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기적’에서 ‘디지털 혁신의 요람’으로… 서울 구로구와 금천구 일대에 조성된 구로디지털산업단지는 대한민국 산업화와 정보화 시대를 이끈 대표적인 국가산업단지로, 지금도 그 위상을 굳건히 지키고 있다. 1964년부터 1973년까지 ‘수출산업 단지 개발 조성법’에 따라 총 58만 평(192만㎡) 규모로 조성된 이곳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산업단지로, 서울 유일의 국가산업단지이기도 하다. 1960년대, 수출 중심의 경제 성장을 목표로 섬유·봉제 산업을 기반으로 개발된 구로산업단지는 1970~80년대에 이르러 석유화학, 기계, 전자 등 제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 시기, 구로는 ‘한강의 기적’을 이끈 주역으로 자리매김하며 대한민국 수출산업의 중추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며 구로산업단지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디지털 전환에 나섰다. 2000년 12월, 공식 명칭을 ‘구로디지털산업단지’로 변경한 뒤 고부가가치의 첨단기술·정보지식산업을 적극 유치하며 본격적인 변화를 꾀했다. 그 결과, 2000년대 중반 이후 이 일대는 IT 및 벤처 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며 ‘디지털 혁신의 요람’으로 거듭났다. 현재 구로디지털산업단지에는 총 13,038개 기업체
티맥스그룹이 갑진년을 맞아 보다 혁신적이고 글로벌 수준에 발 맞추는 조직문화를 구성하기 위해 '수평적 조직 문화'를 도입한다고 4일 밝혔다. 티맥스그룹은 지난 2일 진행된 '2024년 시무식'에서 수평적 조직 문화 도입을 선포했다. 이날 티맥스그룹은 '자율과 책임의 고효율 조직 운영을 위한 2024년 인사·조직문화 혁신안'도 발표했다. 티맥스그룹은 수평적 조직 문화를 위해 ▲임직원 상호 호칭 시 직위·직책 폐지 및 '이름+님' 호칭 ▲임직원 복장 전면 자율화 ▲사내 회의 시 토론 문화 정착 ▲보고 문화 혁신을 위한 일방적 보고 타파 등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티맥스그룹 관계자는 "순수 국내 기술의 IT 기업으로서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 티맥스그룹에게 필요한 것은 혁신적 기술 개발과 그동안 원천 기술의 콜라보레이션"이라며 "수평적 조직 문화를 기반으로 '위-아래'가 아닌 '우리'가 함께 기술력을 극대화 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시무식에서는 '티맥스 슈퍼웨이'를 위한 미션·비전·핵심가치 재정립 로드맵과 3단계 티맥스 슈퍼앱 전문가 인증 설계 구상 등에 대한 내용이 공개됐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