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5일 경북 포항시 영일만 일반산업단지 내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연산 25만 톤 규모의 산업용 가스 생산 설비를 착공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5000평 부지에 산소공장을 신설하고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를 분리, 정제하는 공기분리장치(ASU, Air Separation Unit)와 액체산소 2000톤을 저장할 수 있는 대형 저장탱크 등을 설치한다. 2024년 하반기에 대형 저장탱크를 먼저 설치하고 2025년 하반기까지 ASU 설비를 준공해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재, 전구체 생산공정 및 니켈 정제공정에 사용될 고순도 산소와 질소를 공급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 내 양극재 공장을 운영 중인 포스코퓨처엠 등과의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산업가스를 공급할 계획이며 이번에 신설되는 ASU와 대형 저장탱크를 통해 연간 양극재는 10만 톤, 순니켈은 5만 톤, 전구체는 11만 톤까지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산소공장 준공은 현재 해외 및 사모펀드 소유 기업이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국내 산업가스 시장에서 포스코가 공급 확대를 본격화함으로써 국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GS건설은 에어퍼스트와 산업용 가스 및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관련 사업 기술개발 협력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GS건설 플랜트부문 대표 권혁태 전무와 에어퍼스트 양한용 사장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ASU(Air Separation Unit) 운영과 관련한 국내외 동반 프로젝트 협업 기회를 발굴한다. ASU는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 정화해 고순도의 산소, 질소, 아르곤 등을 생산해내는 설비다. 또한 탄소 저감 등 ESG 산업에 해당하는 신사업 분야 검토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양사 간 협력은 향후 플랜트 프로젝트 시 포함될 수 있는 ASU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양사의 협력방안 모색을 기본으로 한다"며 "GS건설은 이러한 친환경 기반의 신사업 기회 모색을 통해 국내 대표 지속가능경영 기업이 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어퍼스트는 국내 산업용 가스 생산·공급 전문 업체로, 국내에서 운영 중인 다수의 ASU 플랜트에서 생산한 산업용 가스를 국내 주요 국가 기간 산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삼성엔지니어링이 DIG에어가스(옛 대성산업가스)와 손잡고 핵심 산업가스인 질소의 생산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삼성엔지니어링은 8월 10일 서울 강동구 삼성GEC 본사에서 DIG에어가스와 'ASU 표준 설계도서 개발 및 공동 사업수행에 대한 업무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산업용으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질소생산설비인 공기분리플랜트(ASU·Air Separation Unit)에 대한 설계 표준 패키지를 공동 개발해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기로 했다. 질소는 정유·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반도체, 타이어, 식품 제조, 제철 등의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산업용 가스다. 공기의 78%를 차지하며 가장 대중적인 비료인 암모니아·요소 비료의 원료이기도 하다. 두 회사는 표준패키지 개발이 완료되면 설계 정보를 조기에 확정할 수 있어 프로젝트의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중동과 남미, 유럽, 동남아시아 등에서 풍부한 ASU 플랜트 건설 경험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DIG에어가스는 국내 유일의 ASU 원천기술 보유 회사로, 산업용·특수 가스를 생산·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