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경영 5대 혁신과제’ 공개 ‘친환경 자동차 부품’ 및 ‘RnA 솔루션’으로 미래가치 창출 목표 밝혀 현대위아가 지속가능경영 활동과 향후 경영 목표를 담은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 현대위아는 주요 경영 성과와 향후 목표를 고객과 주주 등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현대위아 2022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현대위아는 보고서에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생태를 유지하는 친환경 경영을 강화한다는 목표를 분명히 했다. 이와 함께 ‘친환경 자동차 부품’과 ‘RnA(로봇 및 자율주행) 솔루션’을 중심으로 미래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위아는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경영 5대 혁신과제’를 공개했다. ▲온실가스 및 에너지 저감 ▲사업장 및 주변 대기환경 보전 ▲폐수처리 및 재활용 ▲자원 재순환 활동 ▲유해물질 관리 등이다. 현대위아는 이 과제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환경을 보전해 간다는 계획이다. 중장기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도 공표했다. 오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1년의 40% 수준으로 줄이고 2040년에는 10% 수준까지 낮추기로 했다. 이
삼성전자는 올해 출시된 비즈니스 모니터 전 제품에 대해 친환경 인증을 받고 B2B 모니터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 삼성전자는 10일, 2015년 비즈니스 모니터 46개 전 모델(SE200, SE450, SE650, SE650C, UE850)이 세계적인 인증전문 기관인 인터텍(Intertek)으로부터 친환경 인증인 ‘그린 리프 마크’(Green Leaf Mark)’ 를 받았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비즈니스 모니터는 재활용 소재를 업계 최고 수준인 30% 이상 사용하고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친환경 기술을 적용했다. 특히 SE450과 SE650 모델은 모니터 전원을 끈 상태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0.00W(IEC62301 및 EN 50564:2011기준 0.005W 이하)로 줄이는 ‘에코 파워 오프(ECO-Power Off)’ 기술을 적용해 인터텍으로부터 에너지저감 기술을 검증받았다. 올해 전 세계 모니터 판매량은 1억1천만대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인 61%가 B2B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증으로 기업 고객이 요구하는 친환경 기준을 충족하게 돼 더욱 적극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