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스토리지, 서울 행사서 데이터 주권·AI 플랫폼·사이버 복원력 전략 발표 데이터 주권이 지정학·규제 환경에서 핵심 비즈니스 리스크로 부상 구독형 스토리지 모델과 고객 사례로 안정적 확장성과 성능 입증 데이터 주권은 단순히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누가 그 데이터의 통제권을 갖고 활용과 보호를 주도하느냐와 직결된다. 데이터 주권이란 데이터의 저장·관리·활용 권한을 외부가 아닌 기업과 국가가 직접 보유하고 통제하는 개념으로,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규제 강화 속에서 핵심 가치로 부상했다. 해외 인프라 의존이 커질수록 데이터는 외부에 축적되고 통제권은 약화된다. 이는 곧 매출 손실, 규제 위반, 고객 신뢰 상실로 이어질 수 있어 데이터 주권은 생존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전략적 과제로 자리잡았다. 퓨어스토리지는 30일 열린 연례 사용자 컨퍼런스 ‘퓨어//액셀러레이트 서울 2025’에서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는 전략을 발표했으며 동시에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했다. 미디어 브리핑에서는 전인호 퓨어스토리지코리아 지사장, 프라튜시 카레 퓨어스토리지 아시아태평양·일본(APJ) 시스템 엔지니어링 부사장, 숀 한센 퓨어스토리지 코어 플랫폼 사업부 총괄 겸 부사장이
람다256이 퓨어스토리지의 서비스형 스토리지(Storage-as-a-Service, STaaS) 플랫폼 에버그린//원(Evergreen//One™)을 도입하며 블록체인 서비스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퓨어스토리지는 지난 25일 람다256이 블록체인 노드와 데이터 서비스 운영에 있어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사 STaaS 플랫폼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람다256은 블록체인 노드 서비스와 데이터 인덱싱 서비스 ‘노딧(Nodit)’을 제공하며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20개 이상의 퍼블릭 체인 운영 과정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했고 노드 복구 시 스냅샷 기반 디스크 볼륨 복원에 수 일이 소요되는 등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의 제약에 직면했다. 특히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 4개의 노드를 운영해야 했고 스토리지 비용 역시 비례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람다256은 퓨어스토리지 에버그린//원을 도입해 운영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에버그린//원은 SLA 기반으로 성능과 용량을 설정하면 퓨어스토리지가 적합한 스토리지로 자동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구독형 서비스다. 이를 통해 람다256은 스토리지 관리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