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문주호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하는 시상이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할 친환경 미래에너지로 수소가 주목받는 가운데, 문주호 교수가 태양광소자 기술에 기반을 둔 그린 수소 생산 연구로 미래 에너지 개발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문주호 교수는 산화 알루미늄 구조체에 기반한 반투명 태양전지를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소자(이후, ‘태양전지-광전극 물분해 소자’)를 세계 최초로 제안했다. 기존의 ‘태양광-수소 생산시스템’은 고가의 반도체 물질과 복잡한 생산 공정으로 고비용 저효율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연구팀은 태양광-수소 변환효율이 높은 적층형 텐덤(Tandem) 소자 개발에 성공하여 저가 반도체로 저비용 고효율의 그린 수소 생산에 성공했다. 세계 최초로 10%가 넘는 태양광-수소 변환 효율을 달성하는 등 ‘태양전지-광전극 물분해 소자’ 기반 고효
[헬로티] 블록 공중합체 탄화입자와 고성능 연료전지 개발 성과 인정받아 ▲김범준 교수는 고기능 분리막을 이용한 멤브레인 에멀전 기술로 높은 내구성의 탄화입자를 대량 생산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연료전지 등의 고성능 에너지 소자를 성공적으로 만들어 냈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이하 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의 김범준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 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김범준 교수가 간단한 공정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 탄화입자와 고성능 연료전지 개발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국방․항공우주․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료전지 활용이 급증하는 가운데 김범준 교수의 연구 성과는 차세대 연료전지 시장의 핵심 기술을 선점 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범준 교수는
김상우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4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첨단 헬로티 = 김동원 기자] 4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으로 김상우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선정됐다. 김상우 교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인체 삽입형 소자를 충전하는 기술을 개발해 차세대 의료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김상우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사진 : 성균관대학교) 초음파로 정전기 발생시켜 충전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구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4월 1일,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상우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하는 시상이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김상우 교수가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와 정전기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인체 삽입형 소자를 충전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차세대 의료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진동, 하중,
[첨단 헬로티] 신관우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가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하는 시상식이다. 선정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시행한다. 신 교수는 광합성 작용을 통하여 스스로 에너지 대사활동을 하는 인공세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점을 인정받아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의 주인공이 됐다. ▲ 신관우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가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사진 : YouTube, 기술인문융합창작소> 신관우 교수,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 과학인 사이에서 7월은 의미 있는 달이다. 1996년 7월 5일에 복제 양 ‘돌리’가 탄생했고, 1999년 7월에는 국내개발 신약1호가 등장했다. 이처럼 생명공학 발전에 역사적인 이정표가 새겨져 있는 7월에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의 주인공은 누가될지 관심이 모아졌다. 그리고 그 자리는 신관우 화학과 교수가 차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신관우 교수를 선정한 이유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