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로봇 업체 큐렉소와 ‘서비스형 제조(MaaS) 계약 상향 자체 로봇 기술 역량 기반 차세대 로봇 분야 기술 확산 예고 뉴로메카가 의료 로봇 업체 큐렉소와 대규모 납품 계약액을 상향했다. 기존 90억에서 92억5000만 원으로 계약을 확장했다. 이번 계약 금액 상향은 제품 버전 개선에 따른 것이다. 뉴로메카 측은 자사 '서비스형 제조(Manufacturing as a Service, MaaS)' 사업 모델이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입증하는 계기라고 설명했다.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변경 공시는 애초 2년간 90억 원 규모로 체결된 계약에서, 올해 납품 예정 제품의 버전 업그레이드가 이뤄지면서 매출이 증가한 결과다. 뉴로메카는 이를 통해 제조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MaaS 사업 모델을 지속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뉴로메카의 MaaS 모델은 초기 설계부터 양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사 상황에 맞춘 맞춤형 제조 지원을 통해 빠른 사업화와 제품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돕는다. 뉴로메카는 협동 로봇, 델타 로봇, 자율주행로봇(AMR), 로봇 핵심 부품 및 제어 소프트웨어 등 자체 기술 역량을 보유했다.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 보건의료 전략 사업 내 ‘휴머노이드 수술 보조 로봇 개발’ 과제 수행기관 선정 휴머노이드 수술 보조 로봇 본체 및 핵심 모듈 개발, GMP 기반 생산 시스템 등 구축한다 뉴로메카가 ‘2025년 한국형 ARPA-H 프로젝트(K-ARPA-H Project)’ 1단계 연구개발 과제 수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사측에 따르면, 이번 선정은 뉴로메카가 참여한 ‘휴머노이드 수술 보조 로봇 개발 컨소시엄’에 의한 것이다. 해당 과제는 이달부터 최대 5년간 단계적으로 추진되며, 총 연구개발(R&D) 예산은 약 175억 원 규모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총 1조1628억 원이 투입되는 국가 주도 보건의료 난제 해결형 전략 사업이다. 이는 ▲보건 안보 확립 ▲미정복 질환 극복 ▲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복지·돌봄 개선 ▲필수 의료 혁신 등 5대 임무 중심의 국민 체감형 R&D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ARPA-H(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for Health)를 모델로 한 고위험·고혁신·고파급형 R&D 시스템이다. 단계별 경쟁 체계로 운영되는데, 1단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 전문기업 클로봇(clobot)이 국립암센터에 다수의 의료 자율주행 로봇 기반 서비스와 통합 관제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클로봇은 국립암센터가 주관하는 약 16억원 규모의 ‘의료진 업무경감을 위한 다기능성 자율주행 로봇 통합 컨시어지 구축사업’ 수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 클로봇은 올해 말까지 대형병원 환경에 최적화된 의료 보조 로봇 10대, 고중량 이송 로봇 2대, 소독용 방역 로봇 1대와 로봇 통합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본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추진하는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선도적인 로봇기술 활용사업으로, 국립암센터에서 다수의 로봇이 ▲물품운반 ▲회진 지원 ▲간호사 보조 등 구체적인 의료 보조서비스를 수행한다. 특히, 본 구축사업의 핵심요소인 ▲다기능성 의료 보조 로봇, ▲13대의 로봇을 운영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에는 클로봇의 자체개발 제품이 도입될 예정이다. 먼저 클로봇은 의료 보조 로봇이 협소한 통로, 의료기기, 침상 등 병원 공간 내 물품을 탐지하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자사의 범용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을 탑재했다.
물류, 의료, 접객, 음식배달 로봇 시장 전망 밝아 최근 고령화 추세와 저성장 시대로 인해 로봇이 인간의 생산성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반도체 기술 혁신, 인공지능 기술 발전 등에 의해 로봇 가격이 저렴해지고 있어 더욱 더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전통적인 제조 로봇보다 서비스 로봇이 시장에서 차세대 혁신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R&D기획 및 분석지원사업(ICT 동향분석 및 정책지원)의 연구결과인 ‘The Next Big Thing, 서비스 로봇 동향과 시사점’에 대해 정리했다. 서비스 로봇 시장 성장 본격화 ■ 서비스 로봇 시장 … 산업용 로봇 시장 추월 전망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은 2015년 기준으로 대략 60∼90억 달러로 추산되며 스마트폰이나 PC와 비교했을 때 시장 규모는 작은 편이나, 향후 수요가 증가하면서 2020년까지 연간 15∼20%씩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 서비스 로봇 시장의 성장 배경 : 기술적 요인 서비스 로봇 시장이 최근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이유는 크게 기술적 요인과 사회적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