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청소기 위에 달린 로봇 팔(Robot Arm)이 천천히 참관객 쪽으로 뻗는다. 로봇은 무대 전체를 돌며 인간의 목소리를 대신 내보낸다. 화면·자막은 한 박자씩 늦게 나타나고, 시스템 안내 음성이 간헐적으로 튀어나온다. 이렇게 모든 요소는 공연의 일부가 된다. 집 안을 청소하던 로보락 로봇 청소기 사로스 Z70(Saros Z70)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존재로 참관객의 인식 속에 자리잡는다. 이달 13일 서울 종로구 소재 예술 특화 종합 지원시설 아트코리아랩(Arts Korea Lab)에서 기술·예술 융합 실험 스튜디오 이치실험실(ICHILAB)이 로보락과 함께 로봇 기반 기술 퍼포먼스를 기획했다. ‘CLENE ME TENDER 시리즈: 고양이 프로펠러’는 페스티벌 전체 주제가 '예술가의 프롬프트'인 만큼 이 작업은 로봇 청소기에 하나의 프롬프트를 건네는 데서 출발한다. 인간 대신 집 안을 대신 돌아다니던 기계를 무대에 올려 인간의 몸과 존재를 둘러싼 다양한 질문을 던졌다. ‘재택 배우’로 깜짝 데뷔한 로봇 청소기, 청소 동반자에서 예술 무대 신인으로 무대 위 로봇 청소기가 멈춰 설 때마다 시스템 안내 음성이 불쑥 끼어들어 “충전이 필요합니다”라고 외친다.
포자랩스 허원길 대표 인터뷰 AI를 수식하는 단어 중 하나는 ‘다재다능’이다. 이는 음악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AI는 질문에 대한 답을 텍스트로 생성하는 작업을 넘어 노래를 작곡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 이미 생성형 AI로 음원을 만들어 공유하는 커뮤니티나, 생성된 음원으로 경진대회를 여는 사례도 다수 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음원 제작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AI 서비스가 있어 화제다. 포자랩스는 고유의 데이터를 학습한 AI를 활용해 분야와 대상에 어울리는 음원을 생성함으로써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음원 시장 진입한 AI, 포자랩스의 서비스는? AI는 오디오와 비디오, 텍스트 콘텐츠 등을 빠른 시간 안에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로써 AI는 점차 콘텐츠 제작의 중심에 다가서고 있다. 무엇보다 창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데 현명한 선택지가 되고 있다.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 선호도에 맞춘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높은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기에도 적합하다. 이처럼 AI는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는 AI의 능력은 음악 산업에도 영향을 미쳤다.
가상 스토리와 캐릭터, 세계관, 주요 장면까지 한 번에 완성해 창작 AI ‘루이스’가 AI로 내 취향의 픽션을 탭 몇 번 만에 손쉽게 완성하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출시했다. 루이스는 가상의 스토리와 캐릭터, 세계관, 주요 장면까지 한 번에 완성할 수 있는 창작 AI 플랫폼이다. GPT와 스테이블 디퓨전을 비롯한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에 컨셉, 테마, 캐릭터, 플롯 등을 구체화하는 키토크 프롬프트를 접목해서 창작자가 AI 사용 시 경험하는 진입 장벽을 파괴했다. 한글 서비스 출시 이후 매일 평균 2만 명의 신규 유저가 유입되고, 국내 유저를 대상으로 개최한 루이스 AI 스토리 공모전은 4주차에 이미 응모작 350건을 돌파했다. 글로벌 유저까지 포함하면 지금까지 누적 스토리 생성 수는 2000건에 육박한다. 웹과 앱에서 동시 진행 중인 루이스 AI 스토리 공모전은 6월 23일까지 진행되며, 매주 100만 원의 상금을 걸고 우수작을 선정한다. 공모전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에는 교보문고 창작의날씨 후원으로 3만2000원 상당의 스탠다드 구독 플랜을 0원에 제공한다. 개발사인 키토크AI는 루이스로 Web3 시대 IP 창작 시스템 혁신을 표방한다. 쓰기 쉬운 AI 플랫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양한 1인 미디어 플랫폼을 분석해 트렌드를 파악해 새로운 의상을 디자인한 후 가상 착장까지 해주는 AI 패션상품 마켓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ETRI AI 디자이너가 제작한 옷을 현실의 모델과 가상환경(메타버스)의 아바타가 동시에 입은 모습 국내 연구진은 개인 취향과 SNS 등 최신 트렌드를 분석해 6백만 장의 DB로 본인만의 패션상품 제작을 도와주는 AI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AI 디자이너가 개성 있는 옷 제작을 도울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면서 패션산업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패션 의류 시장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실제로 디자인을 구현하거나, 모델을 섭외해 판매를 위한 전문 촬영을 하는 데 큰 비용이 들어 소상공인들이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진이 AI를 이용해 사용자의 취향과 최신 트렌드를 반영, 수 만장에 이르는 디자인을 새롭게 생성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디자인한 옷을 가상에서 바로 착용해볼 수 있는 서비스도 개발했는데 이를 활용하면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에서 AI가 제작한 의상을 아바타에 입힐 수 있다. 이런 서비스는 생성적 적대신경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