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등에 탑재되는 소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지난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18일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25년 1분기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에 따르면 2024년 소형 OLED 출하량은 9억8000만 대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의 7억7300만 대 대비 2억 여대 증가한 수준으로, 성장세가 이어져 올해 소형 OLED 출하량은 10억 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업체별로는 지난해 한국과 중국의 대부분 패널 업체의 출하량이 전년보다 4000만∼5000만대 늘었다. 특히 중국 업체인 TCL CSOT, 톈마, 비저녹스, 에버디스플레이의 출하량은 50% 이상 증가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출하량도 2023년 3억2000만 대에서 2024년 3억8000만 대로 급증했다. 보급형 스마트폰인 삼성전자 갤럭시 A 시리즈에 리지드 OLED 패널이 적용되기 시작한 영향이다. LG디스플레이도 아이폰용 패널 공급 물량 확대에 힘입어 같은 기간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이 5200만 대에서 6800만 대까지 늘었다. 한창욱 유비리서치 부사장은 “갤럭시 A 시리즈 하위 모델과 중국 세트업체들의 저가형 모델에도 OLED가 확대 적용되고
유비리서치가 ‘2025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8.34억대와 2400만대로 집계됐다. 2023년의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6.55억 대와 2200만 대였다. 삼성전자의 rigid OLED 사용량 확대와 중국 패널 업체들의 flexible OLED 출하량 증가로 인해 2024년의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 합계는 전년도에 비해 27% 증가했다. 2025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9.1억 대와 3080만 대로 예상돼 2024년 대비 스마트 폰은 9%, 폴더블 폰은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중국의 스마트폰과 폴더블 폰용 OLED 출하량은 4.9억 대로, 한국의 4.51억 대에 비해 출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리서치는 2026년부터 애플에서 폴더블 OLED 폰을 출시할 전망에 따라 폴더블 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2026년에는 스마트폰용 및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이 10억 대, 2029년에는 13억 대를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형 OLED 출하량이 증
유비리서치 ‘XR 산업 메가 트랜드 분석’ 보고서 발표 현실 세계에 확장 현실을 투사하는 XR(extended reality)이 스마트폰처럼 디지털 컨버전스를 몰고 올 차세대 디바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유비리서치가 XR 산업의 과거와 현재를 정밀 분석한 ‘XR 산업 메가 트랜드 분석’ 보고서에서 MR(mixed reality) 기기는 TV와 모니터, 노트북을, AR(augmented reality) 기기는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태블릿 PC를 통합할 디바이스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XR 기기는 이제까지 존재했던 웨어러블 기기와 모바일 기기, IT 기기들과는 다른 매우 복잡한 산업 구조로 구성돼 있다. MR 기기는 의자에 앉아 다루던 기존의 IT 제품과는 달리 움직이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AR기기는 양손을 자유롭게 해주면서도 고개를 움직이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가장 화면이 조정되어 정보를 제공해준다. 유비리서치는 세트 업체를 비롯해 디스플레이 업체와 장비/부품/소재 등 모든 관련 기업들이 XR 기기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 XR 기기의 구성과 동작 원리, 컨텐츠를 포함한 모든 방향에 대해 이해하고
유비리서치 ‘XR 산업의 메가트랜드 분석 보고서’ 발간 2018~2022년 사이에 XR 기기를 출시한 업체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25개 업체가 XR 기기를 출시했고, 미국은 20개, 한국은 9개 업체가 XR 기기를 출시 세 번째 순위에 자리했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1989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출시된 XR 기기 모델 수는 327개, 업체 수는 127개다. 1989~2022년 사이에 출시된 모델 수들을 기기별로 분석한 결과 XR 기기 산업은 2016년부터 개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 모델들은 대부분이 VR용이었으나 2017년에 출시된 모델 수가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새로운 VR 기기 모델 수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가 시작된 2020년 이후AR 기기 모델 수가 VR 기기 모델 수를 앞지르고 있다. 신규 출시 VR 기기 모델 수가 감소한 이유 중에는 MR 기기 모델 수 증가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분석을 통해 2021년부터는 XR 기기 산업이 VR에서 AR과 MR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용 분야별 업체 수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중국 업체는 VR과 MR 제품을 출시한 기업 수
OLED 산업 동향 및 기술, 발광재료 시장 전망에 대해 다뤄 유비리서치가 5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 센터에서 '2023 OLED &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애널리스트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유비리서치의 디스플레이 애널리스트들이 연사로 참여해 국내외 디스플레이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유비리서치는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세미나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세미나에서 참석한 발표자들은 IT OLED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 대형 OLED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OLED 산업 이슈에 따른 발광재료 시장 전망, OLED 부품소재 및 발광재료 개발 동향, AR·VR 산업 동향 분석, 마이크로 LED 기술 및 산업 동향 등을 다뤘다. 첫 번째 연사인 유비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IT OLED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이충훈 대표는 OLED 산업의 개화와 플레이어 동향, 주목받는 제품에 대해 설명했다. 이 대표는 TV와 OLED 산업을 국내 기업 위주로 전개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충훈 대표는 삼성디스플레이에 대해 "중국 패널 업체들의 플렉시블 OLED 저가
QD-OLED의 신규 발광구조인 QM2이 삼성전자의 2023년향 OLED TV에 적용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삼성전자는 2022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이를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양산 중인 QD-OLED는 3개의 청색 발광층과 1개의 녹색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quantum dot과 칼라 필터를 통해 RGB 3원색이 표현되는 구조다. 유비리서치에서 최신 발간한 ‘AMOLED 제조 공정 보고서 Ver.5’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양산된 QM1 구조에는 녹색 발광층에 aETL과G’이 없었으나, QM2 구조부터는 모두 적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발광구조의 변경 주기도 재료의 리사이클 등의 이유로 기존의 1년에서 2년으로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월 30K의 QD-OLED 캐파를 2024년까지 월 45K로 확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23년부터는 55인치와 65인치 패널 외에도 49인치와 77인치 패널도 양산하며 라인업을 더욱 더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2022년 2분기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시장은 16.7억 달러로 집계됐다.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는 1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2분기 OLED 중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은 전 분기 대비 22.9% 상승했으며, 전년 동분기 대비 11.2% 상승했다. 중대형 OLED 출하량 증가폭이 가장 큰 것은 노트북용 OLED다. 1분기 출하량은 114만 대였으나 2분기 출하량은 218만 대로 전분기의 약 2배 수준이다.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지속적으로 연장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TV시장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 2022년 TV용 OLED 패널의 예상 출하량은 지난 분기 920만 개였으나 수정된 출하량은 910만 개다. 2분기 OLED TV 출하량은 196만 대로 1분기 171만 대에서 25만 대 늘었다. 이 중 WRGB OLED 패널 출하량은 171만 대, QD-OLED TV 패널은 25만 대다. 삼성전자가 내년 QD-OLED TV 판매량을 100만 대로 확대할 계획인 만큼, 2023년에는 TV용 OLED 출하량이 1200만 대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는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LCD 패널 사업을 점진적으
2022년 2분기 OLED 발광재료 구매액이 총 4.12억 달러로 집계됐다. 유비리서치에서 분기별로 발간하는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2분기 OLED 발광재료 시장은 전 분기 대비 2.1%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7.8% 상승한 수치다. 전체적으로 비수기 시즌이라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패널 출하량 감소가 있었지만, 환율 상승과 신재료 공급 등의 영향으로 전 분기보다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지는 않았다는 분석이다. 소형 OLED 패널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의 2분기 발광재료 구매액은 전 분기 대비 2.2% 하락한 1.52억 달러를, BOE는 11.7% 하락한 5310만 달러를, LG 디스플레이는 전 분기 대비 12.6% 하락한 3970만 달러를 기록했다. OLED TV용으로는 LG 디스플레이의 2분기 발광재료 구매액은 7730만 달러로 전 분기와 비슷했으며, 삼성 디스플레이의 TV용 재료 구매액은 전 분기보다 소폭 상승한 2830만 달러로 분석됐다. 유비리서치는 2022년 OLED 발광재료 시장은 18.1억 달러, 2026년에는 25.5억 달러로 예측했다. WRGB OLED 출하량이 2026년에 2천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WRGB OLE
올해 OLED 전체 양산 캐파의 기판면적이 4730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리서치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A3 라인의 유휴 캐파를 보완하기 위해 투자했던 LTPO TFT 라인과 EDO의 6세대 rigid OLED 라인이 가동될 예정이다. 2023년에는 LG디스플레이의 E6-4 라인과 BOE의 B12-3 라인이, 2024년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8.5세대 IT 라인이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폰용 소형 OLED의 기판 면적은 2022년 rigid OLED용 라인 캐파는 529만㎡로서 24.8%의 점유율 차지하며, 향후 Rigid OLED의 투자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플렉시블 OLED용 캐파는 1530만㎡로 전체의 71.5%며, 2024년부터 삼성디스플레이의 A3 라인 일부가 IT용 라인으로 전환되며 양산 캐파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폴더블 OLED용 라인 캐파는 2022년에 79만㎡, 2023년부터는 152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의 IT용 라인 캐파는 2024년 상반 A3 라인이 일부 IT용 라인으로 전환 예정이다. 2024년에는 신규로 8.5G 라인이 가동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