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추진하는 기업 중 ‘최대어’로 꼽히는 공작기계 기업 DN솔루션즈가 “작년 미국 내 점유율이 4위에서 2위로 올랐고 ‘미국산’(메이드 인 USA) 중시 시대를 현지 점유율 증대의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DN솔루션즈는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업공개(IPO) 언론 간담회를 열고 “이번 달 말 미국 시카고에서 현지 기술 지원을 담당할 시카고 테크니컬 센터(CTC)를 열면서 미국 사업을 더 확대하겠다”며 이처럼 설명했다. 공작기계는 금속을 깎아 고정밀 부품을 만드는 기기다. 반도체와 자동차 등 제조업 전반에 꼭 쓰이는 기초 설비로 꼽힌다. DN솔루션즈는 세계 시장에서 공작기계 점유율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공장 기기 부품을 공급하고 유지·보수를 하는 ‘하드웨어 솔루션’도 지원하며, 차세대 성장 사업으로는 공장 자동화 서비스를 키우고 있다. 매출 비중은 수출이 약 80%, 내수가 20%다. DN솔루션즈는 현재 한국(창원)과 중국에 공장을 갖고 있다. 미국 사업장은 없지만 현지 여러 업계와 연계가 탄탄한 만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강화 기조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DN솔루션즈는 이와
뉴로메카가 DN솔루션즈의 ‘DIMF 2025(DN Solutions International Machine Tool Fair)’에서 양사 협업으로 개발한 고정밀 협동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첫 공개했다. DIMF는 DN솔루션즈가 1997년부터 2년마다 개최하는 자체 국제공작기계전시로 올해는 ‘공작기계 가공 공정 전반을 위한 오토메이션 플랫폼’을 주제로 4월 2일부터 5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다. 총 50여 종의 장비와 솔루션이 전시되며 해외 고객 1000여 명을 포함한 5000명 이상이 참관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로메카는 이번 전시에서 자사의 대표 협동로봇 ‘Indy(인디)’, ‘NURI(누리)’ 시리즈와 통합 제어기 ‘STEP(스텝)’을 기반으로 한 고도화된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반도체 및 공작기계 가공 등 고정밀 작업에 적합한 솔루션이라는 점에서 현장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고 회사는 전했다.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누리를 활용한 반도체 링의 자동 적재·배출 솔루션 2종을 시연했다. 각 솔루션은 깨지기 쉬운 링 형태의 쿼츠와 같은 소재을 핸들링하기 위한 특수한 진공 그리퍼 적용과 로봇의 제어에 공작 기계의 축계 제어를 연동하여 정밀도를
공작기계·협동로봇 융합 통한 스마트 제조 혁신 속도 뉴로메카가 공작기계 기술 업체 DN솔루션즈로부터 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로봇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차세대 제어 시스템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뉴로메카 협동로봇과 DN솔루션즈 공작기계의 통합을 목표로 한다. 해당 시스템은 추후 양사 자동화 솔루션 라인업에 적용될 방침이다. 양사가 개발하는 통합 제어 솔루션은 각종 자동화 설비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제어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뉴로메카 협동로봇을 비롯해, ‘겐트리 로더’ 및 ‘’팔렛 풀 시스템(Pallet Pool System) 등 DN솔루션즈 솔루션이 포함된다. 이는 뉴로메카 자체 개발 인공지능(AI) 기반 제어기에서 구동 가능할 전망이며, 모든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구성된다.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이사는 “DN솔루션즈와의 협력은 뉴로메카의 자동화 기술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제조업이 보다 효율적인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솔루션을 지속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양사는 지속 협력을 통한 머신텐딩(Machine Tending) 솔루션의 고도화를 도모할 방
오는 9월 하노버 생산제조기술박람회 ‘50주년’ 개막 앞둬...자동화·DX·지속가능성 집중 조명 글로벌 35개국 1300여 개 업체 출격...국내 40여 업체 참여해 생산제조 기술 어깨 나란히 “금속가공·공작기계 산업 회복세로 전환...변혁기에 적응해야” 현시점 제조 업계 핵심 어젠다는 디지털 전환(DX)·지속가능성(Sustainability)다. 이는 인력난·원자재 가격 상승·투자 위축 등 직면한 각종 위협과 맞물려 더욱 강조되는 이슈다. 결국 기업·조직을 넘어 국가 차원에서 달성해야 하는 차세대 트렌드로, 전 세계 제조 산업이 바라보는 공통의 비전이다. 마커스 헤어링(Harkus Heering) 독일공작기계협회(VDW)는 오늘날 우리 제조 산업에 들이닥친 다양한 도전과제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 언급했다. 그는 “이 같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관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동화·DX·지속가능성 등으로 인해 각종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구축되고 있는 상황을 주목했다. 그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트렌드로 인해 전동화 양상에 진입한 자동차 산업을 먼저 예로 들었다. 아울러 DX 측면에서는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화(Digitalization
공작기계 및 자동화 솔루션 기업 DN솔루션즈는 경기 부천시에 '첨단 연구개발(R&D) 센터'(가칭)를 짓는다고 10일 밝혔다. 부천 대장 제1 도시첨단산업단지(대장산단) 내 약 1만4천㎡(4,300평) 규모 부지에 약 2,400억원을 투자해 신축할 계획이다. 입주 목표는 오는 2028년 초다. DN솔루션즈는 이날 부천시청에서 부천시 등과 대장산단 입주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원종 DN솔루션즈 대표이사와 조용익 부천시장 등이 참석했다. 첨단연구개발센터는 DN솔루션즈의 국내외 기술연구소, 테크니컬센터 등 기술 거점과 긴밀히 연계해 연구개발 역량을 결집하고 혁신 제품 개발을 가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DN솔루션즈는 본사가 위치한 경남 창원과 중국 옌타이, 독일 지그·빌레펠트, 인도 벵갈루루(예정)에 기술연구소를 두고 있다. 창원과 독일 도르마겐, 미국 시카고, 멕시코(예정), 중국 상하이(예정)에는 테크니컬센터를 구축했거나 만들고 있다. 첨단연구개발센터가 설립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대학·연구기관과의 협업이 수월해져 인재를 더 적극적으로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DN솔루션즈는 기대했다. 김원종 DN솔루션즈 대표이사는 "대장산단은 수도권 최고
공작기계 및 자동화 설루션 기업 DN솔루션즈는 제61회 무역의 날 행사에서 ‘8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경남 창원시에 본사를 둔 DN솔루션즈는 올해 경남 지역에서 최고 규모의 수출을 달성했다. DN솔루션즈는 매출 기준 약 80%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수출 위주 기업이다. 동종 업계에서 국내 최대이자 세계 3위 수준이다. DN솔루션즈는 지난 2월 베트남 법인을 호찌민시에 신설하며 아세안 지역의 판매 및 기술 지원을 강화했다. 지난 7월에는 인도 카르나타카주 정부와 협약을 맺고 벵갈루루 신공장과 연구개발(R&D) 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다. 김원종 DN솔루션즈 대표는 “앞으로도 최고 제품과 서비스로 세계 고객의 성공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더 사랑받는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한국산업지능화협회와 코엑스는 지난 22일 부산 및 창원에서 진행된 ‘2024 산업지능화 선도기업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아시아 대표 스마트 제조혁신 박람회인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의 부스 신청 조기마감이라는 높은 관심에 따라, 박람회를 공동 주최하는 협회와 코엑스에서 참가사 및 참관객을 대상으로 DX(디지털 전환) 선도기업 현장 방문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DX 수요·공급기업, 유관기관 및 학계 관계자 30여 명이 참여했으며 DX 전문지식, 기술 노하우, 도입 효과 등을 직접 확인했다. 먼저 부산의 글로벌 친환경 설비 전문기업인 파나시아 본사를 방문, 협동로봇을 도입해 공정 자동화를 구현한 사례 및 AI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현황을 살펴봤다. 파나시아는 대기·수질·수소 사업 분야 기업으로 부산시 최초로 스마트팩토리 시범공장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어 DN솔루션즈 창원 남산공장에서 가공 생산, UNIT 생산 및 TC 조립라인 현장 투어를 진행했다. DN솔루션즈는 절삭가공 산업의 디지털 트윈 및 제조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AI 자율제조 공장 구축을 목표로
DN솔루션즈가 8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 예비심사를 신청하고 기업공개(IPO)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DN솔루션즈는 공작기계(머신 툴, Machine Tool) 및 첨단 제조 솔루션 기업으로, 2023년 매출액 기준 국내 1위, 글로벌 3위 업체다. DN솔루션즈는 1976년 대우중공업 사업부로 출범했으며 자동차, IT·반도체, 우주항공 등의 다양한 제조업에 필수적인 첨단 금속 절삭가공 장비(머시닝센터, 터닝센터 등)를 생산한다. 공작기계에 로봇이나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자동화 솔루션 등도 공급하고 있다. DN그룹이 2022년 1월 사모펀드 MBK로부터 경영권을 인수한 이후 DN솔루션즈는 2023년 연결기준 매출 2조 1023억 원, 영업이익 4362억 원(영업이익률 20.7%)을 기록했다. 이는 DN그룹 인수 전인 2021년 대비 매출액 약 10%, 영업이익 약 97%, 영업이익률 약 9%포인트(p)가 늘어난 실적이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도 320%에서 110%로 큰 폭으로 감소해 재무구조 또한 대폭 개선됐다는 평가다. DN그룹 편입 후 DN솔루션즈는 양적으로 성장했을 뿐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변모하고 있다. DN솔루션즈는 DN그룹에 인수된 이
DN솔루션즈는 다음 달 멀티태스킹 머신(복합가공기) 시리즈를 출시하고 미국과 유럽에서 열리는 대규모 공작기계 전시회에서 처음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새 멀티태스킹 머신은 복잡한 모양의 선삭(회전하는 공작물의 표면을 고정된 공구로 깎아 가공)과 밀링 작업(회전하는 공구가 고정된 공작물을 깎아 가공)을 한 번에 할 수 있다고 DN솔루션즈는 소개했다. DN솔루션즈는 다음 달 9∼14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규모의 공작기계 전시회 'IMTS 2024'에서 새 멀티태스킹 머신을 포함해 총 13대의 최신 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을 전시한다. 또 9월 10∼14일 독일 슈튜트가르트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규모 전시회인 'AMB 2024'에서도 신제품을 전시한다. 김원종 DN솔루션즈 대표이사는 "새 멀티태스킹 머신은 기존 제품과 전혀 다른 콘셉트와 디자인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적층·절삭 복합가공기 해군 납품 1년째…“이제 없어서는 안 돼” 해외 보내 1년 걸리던 수리, 1주일이면 완료 DN솔루션즈(DN Solutions, 대표이사 김원종)는 지난해 납품한 적층·절삭 복합가공기(금속용 3D프린터)가 1년 만에 해군 주요 전투 자산을 정비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고 밝혔다. 앞서 DN솔루션즈는 지난해 7월 경남 진해에 자리 잡은 해군정비창에 DED (Directed Energy Deposition) 금속 적층제조 기술을 적용한 적층·절삭 복합가공기를 납품했다. 이후 DN솔루션즈의 금속용 3D프린터는 대한민국 해군의 전투 준비태세의 한 축을 담당하는 해군정비창의 최첨단 무기 역할을 하고 있다. DN솔루션즈는 최근 육군정비창에서 또 다른 금속용 3D프린터를 수주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납품할 계획이다. 해군정비창 3D프린터팀은 지난 2017년부터 2023년까지 600여 종 6000여 점의 비(非)금속 소재 부품을 3D프린터로 직접 제작해 왔는데, DN솔루션즈의 금속용 3D프린터를 들이면서 금속 소재 부품도 직접 적층 방식으로 제작 및 수리할 수 있게 됐다. DN솔루션즈의 금속용 3D프린터는 이지스함을 비롯한 해군의 주요 전투 자산의
중국 이어 두번째 해외공장…2030년까지 1천억원 이상 투입 DN솔루션즈(옛 두산공작기계)는 인도 벵갈루루에 신공장 및 연구개발(R&D)센터를 구축한다고 2일 밝혔다. 새 공장은 벵갈루루 인근 산업단지 내 10만㎡ 규모 부지에 조성된다. 이르면 2026년 준공될 예정이다. 공장 및 센터 건설에는 2030년까지 1차적으로 1천억원 이상이 투입된다. 이는 지난 2022년 사명을 바꾸고 DN그룹의 일원이 된 DN솔루션즈가 결정한 가장 큰 규모의 해외 투자다. 인도 남부에 위치한 벵갈루루는 한국 기업이 다수 진출해있는 첸나이와 가깝고, 제조업 공급망이 발달해 현지 공작기계 업체의 4분의 1가량이 위치한 지역이다. 벵갈루루 공장은 지난 2004년 가동하기 시작한 중국 옌타이 공장에 이어 DN솔루션즈가 구축하는 두 번째 해외 생산 거점이 된다. 신공장이 가동되면 DN솔루션즈는 기존 창원의 남산공장·성주공장, 중국 옌타이 공장 등과 함께 3개국 생산 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번 신공장 및 R&D센터 투자를 통해 DN솔루션즈는 급성장하는 인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DN솔루션즈는 올해 초 현지 맞춤형으로 개발한 머시닝센터 신제품을 출시하는
DN솔루션즈가 동시 5축 수직형 머시닝센터 ‘DVF 5000’ 2세대를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DVF 5000은 DN솔루션즈의 대표 5축기로, 다섯 개의 축이 동시에 움직임으로써 복잡한 형상과 곡면을 손쉽게 가공할 수 있다. 한번의 세팅으로 완가공이 가능해 공정 단축을 비롯해 반복되는 셋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비용, 품질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DN솔루션즈 관계자는 “DVF 5000 2세대는 이전 모델 대비 생산성과 가공 능력이 월등히 향상됐다”며 “업계 최고 수준의 쿨링 시스템과 열변위 보정 기능을 표준으로 적용해 장시간 가동에도 높은 정밀도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대 400kg의 공작물 가공에도 강력하면서도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며 “특히 DVF 5000 2세대는 장착 가능한 소재 및 클램핑 치구 사이즈를 증대하여 가공 유연성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DVF 5000 2세대는 한층 빨라진 X·Y·Z 축 이송속도를 비롯해 가감속 0.4g로 기존 대비 2배 빨라졌다. B·C축 회전속도는 25 r/min으로 25% 향상됐다. DVF 5000 2세대는 기존보다 증대된 15000 r/min 스핀들을 표준 적용했다. 고강
DN솔루션즈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는 공작기계 전시회 MacTech KSA 2024에 첫 참가한다고 밝혔다. IFG가 주관하는 MacTech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최대 공작기계 전시회다. MacTech KSA 2024는 4월 30일부터 5월 2일까지 3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제 전시센터에서 열린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내수 시장과 함께 석유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으로 주목받고 있다. 2016년 중장기 발전정책 기조인 '비전 2030'을 발표한 바 있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최첨단 미래도시 네옴시티 건립을 비롯해 항공정비산업(MRO)을 중점 육성하고 있다. 국부펀드 주도로 자동차 전문 투자회사를 설립하여 투자를 유치하는 등 건설, 제조, 자동차 등 산업 전방위에 걸쳐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국영 석유·화학 기업 아람코는 글로벌 선도기업들과 협력하여 에너지산업 허브 SPARK, 공급망 현지화를 위한 IKTVA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공작기계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오일 및 가스 기업들이 사우디 내 생산 거점을 신설하여 오일 및 가스 기기
미래에셋증권·삼성증권·UBS증권 대표주관사 선정...한국투자증권·BofA증권도 지원사격 DN솔루션즈가 기업공개(IPO) 절차에 착수한다. 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삼성증권·UBS증권을 선발했다. 이에 앞서 DN솔루션즈는 지난 1월 국내외 주요 증권사에 IPO 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 이후 산업 및 회사 이해도, IPO 추진 경험, 전략·수행 역량 등 기준을 거쳐 앞선 대표주관사 세 곳과 함께 한국투자증권과 BofA증권을 공동 주관사로 선정했다. DN솔루션즈는 앞으로 실적, 공작기계 업황, IPO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최적의 IOP 시기와 구체적 로드맵을 도출할 계획이다. 향후 IPO 공모자금을 연구개발(R&D) 확대, 첨단 설비투자, 하이엔드 제품 및 핵심 유니트 개발, 스마트 머신 및 자동화 솔루션 고도화 등 사업 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에 활용할 방침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신제품·자율제조·자동화 등 세션 기획 중국 산업 환경 특화 가공 솔루션 공개...최신 모델 7종도 첫선 DN솔루션즈가 중국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er)에서 열리는 상해공작기계전(CCMT 2024)에 출전해 각종 최신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CCMT 2024는 이달 8일부터 닷새간 개막하는 공작기계 산업 전시회로, 중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최한다. DN솔루션즈는 이 자리에서 신제품(New Product),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자동화(Automation) 세션을 세분화해 최신 기술이 적용된 신모델 7종을 공개한다. 특히 중국 엔타이시 소재 DN솔루션즈 공장에서 생산한 새로운 기종과 중국 특화 가공 솔루션을 중점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신제품 세션에서는 차세대 복합 가공기 ‘SMX 2100ST’와 세라믹 및 쿼츠 연마 가공기 ‘DNC 8060’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자율제조 세션에는 협동로봇 모델 코보솔(COBOSOL)이 접목된 컴팩트 터닝센터 ‘Lynx 260SSY’와 로봇 연동 컴팩트 수직형 머시닝센터 ‘DNM 5700 4세대’가 전시된다. 이 중 DNM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