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대만 린커우 본사에서 2023 Advantech World Partner Conference 개최 30여 개 국가서 700여 명 이상의 파트너사 관계자 참가해 “그린에너지, 전기차 인프라, 로보틱스 등 새로운 시장서 애플리케이션 구축 가속화할 것” 글로벌 산업용 IoT 전문기업 어드밴텍이 최근 글로벌 시장에 일어나고 있는 급격한 변화들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 전략과 비전 등을 글로벌 파트너들과 공유하는 행사를 열었다. 어드밴텍은 행사에서 공동 창조(Co-Create)와 파트너 강화, 생태계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고 거듭 언급하면서, “‘Enabling an Intelligent Planet’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최신 AIoT 기술 트렌드를 성공적으로 따라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어드밴텍이 30일 대만 린커우에 있는 AIoT Co-Creation 캠퍼스 본사에서 2023 월드 파트너 컨퍼런스(World Partner Conference 2023, 이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임베디드 IoT, 서비스 IoT 등 두 개 사업부가 함께 개최한 이번 컨퍼런스에는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700명이 넘는 파트너사 관계자가 참가했다.
SDT가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이하 한울본부)와 IoT 혁신제품 테스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SDT와 한울본부는 이번 업무협약과 함께 맨홀 상태를 실시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맨홀 관리시스템을 구축, 산업현장에서의 사고 예방 및 다량의 맨홀 관제시스템의 효율성 등 스마트 맨홀 사업성을 함께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한울본부는 스마트 맨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 및 테스트베드를 제공하며, SDT는 스마트 맨홀 인프라 구축 및 유지관리를 담당한다. 또한 사업 기간 중 수집되는 맨홀 내 각종 환경 빅데이터 분석 연구 및 관련 결과를 공유하며 산업안전 강화를 위한 4차 산업기술 IoT 활용 기술 교류와 협력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무엇보다 실시간으로 맨홀 내외부 환경 확인 및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제공하는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을 구축, 이상징후 발생에 대한 즉각적인 확인과 이에 따른 선제적 조치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안정적인 통신서비스 유지관리 등 인적, 물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지능형 센서 시스템 ‘친환경 스마트 맨홀’은 통신이 가
한국전기연구원, 고효율 신축 열전소자 연구결과 국제 학술지 게재 음(-)의 푸아송비를 지닌 가스켓을 이용한 부분 공기층 활용…웨어러블 기기 적용 기대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최혜경·윤민주 박사팀이 자연계에 없는 ‘메타물질’을 활용해 열전발전 소자의 신축성과 효율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힘을 가해 물질을 가로 방향으로 늘리면 세로 방향이 줄어드는 것이 정상이다. 고무공을 누르면 옆으로 납작하게 퍼지고, 고무줄을 당기면 팽팽하게 늘어나는 것과 같다. 이렇게 힘을 받은 수직방향으로 압축·팽창하는 비율을 ‘푸아송비(Poisson's ratio)’라고 한다. 반대로 메타물질은 자연계 물질과 달리 가로 방향으로 늘려도 세로 방향도 함께 늘어나는 인공적으로 설계된 물질이다. 메타물질은 음(Negative)의 푸아송비를 가진다. KERI는 이러한 메타 구조를 지닌 ‘개스킷(gasket)’을 활용해 열전소자의 신축성을 최대 35%까지 높이는 데 성공했다. 열전소자는 양 끝의 온도 차이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원리다. 일상생활에서 낭비되는 열을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로 불린다.
센스타임(SenseTime)과 씨넥스존이 AI 로봇 시스템의 국내 유통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IT, 디지털 유통 및 솔루션 공급 기업인 씨넥스존은 센스타임과 국내 독점 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AI 로봇 시스템을 국내에 선보이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센스타임은 원천 기술을 고수해 AI가 인류의 발전을 이끌도록 한다는 사명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첨단 연구분야에서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다. 풀 스택 인공지능 능력을 통해 인지 지능, 자연어 처리, 의사결정 지능, 스마트 콘텐츠 생성 등의 AI 관련 핵심 기술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씨넥스존은 다양한 AI 로봇 시스템 유통의 시작으로 AI 바둑 로봇인 센스로봇 고(SenseRobot Go)의 국내 출시를 알렸다. 센스로봇 고는 센스타임의 최첨단 AI와 로봇 팔 기술을 통합해 사용자가 실제 바둑판에서 AI 기술의 도움으로 바둑을 연습하고, 멀리 떨어진 이용자와도 마주 앉아 있는 것처럼 바둑을 둘 수 있게 해준다. 씨넥스존 관계자는 "센스로봇 고는 바둑을 배우는 어린이들과 바둑 애호가들에게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바둑을 즐기는 노년층에게는 이상적인 일대일 지능형 동반자로, 사고력과 집중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6∼10일 서울 엘타워에서 열린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트윈 국제표준화그룹'(JTC 1/SC 41) 총회에서 한국이 제안한 3건의 표준화 과제가 신규 승인됐다고 12일 밝혔다. 승인된 표준화 과제는 기존 음향 방식의 수중통신을 다양한 통신기술을 혼합해 목적과 상황에 맞게 제공하는 '다중매체 수중통신 표준'과 사물인터넷(IoT)을 통한 홈 헬스케어 기기 제어와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구현 방법을 제시하는 '홈 헬스케어 IoT 애플리케이션 기술보고서' 등이다. 가상 모형에 실제 현상이나 사물을 쌍둥이처럼 구현하는 디지털트윈 시스템 속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측정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디지털트윈 트위닝 일치도 측정 기술보고서'도 한국 제안으로 총회 승인을 받았다. 한국은 2016년 'JTC 1/SC 41' 설립 때부터 국제 간사국으로 IoT와 디지털트윈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번 승인으로 국내 산업계의 참여 확대 발판을 마련했다고 국립전파연구원은 전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뉴라텍이 세계 최초로 사물인터넷(IoT)용 장거리·저전력 Wi-Fi 칩셋을 출시한데 이어 이번에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Wi-Fi 칩셋을 출시하며 IoT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신제품 'NRC7394'은 차세대 Wi-Fi 헤일로(HaLow) 시스템온칩(SoC)으로, 국제표준인 IEEE802.11ah를 준수하면서 기존 경쟁 제품 대비 초소형 설계 및 이를 통한 생산비용 절감과 낮은 전략소비량의 경쟁력을 갖췄다. Wi-Fi 헤일로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기존 Wi-Fi 대비 IoT 시장에 특화된 새로운 Wi-Fi 국제 표준규격으로 1GHz 미만 주파수 대역에서 1km 이상의 장거리 통신, 벽 등 장애물에서의 높은 투과성, 1개 AP(Access Point)당 8000개 이상 기기와의 동시 접속, 낮은 전력소비량, 저렴한 네트워크 구축 비용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 활용을 통한 무료 통신비용을 주요 강점으로 한다. NRC7394는 뉴라텍이 세계 최초의 Wi-Fi 헤일로 칩셋인 'NRC7292'를 출시한 후 다양한 시장 요구사항 파악 및 경험을 토대로 성능과 비용을 개선한 차세대 제품이다. 생산원가 및 전력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크기는 초소형 6m
맥데이타는 6일부터 3일간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리는 '글로벌 ICT 표준 컨퍼런스 2023(이하 GISC 2023)'에서 표준특허부문 특허청장 표창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GISC 2023은 글로벌 ICT 표준화 동향, ICT 특허경영 사례 및 향후 표준·특허 전략을 논의하는 정보 교류 행사다. 올해 개막식에서는 ▲ICT 표준화 유공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 ▲특허경영과 지원에 우수한 공적이 있는 기관 및 개인의 ICT 특허경영대상 시상식 ▲표준특허에 우수한 성과를 보여준 기업과 기관에 대한 특허청장 표창이 진행됐다. 맥데이타는 지난해 9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맥테이타 주도로 개발된 5G 보안 및 관제 기술의 국제표준 채택이 이번 수상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있다고 전했다. 또한 맥데이타는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가 지원하는 표준특허 전략지원 사업에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 선정돼 표준특허 추진 및 채택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5G 보안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초고신뢰 초저지연 통신을 지원하는 IMT-2020 기반 버티컬 서비스 보안 요구
각 공장 및 현장의 설비 관리는 산업 내 뼈대 역할을 하는 핵심 영역이다. 설비 관리 측면에서 설비 고장 및 이슈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방지가 주요 골자인데, 산업 내 수많은 공정 설비에 대응하는 설비 진단 기술이 이미 시장에 구축돼있다. 원프레딕트는 설비 예측진단 솔루션 ‘가디원(GUARDIONE)’ 시리즈를 보유한 업체다. 윤병동 원프레딕트 대표이사는 “가디원 솔루션은 설비 예측진단 솔루션으로, 설비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미래 상태 예측까지 가능한 기술”이라며 “해당 솔루션을 통해 설비 고장으로 인한 생산 손실 최소화와 설비 가동율 최대화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Q. 원프레딕트는 어떤 기업인가. A. 원프레딕트는 산업 AI 및 IoT 기술 기반 설비 예측진단 솔루션 기업이다. 지난 2016년 산업설비 건전성 예측 분야 지식 및 노하우를 기반으로 설립됐다. 그동안 제조·에너지·석유화학·반도체 등 분야에서 설비예측진단 레퍼런스를 구축했다. 원프레딕트는 디지털 브레인 솔루션 ‘가디원’ 시리즈를 통해 설비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미래 상태를 예측한다. Q. 올해 상반기 성과와 하반기 계획을 소개해 달라. A. 올 상반기에는 산업 AI 기반 변압
시스템베이스는 36년 업력의 무선 시리얼 통신 전문기업이다. 혁신적이고 편리한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시리얼 통신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시리얼 통신 핵심 기술인 반도체를 중심으로 시리얼카드·컨버터·디바이스서버 제품을 개발해왔으며, 최근에는 I/O 관련 신제품 개발을 통해 IoT 전문회사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시스템베이스 장연식 대표는 “고객들이 좀 더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무선 기술을 적용한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며 세계 최고 IoT 전문회사가 되겠다”고 말했다. 최근 공장들이 스마트하게 변화하면서 무선 장비의 안정성 향상과 설치 편리,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무선 연결을 원하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가운데 시스템베이스는 어떤 전략과 비전을 가지고 있는지 장연식 대표에게 들어봤다. Q. 시스템베이스의 주력사업은. A. 시스템베이스는 1987년 설립 이후, 산업용 유무선 통신기기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시리얼 통신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시리얼 통신 핵심 기술인 반도체를 중심으로 시리얼카드·컨버터·디바이스서버 제품을 개발해왔으며, 최근에는 I/O 관련 신제품 개발을 통해 IoT 전문회사로 도
학생, 애호가 및 상업용 개발자 위한 Arm 기반 라즈베리 파이 제품 출시 Arm홀딩스와 라즈베리 파이는 Arm이 라즈베리 파이에 전략적 투자를 이행할 것을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Arm은 라즈베리 파이의 소수 지분을 인수해 사물 인터넷(IoT) 개발자 커뮤니티를 위한 핵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는 양사 간의 성공적인 장기적 파트너십을 확대했다. 복잡한 IoT와 AI 애플리케이션의 확산으로 엣지 컴퓨팅에 대한 수요가 가속화함에 따라, 라즈베리 파이의 솔루션은 전 세계 기업에 저비용 및 고성능 컴퓨팅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투자로 2008년부터 시작된 양사의 파트너십이 공고해졌으며, 학생, 애호가 및 상업용 개발자를 위한 Arm 기반의 라즈베리 파이 제품이 출시됐다. 라즈베리 파이의 가장 최근 주력 제품으로는 10월 말에 출시된 '라즈베리 파이 5'가 있다. Arm의 수석 부사장 겸 IoT 사업부 총괄 매니저인 폴 윌리엄슨(Paul Williamson)은 “Arm과 라즈베리 파이는 혁신의 장벽을 낮춰 누구나, 어디서나 새로운 IoT 솔루션을 배우고 경험하고 만들도록 해 모든 사람이 컴퓨팅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는 비전을 공유한다”고
사물인터넷(IoT)은 광범위한 연결성을 앞세워 사람과 일상에 스며들고 있다. 막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상호작용하는 IoT 시스템은 AI, 머신러닝과 통합됨으로써 점차 지능화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보안, 에너지 효율 등의 기술 과제에서 개선된 기능을 선보이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실리콘랩스는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혁신을 예고하는 IoT 기술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서비스와 플랫폼을 선보였다. 특히 최근 열린 Works With 2023를 통해 최신 IoT 개발 동향을 공유하며, IoT 기술이 나아갈 방향과 전략을 제시했다. Q : Works With 2023의 아젠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달라 A : 'Works With 2023'에서는 사물인터넷(IoT) 개발자를 위한 최대 규모의 컨퍼런스 행사로, 이틀 동안 기술 세션, 기조연설, 전문가 패널을 통해 최신 기술 및 시장 동향, 도구, 설계 기술을 다뤘다. IoT 개발자 커뮤니티를 위한 이 컨퍼런스에서 개발자는 자신의 제품 개발을 발전시킬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을 얻어갔다. 컨퍼런스에서는 블루투스와 와이파이에서부터 매터와 LPWAN에 이르는 다양한 주요 기술을 다루며, 보안과 인공지능(AI), 머신러닝(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최신 고성능 STM32H5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이용해 구현된 IoT 기기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IoT 허브에 간편하게 연결하는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 ST의 STM32Cube 확장 패키지인 X-CUBE-AZURE-H5는 엣지 기기로 동작하는 고성능 STM32H5 시리즈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및 애플리케이션 예제 세트로 구성돼 있다.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네트워크 구성 및 데이터 게시 등 애저 IoT 허브와 기기-클라우드 간의 안전한 커넥티비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애저 메시지, 메서드(Method), 트윈 업데이트 명령을 처리한다. 또한 이 솔루션은 ST의 임베디드 보안 소프트웨어인 보안 매니저를 이용해 STM32H5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연결한다. 다니엘 콜로나 ST STM32 마케팅 상무는 "최첨단 프로세서 아키텍처와 향상된 보안 기능을 갖춘 ST의 STM32H5는 차세대 IoT 기기를 바로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며 "개발자들은 STM32Cube의 레퍼런스 구현을 통해 애저 IoT 허브에서 제공되는 강력한 서비스를 활용하면서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하 KETI)가 대만에서 IoT 국제 워크숍을 개최하며 국제 표준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한국, 대만, 유럽 등 전문가가 참여했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스마트시티·5G·AI·메타버스를 위한 국제 상호운용방안'으로, 한국·대만·유럽 내 IoT 표준화 및 R&D 기관 그리고 대만 주요 협회 등이 공동 개최해 모비우스를 포함한 IoT 국제 표준을 소개하고 대만 산업계에서의 활용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장에는 대만 전자·IT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인 150여 명이 참석을 확정 지었으며, 프랑스·독일·인도 등의 IoT 국제표준 관계자들 역시 온라인으로 자리를 채워 사물인터넷 기술의 표준 동향과 적용 분야 등 다양한 IoT 활용 방안을 공유했다. KETI는 25일부터 3일간 타이베이 난강전시센터에서 개최되는 AIoT 2023 Taiwan 박람회에 KETI 전시 부스를 마련하고, IoT 분야 R&D 성과 및 국제 IoT 개발자 대회 수상작을 선보인다. 구체적으로 KETI는 자체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바이다 및 세종대학교와의 공동 R&D 성과를 공개하며, 지난 6월 개최한 제7회 KETI 모
혁신·서비스 부문서 쾌거 “관계 기관과 지속 협력해 동반성장 이룰 것” 그렉터는 2023 대한민국 도시혁신대상에서 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이달 26일 전했다. 대한민국 도시혁신대상은 ‘2023 대한민국 도시혁신 산업박람회’에서 지자체·공기업·민간기업 등을 대상으로 혁신 도시 생태계를 구축한 사례에 대해 표창하는 행사다. 해당 시상식은 도시 혁신에 대한 산업 기여도·적정성·혁신성·응용성·사업성 등 요소를 고려해, 3개 부문 13개 분야별 우수기업 및 기관을 선정한다. 그렉터는 이날 시상식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안전 인프라기술’이 건축·도시·금융 전문 심사단에게 높이 평가돼, 지난해 방재·안전 부문에 이어 혁신·서비스 부문에서 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상했다. 그렉터 스마트 모빌리티 안전 인프라기술은 AI 교통 인프라를 활용해, 자동차·보행자 등 객체와 장애물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통행 가능 여부, 일방통행 충돌방지 등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김영신 그렉터 대표는 “새롭게 도전하는 스마트 교통사업과 스마트 모빌리티 안전 인프라기술이 인정받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각 관계 기관과 협력해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관계를 지속
SDT가 기업 공개를 위해 NH투자증권와 대표주관사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SDT는 양자응용기술 연구 개발 등 선도적 기술력과 관련 성과들을 앞세워 기술특례상장을 준비, 2025년 국내 1호 양자기술 상장기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기술특례상장은 혁신기업의 코스닥 상장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 미래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 보유 기술에 대해 혁신성이나 사업 가능성을 인정받는 경우 최소 요건 충족으로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할 수 있다. 2017년 설립된 SDT는 IoT 모듈 설계로 사업을 시작해 각종 산업용 장비 및 클라우드 서비스, 양자기술 응용분야로 점차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다. 무엇보다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정밀한 수집과 분석을 위해 초정밀 계측/제어 장비, 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기반이 되는 ▲시스템 모듈 ▲펌웨어/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연결 라이브러리 등을 직접 개발하며 폭넓은 기술 경쟁력을 입증해 나가고 있다. 특히 양자표준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레이저, X선, 현미경, 보안 카메라 등과 연동한 복합 계측으로 분자 또는 원자 단위 데이터까지 정밀하게 수집할 수 있는 응용장비 개발은 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