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한옥의 대중화와 산업화를 이끌 한옥 설계 및 시공관리 전문가 양성에 나선다. 6월 2일부터 전국 100명의 교육생을 모집하며, 교육비는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번 교육은 한옥 건축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실제 건축 현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옥의 대중화, 14년간 1,480명 배출 성과 이어져 국토교통부는 2011년부터 한옥 전문인력양성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현재까지 총 1,480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이들은 실제 한옥 관련 시공 관리 공사 수주나 설계 공모 당선 등 구체적인 성과를 내며 한옥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교육은 명지대학교와 전북대학교가 각각 한옥 설계 과정을, 전북대학교가 한옥 시공 관리자 과정을 전담하여 진행한다. 특히, 명지대학교와 전북대학교는 지난 5월 공모 과정을 거쳐 한옥 전문인력양성 사업을 전담할 교육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한옥 설계 및 시공관리, 전문 역량 강화에 초점 이번 한옥 전문 인력 양성사업은 한옥 설계 과정과 한옥 시공 관리자 과정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한옥 설계 과정은 정규 학교 교육이나 기존 한옥 대목수 교육만으로는 양성하기 어려웠던 한옥 설계 전문가를
[첨단 헬로티] 인공지능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대표이사 김계관)은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와 RPA+인공지능 기술을 연계한 교육 과정 개설을 위해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최첨단 Hyper Automation 기술의 저변 확대와 기술 전문 인력의 양성, RPA 플랫폼 확대를 위한 공동 연구 등 산학이 힘을 합쳐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자는 취지에서 진행됐다. ▲ (좌측부터) 김태영 명지대 IPA사업단 특임교수, 강영식 명지대 IPA 사업단장, 김계관 그리드원 대표, 장석수 그리드원 부사장. 이번 협약을 계기로 RPA와 AI 기술을 동시에 보유한 그리드원과 IPA(Intelligent Process Automation) 사업단을 통해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에 전문성을 가진 명지대가 공동으로 RPA+AI 연계 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교육 과정은 최근 RPA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결합한 자동화 업무 영역 확대가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두 기술을 연계한 국내 최초의 교육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드원은 이번 교육 과정 개설 시 소프트웨어 로봇을 비롯한 자사의 프로그램을 강의용 소프트웨어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