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나락스가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5일 밝혔다. 상장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마키나락스는 지난 5월 코스닥 혁신기술기업 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에서 A-A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마키나락스 임직원은 약 120명이며, 이중 75%는 기술 인력이다. 마키나락스는 AI 모델 개발과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특허 약 140건을 등록 및 출원했으며, 이는 국내 기업용 AI 플랫폼 개발 기업 중 압도적인 수치라고 강조했다. 마키나락스의 AI 플랫폼 ‘런웨이(Runway)’는 엔비디아, HPE 등 40여개 글로벌 AI 사업자와 4만 여명의 AI 전문가가 소속되어 있는 AIIA(AI Infrastructure Alliance)의 평가에서 글로벌 빅테크의 제품을 제치고 최상위권에 랭크된 바 있다. 런웨이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ML옵스(MLOps, Machine Learning Operations)다. 이는 AI 플랫폼 구성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술 영역이기도 하다. 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쿠버네티스를 비롯해 넓고 깊은 기술 스택이 필요해 기술적으로도 진입 장벽이 높은 편에 속한다. 마키나락스는 “ML옵스에 입문하는 엔지니어 대부분이 바이블로 꼽는
금융위, 내달 기술특례상장제도 개선안 발표…중견기업 자회사도 대상 포함 정부가 반도체, 2차전지 등 중요한 첨단기술을 보유한 우량기업의 특례상장 요건을 완화하는 등 특례상장제도를 개선한다. 글로벌 긴축과 경기침체 우려로 벤처투자시장이 둔화함에 따라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자본시장에서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지원한다는 취지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중소벤처기업부,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다음 달까지 이런 내용을 담은 기술특례상장제도 운영 보완방안을 마련한다고 20일 밝혔다. 기술특례 상장제도는 혁신기업의 코스닥 상장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일반 기업은 상장을 위해 재무적 요건 등을 충족해야 하지만, 기술특례상장은 복수의 전문평가기관 기술평가 또는 상장주선인(증권사)의 성장성 평가가 있는 경우 질적 요건을 중심으로 심사한다. 그간 특례상장을 위해 복수의 기술평가를 받는 데 비용과 시간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정부는 국가적으로 육성해야 하는 첨단 기술을 보유한 우량기업에 대해서는 기술평가를 하나만 받아도 되게끔 요건을 완화하는 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중요첨단기술 보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