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탄소중립산업포럼, 27일 일산 킨텍스서 개최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 세계 배터리&충전 인프라 엑스포 등 동시 개최 탄소중립을 위한 국내 산업계의 미래 전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열렸다. 2023 탄소중립산업포럼(이하 포럼)이 27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지난 2015년 유엔이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목표를 수립한 이후,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 선언을 통해 탄소중립 선언에 동참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40% 감축을 목표로 내걸었다. 특히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환경부는 지난 3월 ‘제1차 국가 탄소중립 〮 녹색성장 기본계획안’을 발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2027년까지 89조 90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만큼, 탄소중립은 국가 산업 전략에 중요한 키워드로 자리잡았다. 탄소중립산업포럼 위원회가 주최한 이번 포럼은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 세계 배터리&충전 인프라 엑스포, 세계 그린뉴딜 엑스포, 세계 에너지저장시스템 엑스포와 동시 개최, 참관객들이 재생에너지, 이차전지 등 탄소중립과 관련한 다양한 전시도
30일 세계 에너지 신산업 투자 & 미래전략 컨퍼런스 개최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일산 킨텍스서 개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현황과 향후 전망을 논의하는 장이 열렸다. 세계 에너지 신산업 투자&미래전략 컨퍼런스가 30일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탄소중립산업포럼이 주최한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건국대학교 박종배 교수, 한화투자증권 전우제 애널리스트, 신한금융투자 함형도 애널리스트, 유진투자증권 이재일 애널리스,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유수 본부장, 김앤장 김동수 ESG경영연구소장 등이 발표자로 나서 에너지 산업의 전망과 투자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건국대학교 박종배 교수는 "우리나라는 세계 10위 에너지 다소비국이면서 저효율 소비국"이라면서 "에너지소비의 62%가 산업부문에 있는 만큼, NDC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선 산업 부문의 에너지 효율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박 교수는 "도매 전력시장, 소매 전기요금은 20년 전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신재생 등에 한해 소비자 사이 직거래 허용 등 규제 완화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화투자증권 전우제 애널리스트는 "최근 원자력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려 배터리 충전 인프라, 에너지 저장시스템, 그린뉴딜 등 엑스포 동시 개최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산업 관련 동향과 전망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렸다. ‘2022 태양광·ESS·그린뉴딜 엑스포’가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같은 장소에서 ▲2022 세계 배터리 & 충전 인프라 엑스포 ▲2022 세계 에너지저장시스템 엑스포 ▲2022 세계 그린뉴딜 엑스포가 동시 개최된다.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 조직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충북테크노파크, 녹색에너지연구원, 한국건물태양광협회,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한국태양광발전학회, 전국태양광발전협회, 한국태양광공사협회, 한국태양광·ESS리더스포럼, 인더스트리뉴스, 월간 솔라투데이가 공동주관으로 참여한다. 전시회에는 국내 신재생에너지기업뿐만 아니라 여러 글로벌 기업들까지 참여했다. .태양광 셀 & 모듈, 태양광 생산장비, 태양광 소재 및 부품, 태양광 전력 및 발전설비, 태양광 구조물 및 설치시스템, 빌딩 및 산업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솔루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