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 전문기업인 MOXA는 다양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포트폴리오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새로운 제품군은 기업들이 운용 효율성과 탄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산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효율적인 비즈니스 운영의 어려움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혁신을 수용하고, 미래지향적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디지털화의 핵심은 새로운 기술의 도입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모든 시스템을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MOXA의 네트워킹 제품 매니저인 게리 창은 "디지털 미래를 위한 성공의 열쇠는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것에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용 네트워크도 진화하고 있다"며 "MOXA는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미래지향적 운영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산업용 네트워크 솔루션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의 투자와 미래의 예상 이익 간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고객들에게 산업용 네트워크의 진화 속도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MOXA는 기업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포트폴리오
[헬로티] 오늘날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자동화 기술은, 비용을 절감하고 상호 연결을 단순화하는, 이더넷의 물리적 계층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공장 작업장의 독특한 성격이 이더넷 환경에 새로운 도전을 불러온다. 올바른 지식과 도구를 사용하면, 설치자 및 엔지니어 그리고 전기 기술자가 이 기술의 혜택을 실현할 수 있다. 1970년 대에 PARC(Xerox 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최초 개발된 이더넷은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성장하였다. 그 동안 수십년에 걸쳐, 표준에 많은 변화와 확장이 있었고 이를 통해 이더넷은 원래의 개발자가 절대 상상하지도 못했던 많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가 산업용 이더넷이다. 공급업체들과 표준화 조직들이 이더넷의 근본적인 물리적 계층을 채택하여 다양한 기술을 만들었다. 이에는 PROFINET, Ethernet/IP (Industrial Protocol), Ether-CAT, 그리고 Modbus-TCP 같은 것이 있으며, 이들은 산업 자동화를 위해 최적화 되었다. 배선 표준 및 커넥터 모든 산업용 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은 ‘일반
[헬로티] “국내 IIoT 시장은 여전히 도입기이다.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진정한 산업 네트워크 키플레이어가 되겠다.” MOXA의 강의중 본부장은 MOXA가 모토로 삼고 있는 ‘Reliable Networks, Sincere Service’에서 알 수 있듯이 제품 공급에서 멈추지 않고 납품한 뒤의 관련 설정이나 운용에서 발생하는 트러블슈팅 등의 부분까지 서비스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현재 MOXA에서 생산한 무선 네트워크 관련 제품에 대한 엔지니어링 역할을 한국에서는 C&C TECH가 담당하고 있다. C&C TECH 이윤경 대표는 “고객이 원하면 무선 설계에서부터 적합한 모델을 만들어 주고 이후에 설계가 바뀐다든지 제품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끝까지 책임을 다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도록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MOXA와 C&C TECH는 또 앞으로 어떤 협력을 통해 기술을 지원하며 시장을 선도해 나갈지 한 걸음 더 들어가 얘기를 들어봤다. ▲ C&C TECH 이윤경 대표(왼쪽)와 MOXA 강의중 본부장 Q. 국내 A
[헬로티] 오늘날 산업 네트워크는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으며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방화벽과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구축하는 것이 첫 단계이지만, 주로 산업 프로토콜로 작업되고 사이버 보안 위협이 네트워크를 통해 감염되고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IT 보안 전문 지식이 부족한 운영기술(OT) 엔지니어는 어떻게 해야 할까? 결국 사이버 보안의 범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웜이나 허가 받지 않은 PLC 명령의 확산을 차단하는 것을 훨씬 넘어서고 있다. 그림 1. 산업 네트워크 사이버 공격 사례 산업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 지난 10년 동안 산업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이버공격을 받아왔으며 피해 규모가 커가고 있다(그림 1). 또한, 그림 2와 같이 IT와 OT의 차이로 기업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한 접근법이 산업네트워크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산업사이버 보안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통해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접근방식을 취해야 된다. 사이버 보안 표준으로서 발전하고 있는 IEC 62443에서는 4가지 보안 위협 수준을 정의한다. 보안 표준 레벨 2는 자동화 산업의 기본 요건이다. 현재 많은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