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인공지능(AI) 홈 허브 디바이스 ‘씽큐 온’(ThinQ On)을 출시하며 AI홈 시대의 포문을 연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이달 기업간거래(B2B) 고객을 대상으로 씽큐 온을 처음으로 공급했다. 씽큐 온은 LG전자가 지난해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가전 전시회 ‘IFA 2024’에서 공개한 AI홈 허브 디바이스다. 가전제품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최적의 상태로 연결·제어할 뿐 아니라, 생성형 AI를 탑재해 고객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대화 상황 및 맥락도 파악한다. LG전자는 이번 B2B 공급을 통해 기업 고객과 기기 성능 및 고객경험의 외연 확장 가능성을 확인한 뒤, 올해 상반기 중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온라인몰 등에서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씽큐 온 공급과 함께 LG 씽큐 앱에 ‘씽큐 플레이’ 서비스 페이지도 신설한다. 고객은 이 페이지에서 씽큐 온과 연동되는 다양한 앱을 추천받고 이를 씽큐 온에 설치할 수 있다. LG전자는 싱큐 온과 연계되는 앱에 지난해 인수한 스마트홈 플랫폼 ‘앳홈’의 IoT 생태계는 물론 음악 스트리밍, 루틴 관리 등 생활 편의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별도의 IoT 기기 센서
패션 특화 생성형 AI 솔루션을 다양한 독일 내 여러 기업에 제공할 계획 디자이노블이 지난 9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한 국제가전박람회(IFA 2024) 참여를 계기로 본격적인 글로벌 사업 확장에 나선다. 이번 IFA에서 디자이노블은 인도 기반 글로벌 SW 솔루션 기업 아마자틱(Amazatic Solutions) 독일지사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디자이노블의 패션 특화 생성형 AI 솔루션을 다양한 독일 내 여러 기업에 제공할 계획이다. 아마자틱은 2011년 창업한 SW 솔루션 기업으로 맞춤형 SW 개발, 클라우드 컨설팅,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도에 본사를 두며, 독일 베를린, 영국 런던, 미국 캘리포니아 등 전 세계에 지사를 두고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디자이노블은 자사의 핵심 기술인 마켓 인텔리전스, 트렌드 분석 및 이미지 생성 기술을 연내에 SaaS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번 제휴를 통해 아마자틱은 협력사에게 디자이노블의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며,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디자이노블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를 지원할 방침이다. 디자이노블은 IFA를 통해 아마자틱 외에도 인도의 원단 기업과 스위스의 패션 액세서
독일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밀레(Miele)가 올해 IFA에서 지속가능성과 편의성이 강화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7월 5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기자회견 '이노베이션 미디어 브리핑(IMB, Innovation Media Briefing)'에서 밀레 세일즈팀 베른하르트 회르슈 디렉터는 밀레의 주요 테마에 대한 의미를 설명했다. 또한 IMB를 통해 가족 기업 밀레가 9월 초 IFA에서 선보일 신제품과 함께 브랜드 모토인 삶의 질이 높고 편안하며, 지속가능한 생활을 위한 '밀레 오픈 하우스'에 대해 소개했다. 밀레 퍼포먼스 시리즈 드럼세탁기는 유럽 에너지 효율 A등급 마이너스 10%(유럽 에너지 효율 A 등급 기준보다 10% 더 낮은 에너지 소비량)를 달성했다. 밀레는 G 7000 시리즈 식기세척기를 통해 시장에서 가장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으로 인정받았다. G 7000 라인업은 재사용 가능한 유리병과 빨대를 단단하게 고정하고 깨끗하게 헹굴 수 있도록 했으며, 에너지 효율성을 포함해 부드러운 세척 기능이 가능한 프로그램도 적용됐다. 또한, 최근에는 권위있는 녹색제품상(Green Product Award)을 수상했다. 지난 I
스마트글라스, AI 얼굴인식, 수질관리 플랫폼 등 5개 전시 국내 연구진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국제가전박람회(IFA)에 참가, 인공지능 및 통신, 미디어 연구성과를 공개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오는 2일부터 5일간 개최되는 IFA 전시회에 최근 개발한 연구성과를 전시, 글로벌 기술마케팅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 연구진은 ▲스마트글라스 ▲AI 얼굴인식 ▲테라헤르츠 실내 네트워크 ▲수질관리 통합 플랫폼 ▲마이크로 LED 동시 전사·접합 기술 등 5개 기술을 전시회를 통해 선보인다. 연구원이 소개하는 첫 번째 기술은 스마트글라스 기술이다. 본 기술은 안경형 스마트 폰 기술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보기만 해도 자동으로 연결되는 편리성을 구현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전화 및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면서도 프라이버시가 철저히 보장되어 차세대 스마트 폰 시장에서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두 번째 기술은 AI 얼굴인식 기술이다. 인공지능을 통해 얼굴이 포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입력하면 특정 영상에서 해당 인물이 출연하는 구간을 검색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은 지능형 미디어
[첨단 헬로티]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지난 3일부터 나흘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국제가전박람회(IFA)에 참가, 최신 ICT 신기술을 선보인다. ETRI는 이번 전시회에 SW플랫폼,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 웨어러블 기술 등 총 4가지 기술을 선보인다. 연구원이 전시하는 첫 번째 기술은 전자출판 및 전자책 서비스 관련 플랫폼(SEA)이다. 본 기술은 인쇄된 책을 읽을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양질의 전자책을 공급해, 장애인이 원하는 도서를 스스로 구입하고, 쉽게 읽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이미 시각장애인들에게 시연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애플의 아이북스(iBooks)보다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호평을 받았다. 두 번째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이다. 본 기술은 스마트 사이니지 장치와 사물인터넷(IoT)기기를 서로 연동, IoT 장치의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사이니지 상황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이다. 예로 긴급한 재난 재해 상황 발생 시, 사물인터넷(IoT)기술로 재난 재해 상황을 인지하고 건물이나 길가 곳곳에 설치된 대형모니터(스마트 사아니지)를 통해 상황에 맞는
[헬로티] 태블릿 전문 기업인 와콤은 독일 베를린에서 현지시간 9월 2일부터 7일까지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에 참가해 스마트패드 제품 2종(Bamboo Slate 및 Bamboo Folio)과 스타일러스 3종(Bamboo Solo, Bamboo Duo, Bamboo Omni) 등 컨슈머 제품을 공개했다. 뱀부 슬레이트(Bamboo Slate)와 뱀부 폴리오(Bamboo Folio)는 두 가지 사이즈로 구성된 스마트패드 제품으로, 기능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다. 여기에는 와콤 잉크스페이스(Wacom Inkspace) 앱과 클라우드 서비스 등 새로운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작업물을 벡터 포맷인 SVG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손 글씨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사용자들은 집, 학교, 회사 등 종이 위에 적은 아이디어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기화해 디지털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작업할 수 있다. 뱀부 슬레이트와 뱀부 폴리오는 종이 노트와 스마트폰, 클라우드, PC로 이어지는 디지털 라이프를 매끄럽게 연결해 준다. 스마트패드는 와콤의 전자기파(EMR: Electro Magnetic Resonance) 펜 기술과 와콤의 디지털 잉킹 기술인 W
지난 9월 4일 개막해 총 6일간의 전시를 마친 '2015 베를린가전박람회(IFA)'에서 한국 전자IT중소기업이 중국, 홍콩, 대만을 상대로 우위를 점하며 많은 해외바이어들의 주목을 받았다. 50여개국 1645개사가 참가한 이번 박람회 가운데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주관한 IFA 2015 한국관은 파워보이스, 에이스엔 등 26개 업체가 참가해 유럽 업체의 신제품 경쟁 속에서도 약 8천만달러 이상의 수출상담 실적을 올렸다. 한국관 참가기업들은 출품한 모든 제품에 대해서 생활환경, 습관 등을 고려해 유럽 현지화 시키는 데 주력, 그 결과 중국, 대만 기업과 차별화됐다. 특히 올해 IFA 한국관에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아이디어 제품들이 많았다. 머커(주)의 끓이는 가습기, (주)파워보이스의 가전제어기기, (주)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의 음악연동 저주파자극기, (주)에이스엔의 스마트기기용 블루투스음주측정기 등이 참관객과 바이어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작년에 이어 다시 참가한 광동하이테크(주)는 독자적인 코팅기술 소재를 통해 유럽의 완제품 생산 업체를 상대로 총 1천만달러 상당의 수출계약 상담을 성사시켰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남인석 부회장은 “글로벌
삼성전자가 현지시간으로 4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15에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를 중심으로 전략 제품을 전시한다. 삼성전자는 ‘시티큐브 베를린(CityCube Berlin)’에 작년과 동일한 8,730㎡(약 2,640평) 규모로 원형으로 구성한 IoT 존을 중심으로 첨단 제품을 전시하고 비즈니스 라운지를 운영한다. 프레스 컨퍼런스도 개최해 첨단 제품을 소개한 후 자연스럽게 제품 체험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삼성전자는 IoT시대를 맞아 소비자들의 경험이 중요시되면서, 이번 IFA에서 제품 특징과 스펙 위주의 전시를 벗어나 새로운 전시 컨셉을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전자에서 가장 중점을 둔 IoT 존은 천정에 65인치 커브드 SUHD TV 18대를 사용해 원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하늘을 연출했으며, 소비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삼성전자가 선보이는 제품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 총 24개의 시나리오로 구성한 쇼케이스를 방사형으로 설치했다. 투명 유리관으로 이루어진 쇼케이스는 슬립센스, TV, 모바일, 스마트싱스 4개의 주제에 맞뤄 삼성전자 전략제품의 활용 시
LG전자가 이달 4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5’에서 글로벌 공략을 위한 시장선도 제품을 대거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LG전자는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Innovation for a Better Life)’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3,799제곱미터(㎡) 규모의 부스에 차원이 다른 올레드 TV, 프리미엄 고효율·스마트 가전, 연결성을 강화한 모바일 기기 등을 전시한다. LG전자는 전시장 규모를 지난해 대비 43% 늘려 역대 최대 규모로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차별화된 시장선도 제품들을 선보이며 글로벌 프리미엄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또한 HDR 기술을 적용한 울트라 올레드 TV를 이번 전시회에 전시한다. HDR은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세밀하게 분석해 어두운 곳은 더욱 어둡게, 밝은 곳은 더욱 밝게 표현하는 기술이다. 이 때문에 HDR 기술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는 한층 선명하고 또렷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올레드 TV는 각각의 화소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뒤에서 빛을 비춰줘야 하는 LCD TV와 달리 완벽한 블랙을 구현
삼성전자가 9월 4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 박람회장에서 열리는 IFA 2015에서 온라인, 가상현실에서도 전시관을 체험할 수 있도록 새롭게 시도한다. 지금까지 전시관에 한정되어 있던 기존의 전시를 공간의 경계가 없는 온라인, 가상 공간으로 확장함으로써, 직접 현장에서 체험할 수 없는 고객들도 어디서든 쉽게IFA 전시를 체험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9월2일부터 베를린 시내 주요 명소에서 전시관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관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베를린을 대표하는 쇼핑 플레이스 ‘불러바드(Boulevard)’, 모바일 제품 매장과 카페가 결합된 다목적 공간 ‘카페 베이스 캠프’, 삼성의 커넥티트카 협력파트너인 BMW의 베를린 쇼룸 등에 기어VR을 활용한 체험존도 마련하여 새로운 형태의 고객 체험을 제공한다 VR 체험존에서는 스카이다이빙을 통하여 삼성전자 전시관으로 이동해, 전시관을 실제 방문한 것과 같이 전시장 입구에서부터 전시장 내부와 삼성 IoT 제품을 비롯해 주요 제품을 둘러보는 등의 가상현실 콘텐츠로 전시관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IFA 2015가 개막하는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