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2분기 국내은행 BIS 비율 하락…금리인상 여파
총자본비율 15.25%, 3개월새 0.23p↓…채권평가손실로 자본감소 올해 2분기 국내 은행들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국내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이 전분기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6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29%로, 3개월 전보다 0.23%포인트(p) 하락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2.70%, 기본자본비율은 13.94%로 같은 기간 0.29%포인트, 0.28%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3월 말 대비 0.15%포인트 하락한 6.25%를 나타냈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감독당국의 규제 기준은 보통주자본비율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다.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D-SIB)은 1%포인트를 가산해 총자본비율을 규제한다. 채권평가손실로 인한 자본 감소로 자산증가율(2.4%)이 자본증가율(0.9%)을 상회해 대부분 은행에서 자본비율이 하락했다고 금감원은 평가했다. 은행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