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화웨이가 세간을 놀라게 할 사건을 만들었다. 화웨이가 공개한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Mate 60 Pro)’이 바로 그것인데, 놀랍게도 이 스파트폰에 적용된 미세공정이 7nm 수준이라는 것이었다. 화웨이의 발표에 가장 뜨끔한 나라는 미국이다. 올초 발표된 반도체지원법을 비롯해 각종 제재로 중국을 제약해온 미국은 중국의 숨겨왔던 기술 약진에 따른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는 분위기다. 7nm의 등장, 미국은 놀랐다 화웨이가 발표한 메이트 60 프로는 미국의 제재 속에 중국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상징과도 같았다. 이번 발표에서 가장 주목받은 사항은 7nm 미세공정으로 제작됐다는 점이었다. 테크인사이츠의 분석에 따르면, 화웨이는 메이트 60 프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SMIC와 함께 7nm 프로세서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세서는 SMIC가 중국에서 제조한 신형 칩 ‘기린 9000s(Kirin 9000s)’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메이트 60 프로 판매를 시작한 화웨이는 내부 칩셋의 성능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이에 블룸버그는 중국이 최신 공정보다 5년 정도 뒤처지긴 했으나 7nm 반도체를 자체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미래 반도체 제조 위해 여러 파운드리에서 7나노 공정 평가 중"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된 중국 반도체 설계회사 룽손테크놀로지(이하 룽손)가 7나노미터 첨단 반도체 공정을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번주 룽손은 상하이증시 공식 질의 플랫폼을 통해 미국 제재의 영향과 현재 제품 개발에 관한 투자자들의 문의가 쇄도하자 이같은 답변을 내놓았다.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룽손을 비롯해 27개 중국 기업을 무역 제재 대상인 '수출 통제 명단'에 올린 지 일주일 만에 나온 반응이다. 룽손은 "미래 반도체의 제조를 위해 여러 파운드리에서 7나노 공정을 평가하고 있다"면서 "최근의 제재는 어떠한 주요 영향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룽손이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힌 첨단 반도체에는 엔비디아가 세계 시장에 공급하는 것과 같은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텔과 AMD가 장악하는 중앙처리장치(CPU)가 포함됐다. 미국의 제재에도 첨단 반도체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해 8월 미국 상무부는 중국군에 AI용 GPU 반도체가 사용될 위험이 있다며 엔비디아와 AMD에 대중 수출을 금지했다. 이에
[첨단 헬로티=이나리 기자] 7나노 이하의 IC 수요 증가로 웨이퍼 당 매출 증가 TSMC 웨이퍼 당 매출 13% 상승 – 글로벌파운드리, UMC, SMIC 웨이퍼 당 매출 하락 파운드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위해서는 미세공정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미세공정이 중요한 이유는 반도체 회로의 선폭 크기를 작게 할수록 똑같은 크기의 웨이퍼에서 더 많은 반도체를 만들 수 있어서 생산성은 높아지고 가격은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IC인사이츠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7나노(nm) 이하의 IC 공정 수요 증가로 인해 전체 웨이퍼 당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파운드리 업계는 10나노 미만 시대에 본격적으로 돌입하면서 7나노와 10나노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고성능 로직 디바이스를 생산하고 있다. 현재 파운드리 업계에서 10나노 미만 공정은 대만의 순수 파운드리 업체인 TSMC와 국내 기업인 삼성전자의 경쟁구도로 이뤄져 있다. TSMC 경우에는 2019년 주요 팹리스 업체들이 최신 디자인을 7나노 공정 기반 제조하면서 웨이퍼 당 전체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TSMC는 2014년에 비해 2019년 웨이퍼 당 매
[첨단 헬로티] AMD가 7나노(nm) 기반 게이밍 그래픽 카드인 AMD 라데온™ VII(Radeon™ VII)을 공식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이에 따라 AMD는 최신 AAA 게임, e-스포츠, VR 타이틀 플레이는 물론, 3D 렌더링과 비디오 편집 등 고성능을 요하는 차세대 컴퓨팅 작업에 놀라운 성능과 경험을 제공하게 됐다. 2세대 AMD 베가(Vega) 아키텍처 기반의 AMD 라데온 VII는 현재 AMD의 최상급 라인업인 라데온 RX 베가 64와 비교해 2배의 메모리와 2.1배 향상된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한다. AMD는 “게이머들이 AMD 라데온 VII으로 높은 해상도에서 맥시멈 세팅, 최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라데온 VII 사용자는 1080p, 울트라와이드 1440p, 4K 모니터에서 끊김없이 빠르게 HDR 게이밍을 즐길 수 있으며, 8K 모니터에서도 차세대 사진 및 비주얼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7나노(nm) 기반 게이밍 그래픽 카드인 AMD 라데온™ VII(Radeon™ VII)
[첨단 헬로티] EUV 생산 라인 구축해 7나노 이하 미세공정 기술 리더십 강화...모바일, 서버 등 고성능/저전력 특성이 요구되는 첨단 반도체 시장 대응 삼성전자가 지난 23일 경기도 화성캠퍼스에서 '삼성전자 화성 EUV 라인 기공식'을 열고 본격적으로 라인 건설에 착수했다. 이번에 착공하는 화성 EUV라인은 2019년 하반기에 완공, 시험생산을 거쳐 2020년부터 본격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신규라인에는 미세공정 한계 극복에 필수적인 EUV(Extreme Ultra Violet, 극자외선)장비가 본격 도입될 예정으로 삼성전자가 향후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산업은 공정 미세화를 통해 집적도를 높이고 세밀한 회로를 구현하며 반도체의 성능과 전력효율을 향상시켜왔다. 그러나 최근 한 자리 수 나노 단위까지 미세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다 세밀한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ArF(불화아르곤) 광원보다 파장이 짧은 EUV 장비의 도입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EUV 기술이 본격 상용화되면 반도체의 성능과 전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회로 형성을 위한 공정수가 줄어들어, 생산성도 획기적으로 높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