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최대 ±1.5°C 정밀도를 제공하는 4채널 통합 열전대 컨디셔닝 IC ‘MCP9604’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제품은 I2C 인터페이스 기반 단일 칩으로, 기존 개별 부품이나 다중 칩 솔루션을 대체할 수 있다. 마이크로칩은 이번 제품이 화학·식품 가공, 제조 공정 제어, 의료 기기, 냉장·극저온 장비, HVAC 등 정밀한 환경 관리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케이스 파쥴 마이크로칩 혼합신호 선형사업부 부사장은 “열전대는 오래전부터 고온 측정의 핵심 도구였지만, 까다로운 생산 라인의 통합성과 비용 효율성을 충족하기 어려웠다”며 “MCP9604는 최대 15개 부품을 대체하고 설계 복잡성을 줄여준다”고 말했다. MCP9604는 단순 선형 근사 방식 대신 NIST ITS-90 고차 방정식을 적용해 높은 정밀도를 구현한다. K타입 열전대의 경우 9차 정확도를 제공하며, ADC, 냉접점 보상 센서, 증폭기, 연산 엔진 등 온도 측정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단일 칩에 통합했다. 외부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PCB 설계가 간소화되고 BOM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라인 검증이나 보정 절차 없이 곧바로 호스트 시스템에
[헬로티]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공정 제어 시스템을 공개했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의 공정 제어 신제품 이 시스템은 반도체 제조사가 반도체 칩 개발 및 생산 체계 도달 시간을 단축해 보다 많은 수익을 창출하도록 지원한다. 반도체 기술의 복잡성과 비용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첨단 노드를 개발하고 대량 생산하는 기간을 단축하는 것은 전 세계 반도체 제조사에 수십억 달러의 가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결함을 검출해 조속히 공정을 개선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오늘날 반도체 선폭이 줄어들면서 예전 노드에서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던 작은 결함이 수율 저하 요소가 됨에 따라, 결함을 검출해 수정하는 역량을 확보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이뿐 아니라 3D 트랜지스터와 멀티 패터닝 기술과 같은 복잡한 공정 기술이 미묘한 편차를 일으켜 수율 저하 결함 원인을 찾고 수정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됐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는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핵심 칩 제조 기술에 적용해 공정 제어에 대한 새로운 플레이북을 제시한다. 어플라이드 솔루션은 실시간 연동해 작동하는 것은 물론 기존 방식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비용으로 결함을 검출&
[헬로티] 포스코ICT 풍산 울산사업장에 MES(통합생산관리시스템,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기반의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프로젝트 기간은 ‘22년 5월까지다. ▲출처 : 포스코ICT 포스코ICT는 포스코 제철소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를 국내 제조현장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풍산 울산사업장은 공정 물류와 설비 운영의 자동화를 추진하고, 공정제어시스템도 구축해 실시간 공정 트래킹과 가시화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CCTV와 각종 센서를 활용해 전체의 공정상황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통합생산관제센터도 구축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적용해 생산 전 공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데이터를 수집, 분석해 추적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체계도 마련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포스코 그룹차원의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인 ‘포스프레임(PosFrame)’이 적용된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울산사업장 16개 공정 약 2만여개의 IoT 센서로부터 수집된 설비, 조업, 품질,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고속 저장 및 분류, 분석해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첨단 헬로티] 글로벌 산업자동화 기기·솔루션 전문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미국의 자동화 전문지 ‘컨트롤 엔지니어링(Control Engineering)’이 개최한 ‘2019 엔지니어스 초이스 어워드(Engineers’ Choice Award)’에서 2관왕을 기록하며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 수상한 제품은 혁신적인 자가 교정 온도계 ‘iTHERM TrustSens’와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효율적인 현장 계기 관리를 가능케 하는 산업용 태블릿 PC ‘Field Xpert SMT70’이다. ▲ 자가 교정 온도계 ‘iTHERM TrustSens’ iTHERM TrustSens는 공정 제어/공정 센서 부문에서 최고 득점을 기록하며 수상이 결정되었으며, ‘Field Xpert SMT70’ 또한 산업용 태블릿 부문에서 특별 언급(Honorable mention)에 선정됐다. iTHERM TrustSens는 공정의 중단 없이 완벽하게 추적 가능한 자가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컴팩트한 사이즈 또한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 디바이스가 양극(+)의 입력 공급 전압으로 -26.5V ~ -0.5V의 출력을 생성할 수 있는 비절연 인버팅 출력 µModule® 레귤레이터 신제품 LTM4651을 출시했다. LTM4651은 3.6V ~ 58V의 입력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며, 15mm x 9mm x 5.01mm BGA 패키지의 컴팩트한 솔루션으로 제공된다. 신제품은 산업 표준 5VIN, 12VIN 또는 24VIN 입력 전압에서 –5VOUT, –12VOUT, –15VOUT, –24VOUT 의 출력을 제공하며, IT 장비용 EN55022 Class B EMC 표준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아나로그 디바이스의 레귤레이터 신제품 LTM4651 이 제품은 폭 넓은 전압 범위와 낮은 EMI 특성을 지원하기 때문에 측정 및 계측, 산업, 공장자동화, 공정제어, 의료기기, 이미징 및 통신 등 혹독한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TM4651은 DC/DC 인버팅 레귤레이터, 인덕터, MOSFET, 보상 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외부에 어떠한 추가 회로를 사용하지 않아도 독립적인 인버팅 레귤레이터
aimex2011 ‘친환경+스마트’로 월드 베스트 명성 발휘 세계가 한국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IT 기술이 한국의 위상을 드높였다면, 2011년 3월에는 스마트 원 천기술을 이용한 한국의 자동화 산업이 해외로부터 폭발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다. 그 현장이 바로 2011년 aimex이다. 최근 자동화 기술은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비롯해 NFC, RFID, 무선 센서 등 IT 기술과 융합하며 엄청난 폭발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 추세를 반영하듯 전시장에는 30여 개국 2만5천 명의 바이어가 다녀갔다. 2011년 aimex는 지난해 친환경 기술에 더해 올해 스 마트 기술이 합쳐지며 단연‘월드 베스트’라는 명성을 유감 없이 발휘했다. 스마트 오토메이션으로 새로운 가능성 열어 2011년 aimex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다. 아직 본 궤도에 올라선 것은 아니나 자동화와 IT가 융합된 신기술과 신제품을 통해 블루오션과 그린오션을 창출하며 성장산업으로서 회귀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행사장 곳곳에서 보였다. 이와 관련 9일 에는‘스마트 & 그린 오토메이션 미래 전망과 대응 전략&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