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세계 전기차 시장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29% 수준의 급성장이 전망되나, 사용후 배터리 처리 문제가 환경·산업적 측면에서 대두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 발생량은 지난해말 기준 493개에서 오는 2030년 42만 개까지 누적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중립 및 순환경제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해결할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다. 전기차 배터리는 잔존가치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 성능이 70% 수준으로 떨어지면 전기차 동력원으로는 기능이 어렵지만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에너지저장장치, 전기선박, 드론, e-모빌리티, 농어업용 전동기기, 캠핌용 충전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재사용·재활용 기술이 부족하고, 잔존가치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표준이 없어 사용후 배터리를 보관만 하고 있다. 이에 전라남도는 배터리 재사용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18일 나주혁신산단에서 ‘EV·ESS 사용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센터’ 착공식과 함께 ‘배터리 자원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배터리 자원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에는 전남도, 나주시, 한국
[헬로티] ▲(왼쪽부터) 석영철 KIAT 원장, 전윤종 산업부 통상협력국장, 김종갑 한전 사장, 이남 협의회 회장. (출처 : 한국전력)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22일 서울 한전 아트센터에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하 KIAT), 나주혁신산단 입주기업협의회(이하 협의회)와 ‘에너지산업협력개발지원사업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한전 측은 이번 협약을 각 기관이 상호협력 하에 에너지산업협력개발지원사업(Official Development Assistant, 이하 ODA)을 통해 에너지밸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해외 프로젝트 동반 수주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ODA는 개도국의 에너지 산업화 협력 요구에 대응해 개발협력을 지원하고 이와 연계해 국내 전력·에너지 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및 해외 프로젝트 수주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에너지밸리는 한전과 지자체가 협력해 에너지 신사업 중심의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는 미래성장 생태계 조성 사업으로, 현재까지 501개의 기업을 유치했다. 김종갑 한전 사장은 “오늘 업무 협약이 에너지밸리 입주기업들의 자생력과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