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반도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전력 소비가 80% 이상 차지
국내 기업 다수가 저탄소 에너지 확보에 어려움 겪어 전체 반도체 생태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80% 이상이 전기 소비로 인한 간접 배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의 에너지협의체는 '국내 저탄소 에너지 확대 및 조달을 위한 과제와 잠재적 해결 방안' 보고서에서 "반도체 가치사슬상 탄소 배출량 중 83%가 전기 사용에서 비롯했다"며 "저탄소 에너지 공급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에서 활동하는 기업 중 다수가 저탄소 에너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한국은 최대 전력망 배출 집약도에서 8위, 최저 저탄소 에너지 비율에서 6위에 올랐다. 정부는 전력 발전 믹스 내 저탄소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2022년 36%에서 2030년 53%로 확대하는 목표를 수립한 상태로, 해당 증가분 가운데 태양광 및 풍력은 약 60%, 원자력은 30%, 저탄소 연료는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SEMI는 "한국의 저탄소 에너지 시장은 2030년의 목표 대비 15∼30TWh(테라와트시) 격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격차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