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노도테크놀로지는 직관적인 기능이 강화된 디노도 플랫폼 9.2(Denodo Platform 9.2)를 새롭게 발표했다. 디노도 플랫폼 9.2는 디노도 플랫폼의 시맨틱 레이어와 논리적 데이터 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지난 11월 발표한 디노도 플랫폼 9.1에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생성형 AI 이니셔티브 지원 강화 ▲데이터 프로덕트 개발 도구 등 직관적인 기능을 추가했다. 비즈니스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얻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디노도 플랫폼 9.2의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는 가장 적합한 비즈니스 맥락을 찾아 반영하는 시맨틱 레이어와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인공지능을 사용해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추천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데이터 마켓플레이스에서는 업무 역할에 상관없이 누구나 데이터 사용에 대한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더 직관적이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는 애플리케이션과 분석 도구에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대시보드와 리포트에서 어떤 데이터 프로덕트가 사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뷰를 제공한다.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 언어 선택이 가능하며 이는 다국적 기업에 유용하다. 스튜
AI 시대 민간 데이터 결합 가속… 소비 패턴 분석부터 복지 정책 활용까지 실질적 가치 창출 기대 SK텔레콤은 민간 기업의 데이터 협력 얼라이언스 '그랜데이터'(GranData) 사업에 이마트가 신규 합류했다고 6일 밝혔다. 기존 '그랜데이터' 사업 참여사로는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신한카드·코리아크레딧뷰로(KCB)·카카오모빌리티 등이 있다. SKT 등 '그랜데이터' 참여사들은 지난 3일 서울 을지로 SK T-타워에서 이마트와 데이터 협력을 다짐하는 협약식을 열고,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 소개 및 데이터 활용 방안, 사례 등을 공유했다. '그랜데이터'는 2021년 SKT∙신한카드∙KCB가 공공∙민간 분야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과 민간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출범시킨 민간 데이터 결합 사업이다. 참여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는 익명·가명 처리돼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의 복지, 마케팅 사업 등에 활용된다. 특히 인공지능(AI) 시대에 들어 AI 모델링 등 데이터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그랜데이터' 사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합류한 이마트는 2천400만 회원이 이용하는 신세계포인트 전 가맹점의 회원 소비 정보와 이마트 품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