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압을 요구하지 않는 ‘CNC 로터리 테이블’, 일체형 설계 ‘크로스롤러 베어링 유닛’ 공개 양헌기공이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출격했다. 이 자리에서 CNC 로터리 케이블, 크로스롤러 베어링 유닛 그리고 이 제품을 결합해 실제 가동되는 데모도 함께 전시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SIMTOS 2024는 올해 20회차를 맞이한 생산제조 산업 전시회로, 산업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기 위해 6년 만에 복귀했다. 올해는 35개국 1300개사가 6170부스 규모로 참가해 10만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양헌기공은 ‘제품 국산화’를 목표로 산업에 모션제어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인덕스 드라이브(Index Drive)부터 P&P 유닛, 고정밀 수치 감속기 시리즈, 자동 공구 교환장치 ‘ATC 시리즈’, 로터리 케이블, CAM 제품 등을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된 CNC 로터리 케이블은 유공압을 요구하지 않는 제품으로, 제로 백래시 캠 감속 기술(Zero Backlash Reduce) 기술이 적용됐다. 해당 제품은 SN·ST·SM·SV·SHR430·T 등으로 라인업이 세분화돼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한다. 또 다른 출품작
서보 모터·드라이브, 컨트롤러, 리니어 로봇, 레이저 3D 프린터, CAM 소프트웨어 ‘활짝’ 씨에스캠이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 현장에 각종 CNC 솔루션을 배치해 참관객에게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SIMTOS 2024는 올해 20회차를 맞이한 생산제조 산업 전시회로, 산업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기 위해 6년 만에 복귀했다. 올해는 35개국 1300개사가 6170부스 규모로 참가해 10만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씨에스캠은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CAD 및 CAM 시스템을 상용화해 산업현장 공정 및 환경 개선에 이바지하고 있다.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제어 기술을 지속 고도화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공정 자동화 혁신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이다. 씨에스캠이 이번 전시장에 들고나온 제품은 모터·드라이브 등 기준 주력 기술인 서보 제품부터 컨트롤러, 리니어 로봇, 레이저 3D 프린터, CAM 소프트웨어 등이다. 씨에스캠 관계자는 이 중 레이저 패터닝 장비 ‘AnyX-1000LP-5A’를 강조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장비는 금속 소재 재료를 기반으로 한 3D 프린터다. 금속 가루를 녹인
"기존 유도 전동기 기반 제품 대비 사이즈↑ 소음 효율↑"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출전한 정우전기가 산업용 영구자석 모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를 부스에 들고나왔다. 정우전기는 산업용 모터를 전문으로 다루는 기술업체다. 고객 만족과 품질을 기업 가치의 최상단에 배치한 정우전기는 고도화된 산업용 모터 기술을 통해 산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삼상·단상·유압·브레이크·방폭·인버터 등 산업용 모터를 취급하고 있다. 이번 SIMTOS 전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정우전기의 산업용 영구자석 모터는 영구자석을 기반으로 내구성이 확보되고, 잦은 유지보수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정우전기 관계자는 “기존의 일반 유도 전동기 기반 모터 대비 콤팩트하면서도 소음 발생이 적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전시회는 기존 공작기계 위주의 구성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도전의 국면을 맞이한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Be a Part of SIMTOS’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SIMTOS 2024는 5개 전문관, 1개 특별관으로 구성되며, 3개의 주요 부대행사를 진행한다. 전문관은
커플링 시리즈, 서포트유니트·모터 브라켓 일체화 제품, 타이밍 풀리 등 모션제어 솔루션 총집합 성일기공이 이달 1일부터 닷새간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전시장을 마련해 각종 모션제어 기술을 참관객에게 소개했다. SIMTOS 2024는 올해 20회차를 맞이한 생산제조 산업 전시회로, 산업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기 위해 6년 만에 복귀했다. 올해는 35개국 1300개사가 6170부스 규모로 참가해 10만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성일기공은 지난 1991년 설립 이후 동력 전달 및 FA(Factory Automation) 기술을 산업에 제시하는 업체다. SIMTOS 2024 전시장에 각종 커플링 제품과 더불어 타이밍 풀리, 서포트유니트 등 다양한 제품을 가져나와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볼스크류용 서포트유니트와 모터 브라켓을 일체화해 도입 유연성과 활용 직관성을 확보한 혁신 제품이 참관객에게 조명받았다. 해당 기술은 볼스크류와 모터 브라켓을 하나로 접목해 고객이 구매 시 부품 구성을 하거나, 조립 시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성일기공 관계자는 “해당 제품은 볼스크류와 모터 브라켓을 하나로 융합해 조립
이달 1일부터 닷새간 개최...기존 ‘공작기계 특화’에서 ‘생산제조 전반’으로 테마 승격 ‘Be a Part of SIMTOS’ 슬로건 5개 전문관, 1개 특별전, 3개 주요 부대행사 구성 ‘4개 테마관, 5개 존’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 데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차세대 기술을 필두로 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생산제조 영역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생산제조 산업은 오직 생산에만 몰두하던 기존 체제에 서비스 요소가 접목되는 형태로 변혁기를 경험하는 중이다.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이 융합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은 이 변혁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중심에는 데이터가 있다. 데이터 흐름에 따라 장치, 설비, 플랜트 등 인프라와 생산 가치의 수준이 결정되는 시대다. 이와 관련해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ORACLE)’은 지난해 제조 산업 5대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기술 고도화, 인력난, 지속가능성, 공급망, 미래형 공장 등 글로벌 경향을 강조했다. 기술 고도화 측면에는 산업용 IoT, 디지털 전환 등 기술의 가속화가 미래 혁신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 주요 내빈이 참가기업 부스를 방문해 혁신 기술을 눈앞에서 관전하고 있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SIM’s 스퀘어‘, ‘테크니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배규호 DN솔루션즈 수석 부사장에게 기술 브리핑을 받고 있다. 이날 DN솔루션즈는 각종 생산기술 혁신을 선보였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SIM’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 개막식을 마친 주요 내빈이 킨텍스 전시장에 마련한 현대위아의 전시부스를 방문했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SIM’s 스퀘어‘, ‘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 개막식이 열린 지난 1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주요 내빈이 전시장에 입장해 본격적인 전시회 시작을 알렸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지난 1일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 개막식에 참석한 주요 내빈이 전시회 출발을 알리는 버튼을 눌렀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SIM’s 스퀘어‘, ‘테크니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장관이 4월 1일 개막한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 개막식에서 방문객에게 인사 중이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SIM’s 스퀘어‘, ‘테크니컬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을 이끄는 주요 내빈이 개막식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SIM’s 스퀘어‘, ‘테크니컬 가이드 투어’, ‘스
계명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KOMMA) 회장이 4월 첫날과 함께 출발한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OTS 2024) 개막식에서 개회사 발표 중이다. 생산제조 기술 전시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은 이달 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출발 신호탄을 쐈다. 닷새간 진행되는 올해 전시회는 공작기계 위주에서 생산제조 기술로 범위를 확장해 기획됐다. 전문관은 ‘금속절삭 및 금형 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 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 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 기술관’ 등으로 세분된다. 아울러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은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형태로, 3D 프린팅, 스마트 솔루션, 협동로봇 등을 다룬다. 이번 신규 특별전은 ‘AI Factory’, ‘로봇-장비’, ‘CNC시스템’, ‘다이캐스팅’ 등 4개 테마관, 5개 Z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AI Factory 테마관은 절삭가공 데이터의 연결성 및 데이터 지능화 기술이 전시돼 금속가공의 자율제조 실현에 힌트를 제공한다. SIMTOS 2024는 ‘글로벌 디지털 제조혁신 콘퍼런스’, ‘오픈 스테이지 세미나’,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S
[첨단 헬로티] 요시다 준지 (吉田 潤二) 일본고주파공업(주) 성형재가 금속인 프레스 금형에서는 금형 표면의 응착, 마모, 균열, 박리 등의 불량 발생에 따라 금형 수명을 좌우한다. 특히 냉간 프레스 금형의 저마찰, 윤활 향상에 기여하는 표면처리에 의한 수명 향상 기술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금형 표면처리의 역할, 기대되는 기능 열 CVD법이나 TRD법에 의한 표면처리는 1,000℃ 가까운 고온 분위기에서 TiC, VC 피막처리를 한다. 복잡한 형상이라도 균일 전착성이 좋아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금형 수명을 대폭으로 연장하는 효과를 올려 왔다. 그러나 현재, 초초하이텐 강판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성형 시의 면압을 제어할 필요가 있어 금형 간의 클리어런스 제어가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저온 처리가 가능한 PCVD법이나 PVD법에 의한 피막은 급속하게 진보하고 있다. 피막의 다원계화(2~4원계)에 의해 피막 성능이 향상되고 있으며, 고온 확산처리의 결점인 ‘금형 치수 정도’ 등을 제어하기 쉬워졌다. 또한 피막의 밀착성도 개선되어 10µm 정도의 후막화가 가능해지고, 고하중을 받는 환경 하에서도 내구성을 얻
[첨단 헬로티] 츠치야 케이지 (土屋 惠兒) ㈜岡本공작기계제작소 동사는 1968년에 세계 최초로 CNC 성형 연삭반 ‘NFG-5’형을 개발한 이래, 좌우 오픈을 선택할 수 있는 범용 성형 연삭반 ‘PFG500’, 첩부 칼럼과 팬리스 주축 모터를 탑재한 고정도 성형 연삭반 ‘UPZ-NC’, 전축 리니어 모터 구동+기상 CCD 카메라에 의한 자동 측정 및 보정 기능을 부가한 초정밀 미세 성형 연삭반 ‘UPZ-Li’ 등 다양한 성형 연삭반 시리즈를 개발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연삭반에는 고정도라고 하는 키워드는 적합하지 않다. 정도는 내는 것이 전제가 되어, 어떻게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지, 조작성에 스트레스는 없는지, 또한 환경에 배려하고 있는지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에 약 4,000대의 납입 실적을 가진 베스트셀러 PFG500의 진화판인, 범용기의 사용성과 CNC의 기능을 겸비한 CNC 성형 연삭반 ‘HPG500NC’(이하 HPG, 그림 1) 시리즈에 대해 효율․조작성․환경의 면에서 소개한다. HPG500NC의 특징 1.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