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그넥스는 2021년에도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물류 수요에 맞춰 물류 자동화를 구축했다. 코그넥스의 고객이 최종 소비자에게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했다. 궁극적으로 코그넥스 물류 비즈니스 성장 및 물류 사업부 내에서의 매출향상으로도 이어졌으며, 2020년도 대비 2021년도에 약 150%의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다. 올해에는 급변하는 물류 니즈 및 물류 4.0 트렌드에 맞춰 물류사업부를 세분화해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코그넥스코리아 물류사업부를 책임지고 있는 박민홍 상무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질문. 물류4.0과 코그넥스의 역할은 무엇인가? 답변. 물류 4.0이란, 물류의 기계화와 자동화를 뛰어넘어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로봇, 자율주행차 등의 첨단 ICT 기술을 적용해 물류센터의 무인화와 공급사슬의 물류기능 표준화가 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류 4.0에서의 코그넥스의 역할은 고객이 IoT, 빅데이터, 인공 지능과 같은 첨단 ICT 기술 적용시, 코그넥스가 HW(비전카메라, 바코드 리더기)/SW(코그넥스의 인공지능 솔루션)을 제공, 고객이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바코드 리더기는 생산 또는 물류에서 상품과 자재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이다. 그들은 여러 표준 중 하나를 충족하는 바코드를 감지한 다음 상위 시스템에 바코드의 ID를 제공하여 이를 수행한다. 자동화된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 때 주요 목표는 가능한 최고의 판독 품질을 달성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바코드 판독기가 라벨을 감지할 때 이 작업을 수행하는 품질이 달라지며 이 품질을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다. 백분율은 감지된 대비와 관련이 있다. 값이 특정 임계값 미만이면 라벨을 더 이상 읽지 않는다. 시스템 운영자가 직면한 한 가지 과제는 바코드 판독기가 더 이상 충분한 판독 품질을 제공하지 않을 때 가능한 한 빨리 바코드 판독기를 찾고, 가능한 오류 소스에 대한 추가 데이터 없이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대형 시스템(예: 최대 1,000개의 바코드 판독기 및 1km 길이의 운송 경로)에서 검색은 건초 더미에서 바늘을 찾는 것과 같다. 의심스러운 경우 기술자는 시간적 압박을 받는 동안 제대로 정렬되지 않은 센서 또는 직접 환경의 간섭 요인을 식별하기 위해 운송 물질의 전체 경로를 추적해야 한다. 바코드 판독기가 어
[첨단 헬로티] “55년 업력의 전문성 갖춘 포트폴리오 제공으로 고객의 마음을 잡겠다.” 로이체는 독일 센서 전문기업으로, 인더스트리4.0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통합 연결성과 데이터 관리, 안전 솔루션 등에 중점을 맞추어 매년 신제품 개발과 솔루션 제공에 힘쓰고 있다. 최근엔 현장에서의 안정 규정이 더욱 강화되면서 안전 제품에 대한 포트폴리오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고 한다. 로이체 안우진 과장은 “새로운 고객 발굴과 시장 분석을 통해 시장 지향적인 솔루션을 고객과 함께 만들어감으로써 점유율과 인지도를 늘려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로이체의 역점 사업과 앞으로 계획을 안우진 과장에게 들어봤다. ▲ 로이체 안우진 과장 Q. 주력사업과 경쟁력은. A. 로이체는 산업자동화를 위한 스위칭, 측정, 자동식별 시스템, 이미치 처리 솔루션, 안전 제품의 센서를 판매하고 있는 55년 업력의 독일 센서 기업이다. 지금은 우리의 핵심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는 전문화된 포트폴리오와 직관적인 사용법, 고객 지향적인 제품군들, 스마트한 서비스 역량 등을 기반으로 물류, 전자, 자동차, 포장, 공작기계 등 다양한 산업군에 센서 솔루션을 공급하
Flex-IDTM Pro 기술로 유연하고 뛰어난 바코드 판독 성능 제공 DPM 방식의 바코드 판독은 대상 물체의 표면 재질과 바코드 마킹 방식에 따른 마킹 품질 차이가 가져오는 난독 상황을 극복하는 것이 판독의 관건이다. 라온피플의(LaonPeople)의 Flex-IDTM Pro 기술은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적이고 유연하게 바코드를 판독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Direct Part Marking(DPM) 방식이란 바코드가 종이에 잉크로 인쇄되지 않고 도트핀(dot peen) 형태나 레이저 에칭(laser etching), 케미컬 에칭(chemical etching) 등으로 바코드를 대상 물체(금속, PCB 기판, 실리콘 등)의 표면에 직접 새기는 인쇄 방식을 의미한다. 종이에 인쇄되는 일반 바코드의 경우 종이 표면에서 자연스러운 빛의 산란이 발생하여 별도의 처리 없이도 선명하게 배경과 구분되는 바코드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바코드 형태 또한 연속되는 정확한 형태를 나타낸다. 반면 DPM은 바코드가 새겨진 물체의 특성에 따라서 빛의 반사되는 특성이 달라진다. 바코드의 인쇄 형태 또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종이 위에 인쇄된 바코드를 처리하는 방식으
일찍이 바코드 산업에 몰두해 온 티비에스는 일본 도시바 테크와의 협력을 계기로 고급 기술력 보급과 제품 일반화를 통해 국내 유통 및 자동화 산업 발전에 매진해 왔다. 액세스 컨트롤 시스템 및 데이터 통신 컨트롤러, 바코드 판독기 등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을 자체 개발해 보유하고 있으며, 바코드 프린터를 활용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995년에 설립된 티비에스는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를 통해 차별화된 제품, 기술력과 신용을 갖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전력질주하고 있다. 최상의 품질과 정밀도가 요구되는 유통용 필름 마스터, 바코드 데이터, 라벨 및 태그 제작을 비롯해, 스피드와 기술력을 자랑하는 바코드 프린터, 바코드 리더, 핸디 터미널, 검증기, RF/DC 시스템, 오토 ID 시스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으며 ITW 특수필름의 국내 대리점으로서 바코드 리본 공급 등 자동인식 분야의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티비에스의 프린터 중 B-EX4T2 시리즈는 최대 304mm/sec의 속도로 초고속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에너지 스타(Energy Star) 마크를 획득함에 따라 저전력 소비로 사용자의 전력 소비 절약 효과에 도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