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 중앙화 원격 생체인증 솔루션 기업인 고스트패스는 CES 2024에서 방문객들이 솔루션을 부스에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한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CES 2024 고스트패스 부스에서는 본인의 스마트기기(스마트폰)에 저장된 생체정보로 본인인증과 결제가 더욱 안전하고 간편하게 진행되는 솔루션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고스트패스는 이번 CES 2024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스마트시티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고스트패스는 현재 스마트홈 전문기업과 PoC를 진행 중에 있으며 CES 전시 이후에 보안, 건설분야의 기업과의 협업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고스트패스 코어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락, 월패드, 로비폰 등의 형태로 적용되며 주상복합건물과 호텔, 리조트 분야 등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해외 수출 계획도 함께 고려하고 있어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스트패스는 현재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솔루션을 고도화했으며 본격적인 솔루션 공급을 앞두고 있다.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가 더욱 엄격해진 만큼 고스트패스의 코어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업과의 만남을 기대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이선관 고스트패스 대표는 "고스트패스 기술은 기존의 생
[첨단 헬로티] 무선 네트워크 및 IoT 보안 기업 노르마가 6일부터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세계보안엑스포(SECON) & 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eGISEC) 2019’에 참가, IoT 디바이스 해킹을 시연하고 AI 기반 보안 솔루션 ‘IoT 케어(IoT Care)’를 집중 소개할 예정이다. 올해로 3회째 세계보안엑스포에 참가한 노르마는 그동안 차량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성을 보여줬다. 이번에는 중국 최고의 인터넷 보안 회사 ‘치후(Qihoo) 360’과 공동으로 ‘RF 통신을 이용한 IoT 기기 해킹 시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 디지털 도어락 해킹 시연 노르마는 홈 IoT 기기의 보안 취약성을 알리기 위해 RF 통신 기반의 디지털 도어락을 모의 해킹한다. 도어락은 ‘신호 재전송 공격’을 통해 10초 내에 해킹이 가능하다. 문을 열 때 월패드에서 발생하는 무선신호를 송수신기기로 잡아낸 뒤 무선신호를 복사하고 증폭해 공격하는 해킹 수법을 시연을 통해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치후 360은 건물 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