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GCC 사무총장과 공동선언문 서명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19일 나예프 알 하즈라프 걸프협력회의(GCC) 사무총장과 한-GCC FTA 협상을 공식적으로 재개한다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GCC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6개국의 지역협력기구로 회원국 간 경제·안보협력 활동을 수행한다. 한-GCC FTA는 2007년 추진 합의 이후 2009년까지 3차례 공식협상을 개최했으나, 2010년 1월 GCC 측이 정책 재검토를 사유로 협상 중단을 선언한 이후 10여년 만에 재개된다. GCC 국가는 우리와 에너지와 자원분야를 중심으로 협력해 온 주요 교역 대상이며, 인구, 소득, 잠재력 면에서 향후 성장가능성이 크고, GCC 국가들의 제조업 육성 노력 등 산업다각화, 신재생에너지, ICT 등 다각적인 분야에서 우리와 협력 가능성이 큰 지역이다. 특히, GCC국가는 한국과 중동지역 교역량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파트너인 만큼 FTA 체결을 통해 양측간 협력 프레임을 더 공고히 할 수 있는 모멘텀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10년만에 협상을 재개하기로 한 한-GCC FTA가 체결되면, 향후
[첨단 헬로티] 대한전선(대표집행임원 나형균)이 쿠웨이트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광케이블 시장 선점에 나섰다. 대한전선은 지난 5일, 쿠웨이트에 광케이블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 대한전선 나형균 사장(우)과 랭크 회장 아탈라 알 무타이리(Atallah A. R. Al Mutairi)(좌)가 법인 설립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 합작법인은 쿠웨이트 최초의 광케이블 생산법인이다. 이 법인은 쿠웨이트의 건설 및 무역회사인 ‘랭크’사 등과 공동 투자해 설립된다. 대한전선은 외국인 투자를 총괄하는 쿠웨이트 정부기관 KDIPA(쿠웨이트 투자 진흥청)와 합작법인 설립 절차를 논의해 왔다. 그리고 5일 오전, 대한전선 본사에서 파트너사와 함께 법인 설립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사업 시작을 알렸다. 합작법인은 내년 상반기까지 쿠웨이트시티 남동쪽에 위치한 미나 압둘라 산업단지(Mina Abdulla Industry)에 설비를 구축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광케이블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기 때문에, IoT와 AI를 기반으로한 4차 산업혁명과 5G 인프라 확대 추세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첨단 헬로티] AIOT(AI IoT) 전문기업 ‘그랙터(대표 김영신)’가 태양광 모듈 및 센서 디바이스 전문기업 ‘온테스트(대표 진병진)’와 IoT 기술 기반 스마트홈 및 스마트그리드 사업에 협력해 쿠웨이트를 비롯한 중동 스마트시티 시장을 함께 공략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제휴로 그렉터는 특허 받은 엣지컴퓨팅기술로 완성한 데이터허브 기반 IoT 플랫폼 ‘엘리엇 엣지’를 중동시장에 공급하는 새로운 채널을 추가하게 됐다. 온테스트는 자체 개발한 센서 디바이스와 스마트시티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이 한층 고도화돼 중동지역 스마트홈 사업 선점에 필요한 강력한 사업 엔진을 확보하게 됐다. ▲ 진병진 온테스트 대표(왼쪽)와 김현수 그렉터 부사장(오른쪽)이 MOU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 : 그렉터 제공> 양사는 첫 공동사업으로 ‘쿠웨이트 스마트홈-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쿠웨이트 에너지 정책, 기후, 생활문화, 에너지 공급방식 등 중동지역 및 쿠웨이트 현지화 특성에 맞춘 제품 디자인을 제작한 후, 여기에 한국의 스마트홈 사업에서 검증된 지능형 IoT 플랫폼 기
[첨단 헬로티] 쿠웨이트 수전력부의 초고압 지중 턴키 5300만달러 수주 LS전선(대표 명노현)은 중국 생산법인 LS홍치전선이 쿠웨이트 수전력부(MEW)와 5300만달러(약 580억원) 규모의 초고압 지중 케이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LS홍치전선이 중동에서 수주한 첫 초고압 케이블 프로젝트이다. LS홍치전선은 내년부터 2019년까지 쿠웨이트 전역에 132kV급 케이블을 턴키로 공급한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LS홍치전선이 작년부터 비즈니스 모델을 내수 중심에서 중동, 아시아 등 해외로 바꾸고 꾸준한 수주 활동을 해 온 성과다”며 “LS홍치전선이 이번 수주를 기반으로 해외 수주를 본격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쿠웨이트는 다른 중동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도심 확대와 인구 증가 등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세에 있다. 다만 지난 수년간의 유가 하락으로 수백억원대의 전력 인프라 사업들이 주춤하면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전선 업체들간 수주전이 치열했다. LS전선은 LS홍치전선과 크로스셀링(교차판매) 전략으로 경쟁력을 확보했다.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은 국내에서, 그 외 제품들은 중국에서 제조하여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