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츠로셀이 국내 최초 우주용 배터리팩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비츠로셀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과 지난 6월 7일 ‘차세대발사체 탑재용 국산화 배터리 DM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항우연은 이번 개발 계약의 목표가 차세대발사체의 전원 공급용 배터리의 DM(Development Model)을 개발하는 것이며 개발 업체 선정 시 기업 규모, 개발 역량 및 납품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전했다. 또한 앞으로도 위성 발사, 우주 탐사 등 국가의 자주적인 우주개발 수요에 대응하고 미래 선도 기술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비츠로셀 관계자는 “그동안 축적한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 우주용 배터리팩 개발에 반드시 성공하겠다”며 “이번 계약을 계기로 비츠로셀이 우주산업이라는 신규 시장에도 진출할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美 반덴베르그 우주군 기지서 스페이스X 트랜스포터-9 활용...통신 설정 구축 지구 관측 및 자연재해 솔루션 업체 아이스아이(ICEYE)가 이달 11일 합성개구레이더(Synthetic-Aperture Radar 이하 SAR) 위성 네 개 기 발사에 성공했다고 알렸다. 이날 발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베르그 우주군 기지(Vandenberg Space Force Base)에서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소형 위성 승차공유에 활용되는 스페이스X(SpaceX)사 트랜스포터-9(Transporter-9)이 활약했고, 현재 각 우주선 간 통신 설정이 완료된 상태다. 이번에 발사된 아이스아이 3세대 위성에는 50cm 지상 해상도 지구 영상 획득이 가능한 ‘스폿 파인(Spot Fine) 모드’, 실시간 지상 변화 감지 시스템 ‘드웰(Dwell) 모드’ 등 기존 아이스아이 위성영상 기능을 개선한 기술이 적용됐다. 라팔 모드르제브스키(Rafal Modrzewski) 아이스아이 공동 창립자 겸 CEO는 “아이스아이는 빠른 주기로 영상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탄력적인 위성군을 배치하고 있다”며 “이번 발사로 고객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 기술 발전을 추구한 아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