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25년 경력' 노보트니 부사장, 리비안 차량 프로그램 수석 부사장으로 인사 애플의 자율주행 전기차(EV)인 애플카 출시가 다시 2028년으로 늦춰진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EV 개발에 관여해온 임원이 이 회사를 떠나는 것으로 29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DJ 노보트니 애플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부사장이 지난 26일 직원들에게 자신의 퇴사 소식을 알렸다고 보도했다. 그는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워치 등 모든 것을 개발한 수많은 놀라운 팀의 일원이 된 것은 정말 행운이었다"며 "애플은 제 인생의 전부였지만, 이제는 새로운 제품을 탄생시키는 데 일조할 때"라고 퇴사 이유를 밝혔다. 노보트니 부사장은 애플에서 25년간 근무하면서 아이팟과 아이폰 개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등 여러 세대에 걸친 하드웨어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이패드 개발과 함께 애플워치의 시장 출시도 지원했다. 특히, 자율 EV를 개발하려는 애플의 '프로젝트 타이탄'에도 참여했다. 소식통은 그가 약 10년 전 EV를 개발하려는 애플의 프로젝트를 위해 임명된 몇 안 되는 임원 중 한 명이라고 전했다. 최근에는 로봇 공학과 AI에 초점을 맞춘 미래
CES 2024 출품작 ‘오토 트래킹 스탠드 프로’부터 스탠드·패드·보조배터리 등 모바일 무선 충전 솔루션 ‘Qi2’ 제품군 공개 2020년대 들어 전 세계 연평균 출하량 약 12억 대 규모의 스마트폰 시장. 이렇게 전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스마트폰 시장 양상에 따라 충전 기기·케이스·보조배터리 등을 아우르는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도 반사이익을 도출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인포메이션(Global Information Inc)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모바일 액세서리 산업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CAGR) 6.8%를 기록하며, 2030년 약 1500억 달러(약 200조 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현재 전 세계에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된 모바일 액세서리 제품이 활동 중이다. 그러다 보니 성능·내구성·불량 등 제품 관련 이슈가 동반된다. 이에 모바일 액세서리 제조사는 제품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각종 인증을 제품에 녹여내 출시한다. 1983년 설립된 모바일 액세서리 업체 벨킨은 지난 2010년 무선전력컨소시엄(WPC)이 지정한 치(Qi) 규격을 내놨다. 이 규격은 최대 5W급 무선 충전 표준인 BPP(Baseline Power Profile)을 기반으로 한 무선
미중 무역 긴장, 中 제로 코로나 정책 등 돌발 변수 고려 중국 밖에서의 제품 생산에 속도를 내는 애플이 내년부터 베트남에서 자사 노트북인 맥북을 생산한다. 20일(현지시간) 닛케이 아시아에 따르면 폭스콘이 이르면 내년 5월부터 베트남에서 맥북을 생산할 예정이다. 애플은 지난 2년간 맥북 생산의 일부를 베트남으로 옮기는 방안을 계획해왔으며 현재 공장을 시험 가동 중이다. 애플의 연간 맥북 생산량은 2000만 대에서 2400만 대에 달한다. 애플의 생산 기지 이전은 미·중간에 무역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중국에서의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앞서 폭스콘의 정저우 공장은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엄격한 통제로 노동자들이 이를 견디다 못해 탈출하는 사태가 빚어져 공장 가동이 중단된 바 있다. 월가에서는 정저우 공장 사태가 애플이 1년 중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리는 4분기(애플 회계연도 1분기) 실적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애플은 맥북 이외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생산 기지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플은 올해 출시한 스마트폰 새 모델 아이폰 14를 지난 9월부터 인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오늘 양재 엘타워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연구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양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개발 공동 워크샵'을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했다. 융합기기 산업으로 대표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그 어느 분야보다 부처간 협업이 요구되는 산업이다. 그동안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15,3)',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15,3)', 'K-ICT 스마트 디바이스 육성방안('15,9)' 등 웨어러블 산업발전을 위해 공동으로 노랙해왔다. 특히 작년부터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핵심 부품 및 요소기술 개발사업(이하 웨어러블 사업)'을 함께 추진해오고 있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공동워크샵 외에도 실무 담당자간 협의회를 매달 기쵀해 연구개발(R&D) 연계활용, 기업지원 방안 등을 논의해 부처간 칸막이를 허물고 산업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 중이다. 두 부처는 이번 워크샵에서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향 및 시장전망을 공유했다. 양 부처에서 추진중인 기술개발 과제들을 헬스의료·생체정보
[첨단 헬로티] 애플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신형 스마트워치를 선보일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아이폰 없이 스마트워치 자체적으로 많은 일들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블룸버그통신이 내부사정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애플이 제공하는 스마트워치 제품인 애플워치는 무선에 연결되려면 아이폰과 연결되어야 한다. 올해말 선보일 것으로 보이는 신형 애플워치는 LTE 칩을 탑재, 아이폰없이도 앱을 사용하고 음악을 내려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새 애플워치에 쓰일 LTE 모뎀은 인텔이 공급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몇년간 애플 모바일 기기에 부품을 공급하려고 애써온 인텔 입장에선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애플이 판매하는 모바일 기기의 핵심 모뎀 공급 업체는 퀄컴이다. 그러나 양사는 최근들어 법적 분쟁에 휩싸이는 등 사이가 예전에 비해 악화됐다.
[첨단 헬로티] 애플이 핀란드 수면 측정 기기 개발 업체 베딧(Beddit)을 인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CNBC가 관련 내용을 먼저 보도했고 8일(현지시간) 베딧이 자사 웹사이트 프라이버시 섹션에서 이를 확인해줬다. 베딧 최신 제품은 애플 스토어에서 판매되고 있는 149달러짜리 베딧3 슬립 모니터다. 베딧3 슬립 모니터는 센서들이 탑재된 줄 모양의 기기로 침대 시트 아래에서 미끄러 져 움직인다. 기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특징이다. iOS 및 애플워치용 앱들과도 호환된다. 애플이 베딧을 인수한 이유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수면 측정은 애플이 강화할 만한 영역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애플은 신체 움직임을 측정하는 디지털 역량과 관련해 애플워치를 전진배치해왔다. 그러나 애플워치 자체적으로는수면 측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애플워치용 서드파티 앱들이 나와 있는 상황이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지난해 애플이 애플워치에 수면 추적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더버지 등 외신들에 따르면 애플은 베딧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향후 개발할 제품이나 기능에 사용할 수도 있다. 우수 엔지니어 확보 차원에서 베딧을 인수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황치규
[헬로티] 대만 패널 제조 업체인 TPK홀딩스가 애플 워치용 터치패널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TPK는 지난 2년간 애플워치용 터치 패널을 공급해왔다. 그러나 애플이 지난해 2세대 애플워치에 TOL(touch on lens)터치 패널을 적용했고, 기술 변화로 인해 수율을 맞추기가 어려워지면서 TPK는 패널 생산 중단을 검토중이라고 디지타임스가 업계 소식통들을 인용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TOL 수율 향상이 힘든 것은 애플워치의 휘어진 표면 때문인 듯 하다. 이로 인해 터치 센서 제조가 복잡해졌다는 얘기다. 낮은 수율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고 이에 TPK는 OLED 화면을 탑재한 스마트폰용 3D 센서 기반 터치패널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올해 웨어러블 시장 대폭 성장 예상된다 스마트워치 매출 규모 504만대 이를 것으로 전망 ⓒGetty images Bank 올해 전세계 웨어러블 기기 판매량이 작년 2억 3천 200만대에서 18.4% 증가한 2억 7천 46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표 1). 올해 웨어러블 기기 매출은 287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스마트워치가 115억 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트너의 책임 연구원인 안젤라 맥킨타이어(Angela McIntyre)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스마트워치 매출이 연평균 30%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애플이 웨어러블 기기를 일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트렌드로 이끌었기 때문이다. 웨어러블 기기 중에서도 스마트워치는 상당한 잠재적인 수익성을 가지고 있으며 2019년에 이르러 175억 달러까지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워치는 웨어러블 기기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매출 호조를 보이겠지만 스마트폰 매출과 비교해 도입률은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물 것이다. 2016년에 성숙 시장과 홍콩이나 싱가포르 같은 신흥 시장 국가의 대도시 지역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총 3억 7천 400만 대에 이를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