large Multimodal Model)’을 차용한 인공지능(AI) 모델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언어·이미지·음향·영상 등 데이터를 처리해 언어·시각·행동 기능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구두로 MOMA에게 명령을 전달하면, 인지·실물 확인 등 프로세스를 거쳐 목표물로 이동한 후 명령을 수행한다. 전시장에서는 MOMA 데모가 기체에 탑재된 로봇팔(Robot Arm)을 이용해 캔·병 등을 집는 과정을 연출했다. 여기에 환경, 잠재적 위협 등 현장 요소를 분
룩셈부르크 ‘DDE’사 협업 기반 언어·행동 인공지능 모델도 함께 공개 고성엔지니어링이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자율주행로봇(AMR)과 협동로봇을 접목한 플래그십 모델 ‘MOMA(Mobile Manipulator)’를 전시했다. 여기에 룩셈부르크 소재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AI) 서비스 업체 ‘DDE(Data Design Engineering)’과 협업한 로봇 및 자동화제어시스템(ACS)을 함께 공개했다. 고성엔지니어링은 MOMA에 해당 기술을 이식한 데모를 참관객에게 소개해 주목받았다. 로보월드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과거와 미래가 한데 펼쳐지는 로봇 축제다. 올해 전시회는 이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렸다. 최창신 고성엔지니어링 대표는 “MOMA는 수준 높은 기술력을 토대로 그동안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활약했다”며 “이번 전시회에서 우수한 자사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토대로 한 시연 모습을 참관객에게 소개했다”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