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범죄 예방 및 근절 위한 지속 관심과 경각심 필요” 신규식 한국레노버 대표가 마약 근절 캠페인 ‘노 엑시트(NO EXIT)’에 참여해 마약 범죄에 대응하는 건전한 사회 조성을 피력했다. 노 엑시트 캠페인은 경찰청·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가 주관하는 행사로, 마약 투약 및 중독의 위험성과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신규식 대표는 앞서 캠페인에 동참한 정진일 이스트시큐리티 대표의 지목을 받아 참여하게 됐다. 신 대표는 “마약 범죄 예방 및 근절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경각심이 중요하다”며 “레노버는 건강하고 건전한 사회 조성을 위한 활동에 지속 동참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다음 캠페인 참여 대상자는 전인호 VM웨어 한국 지사장, 이령 대교CNS 대표이사 등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첨단 헬로티] 정부, 5월 18일부터 RFID/바코드 기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본격 시행 지난 5월 18일부터 마약류취급자 및 마약류취급승인자가 마약류 제조·수입·유통·사용 등 모든 취급 내역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보고하는 ‘마약류 취급보고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병·의원과 약국 등 마약류취급자가 이 시스템에 보고하기 위해서는 수기 작성을 하거나, 바코드 시스템, RFID 시스템, RFID+바코드 시스템이 필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약류취급자 및 마약류취급승인자가 마약류 제조·수입·유통·사용 등 모든 취급 내역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보고하는 ‘마약류 취급보고 제도’를 지난 5월 18일부터 본격 시행했다. 병·의원과 약국 등 마약류취급자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하기 위해서는 수기 작성을 하거나, 바코드 시스템, RFID 시스템, RFID+바코드 시스템이 필요하다. ▲ 에일리언테크놀로지스의 SCANPRO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수기 입
[첨단 헬로티] 1차 계도기간 거쳐 허위·조작하여 거짓으로 보고하는 경우 행정처분 식약처는 향후 바코드/RFID 기반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마약류 취급보고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통해 마약류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안전관리 체계로 전환하고 마약류의 무분별한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국민건강 보호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약류취급자 및 마약류취급승인자가 마약류 제조·수입·유통·사용 등 모든 취급 내역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보고하는 ‘마약류 취급보고 제도’를 지난 5월 18일부터 본격 시행했다. ▲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개요도 마약류취급자는 마약류제조·수출입·원료사용자, 마약류도매업자, 마약류취급의료업자, 마약류소매업자, 마약류취급학술연구자 등을 포함한다. 2016년 기준 마약류취급자는 약 5만 7,000개소에 이른다. 이번 제도 시행은 마약류 취급의 모든 단계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그 동안 발생했던 펜타닐, 프로포폴 등 마약류의 오남용과 불법 유출 사례를 예방함으로써 촘촘한 마약류 안전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