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9일 국토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개최한 ‘노후 거점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를 통해 충북 충주제1산업단지가 ‘노후 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사업지구’후보지로 선정된 개기로 충주 산업단지의 약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와 산업부는 충청북도 내 산업 단지를 충주댐 인근에 있는 충주 제1 일반산업단지를 거점으로 수력 기반 그린수소 인프라 구축, 수열에너지 특화단지 조성, 친환경 자동차부품 클러스터 기업 지원 등을 집중적으로 추진하여 “지역특화 에너지 기반 그린 산단 및 친환경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스마트 생산 거점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충주의 산업단지 충주 소재 산업단지는 충주, 중원, 첨단, 충주 제5 일반, 동충주 이상 산업단지와 주덕, 중앙탑, 용탄, 가주 이상 농공단지 및 충주 메가폴리스가 가동 중이다. 충주 중원산업단지 중원산업단지는 작은 규모지만 강소기업들이 성업 중인 산업단지다. 충청북도 충주 주덕읍 당우리 1488번지 일원에 위치한다. 1997년 6월 25일 중원 지방산업단지로 지정된 이후 2003년 5월 실시계획 승인 및 고시를 받았다. 2005년 4월 산업단지 조성 공사 시작 후 2006년 6
경기북부지역 일반산업단지가 남부지역에 비해 규모와 생산성,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불균형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3일 '경기도 산업단지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경기도 내 일반산업단지 수와 고용인원은 175곳에 26만4천142명이다. 이는 전국 시도 중 가장 큰 규모로 전국 전체 단지 수의 25.1%, 고용 인원의 25.8%를 차지한다. 이 중 96개 도내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경기북부 산업단지 중 상위그룹에 포함된 단지는 23%에 불과하고, 나머지 77%는 중·하위 그룹으로 분류됐다. 5년간 생산성 변화에서도 경기북부 산업단지는 32%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68%가 정체 또는 감소했다. 반면 남부 산업단지는 49%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51%가 정체 또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북부 지역에 신산업 유치가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인 고양·양주 테크노밸리와 더불어 추가적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과 노후 산단의 고도화·스마트화를 제안했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산업단지는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