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로봇 개발 프로젝트 성료...농업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력 입증 다목적 로봇 ‘옴니파머(Omni Farmer)’, AI 비전 기반 오이 수확 성공률 99% 구현해 메타파머스가 로봇산업진흥원 주관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사측은 지난해 3월부터 진흥원의 ‘오이 로봇 개발 및 실증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규제혁신 로봇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농업 현장의 인공지능(AI) 자동화를 목표로 한 과제다. 메타파머스는 ‘수확 성공률 99% 그리퍼(Gripper)’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요기관 농장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AI 기반 시각서보제어(Visual Servoing) 기술과 그리퍼를 통합했다. 이러한 융합 기술을 통해 오이 수확 공정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후 시스템화했다. 이때 시각서보제어는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나 비전 센서에서 얻은 시각 정보를 활용하는 기술이다. 그리퍼는 과실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용 제품이 시스템에 탑재됐다. 메타파머스 연구진 측은 수요기관 농장에서 테스트를 반복하며 작물의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파지·수확 방식을 검증했다. 무엇보다도 오이의
30억 원 규모 프리A 시리즈 투자 확보 농작업 로봇 ‘옴니파머(Omni Farmer)’ 기술 고도화 및 상용화 ‘청신호’ “농촌 인력난 해결과 농업 패러다임 전환의 게임체인저” 메타파머스가 30억 원 규모의 프리A 시리즈를 통한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사측은 이번 투자를 통해 다목적 농작업 로봇 ‘옴니파머(Omni Farmer)’의 기술 고도화와 상용화 준비에 집중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에는 옥타곤벤처파트너스가 리드 투자사로 참여했으며, 퓨처플레이·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가 공동 투자사로 힘을 보탰다. 고령화로 심화되는 농촌 인력난을 해결하겠다는 비전 아래 개발 중인 옴니파머는 인공지능(AI) 로보틱스 기술이 그 기반이다. 수확·수분·선별·예찰 등 다양한 농작업을 단일 플랫폼에서 처리하는 범용 로봇이다. 특히 작물 인식 AI와 교체형 로봇 그리퍼를 통해, 전통 농장부터 수직 농장, 온실까지 폭넓게 활용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메타파머스는 이러한 기술을 필두로, 지난 1월 개막한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AgTech 혁신상을 포함한 여러 글로벌 상을 수상했다. 또한 농촌진흥청으로부터 AI 기반 생육 예측 모델을 이전받아 성능을 한층 끌어올렸다.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