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발화 동영상 및 발화 음성 데이터 등 주요 데이터 구축에 집중 한국딥러닝이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의 일환인 '인체 및 객체 3D 데이터 구축'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돼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며,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을 통해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AI 일상화를 실현하기 위해 기획됐다. '인체 및 객체 3D 데이터 구축' 사업은 얼굴 및 포즈 데이터셋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한 3D 얼굴 및 포즈 생성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축된 데이터는 모션·포즈 관련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 3D 애니메이션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한국딥러닝은 이번 사업을 통해 약 1000시간에 해당하는 24만 건의 자연발화 동영상 및 발화 음성 데이터, 2만4000건의 표정·포즈 모션 데이터, 72만 건 이상의 표정·포즈 3D 스캐닝 데이터를 구축한다. 또한, 오디오 스크립트 및 음성 해설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셋 12만 건도 함께 구축할 예정이다. 실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중대형 객체의 2D 이미지 및 3D 데이터에
무하유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추진하는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 무하유는 이번 사업으로 포스터 생성을 위한 논문 요약, 핵심 표·그림 선정, 표·그림 설명문 작성 등을 지원하는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AI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학술논문 포스터 제작을 자동화하는 것이 목표며, 논문 전문 중 포스터에 활용될 영역을 매핑하는 데이터 라벨링이 핵심이다. 무하유는 데이터셋 구축 플랫폼 ‘데이터 팩토리’를 운영해 고품질 학습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실제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해 외주 업체를 활용하지 않고도 고품질 학습 데이터를 쌓고 기술력을 키웠다. 이러한 강점을 살려 구축사업의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링까지 AI 모델 제작 전 과정을 도맡는다. 더불어 이번 사업에는 품질관리 전문기업 더테스트가 참여해 구축 데이터의 품질을 보증할 예정이다. 주관기관이 구축 과정에서 자체 검증한 데이터를 교차 검증해 데이터 품질을 제고한다.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무하유는 AI 기반 논문표절 검사, 서류 분석, 비대면 면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자체 개발해 제공한다”며 “자체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