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이 동형암호 기술 스타트업 크립토랩과 유전체 데이터 동형암호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21일 진행했다. 마크로젠은 크립토랩과 동형암호 기술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적용 확대를 위한 기술교육 및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기술 적용 결과 상호 공유 및 서비스 실증을 위한 협력을 지속한다. 동형암호는 고객 정보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차세대 암호기술이다. 암호화한 상태에서 계산한 값과 암호화하지 않고 계산한 값이 같아 '동형'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데이터 유출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물론 민감한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어 '꿈의 암호'로 불린다. 이번 협력에 기반해 마크로젠은 유전자 검사로 질병을 예측하는 다중유전자 위험 점수(PRS) 분석을 시작으로 서비스 전 영역에 동형암호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마크로젠은 4세대 암호기술 동형암호를 업계 최초로 도입하기 위해 크립토랩과의 협약을 추진했다. 앞서 마크로젠은 ▲국제표준 정보보호 인증(ISO27001) ▲국제표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O27701)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통합인증(ISMS-P) 등 국내·글로벌 수준의
12개 대학 암호동아리 선정...연구 활동비 등 지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한국암호포럼, 국가정보원 후원으로 '2023년 대학 암호동아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2016년 시작해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 해당 사업은 국내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암호기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디지털 시대가 필요로 하는 암호기술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KISA는 그동안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잠시 중단했던 대학 암호동아리 위촉식을 지난 13일 진행하고 대학 암호동아리 대표자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올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대학 암호동아리는 2022년 최우수 암호동아리로 선정된 성신여대 '융보공'을 비롯해 한성대 'Quantum Ant', 서울과기대 'STCE', 부산대 'Cryptic', 순천향대 'Hedgehog', 성신여대 'S-CRYPTO', 아주대 '암후', 국민대 'FaS', 단국대 '튜링', 고려대(세종) 'KoRec', 한양대(ERICA) 'HYCrypto', 공주대 'KNU-SEC' 총 12개다. KISA는 올해 선정된 동아리에 연구 활동비 각 300만원을 지원하고 한국암호포럼이 주관하는 각종
[첨단 헬로티] 임베디드 가상화 및 보안 SW 전문기업 쿤텍(대표 방혁준)이 모바일 앱과 IoT 기기 사용자 정보 보안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보호 솔루션 ‘화이트크립션 코드 프로텍션(whiteCryption Code Protection)’과 ‘화이트크립션 시큐어 키 박스(whiteCryption Secure Key Box)’를 국내에 출시하고, 모바일 및 IoT 보안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섰다. 최근 ICT 기술은 의료, 가전, 건축 등 다양한 전통적인 산업 분야와 융합하여 홈IoT, 커넥티드카, 스마트 빌딩, 의료 IT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를 적용한 스마트 기기는 결제 정보, 개인 생체 정보, 보험 기록 등 매우 민감한 정보를 다루고 저장한다. 하지만 기존의 서버와 네트워크 중심의 보안과 달리 주요 정보와 암호키가 스마트 기기에 있기 때문에 공격자의 위협에 상시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기기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게이트웨이, 단말기 같은 장비들은 장비의 무결성을 보호하고 검사하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보안 신뢰성 플랫폼 모듈인 TPM(Trusted Platform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