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커머스 업체 ‘레디얼 유럽’ 네덜란드 소재 물류센터에 프로세스 자동화 혁신 제공 AMR 299대 배치해 물류센터 내 물품 운송 임무 수행 데마틱이 이커머스 업체 레디얼(Radial) 유럽 지사가 관장하는 네덜란드 흐로닝언주 소재 물류센터에 자율주행로봇(AMR) 299대를 수주했다. 해당 AMR은 물류센터에 배치된 팔레트와 토트를 이송·피킹 스테이션으로 옮기는 공정에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대형 스토리지 베이로 팔레트를 운반하는 공정에서 해당 팔레트를 이송·피킹 스테이션 랙으로 운반한다. 아울러 자동화된 하이 베이(High Bay) 창고에서 팔레트를 운반하는 프로세스에서 분할 케이스 주문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팔레트를 피킹 스테이션으로 이송한다. 또 여러 층으로 구성된 선반에서 포장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이송하기도 한다. 래디얼 측은 데마틱 AMR을 통해 창고 운영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주문 처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케빈 히스(Kevin Heath) 데마틱 로봇 솔루션 부문 글로벌 디렉터는 “데마틱의 AMR 솔루션은 각 현장에 맞춤형으로 배치돼 효율성 향상, 유연성 증대, 미래 확장성을 보장한다”며 “직원·고객 등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이
전선민 KISDI 부연구위원, 이사회 작업반 부의장 선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이하 ITU) 이사회의 ‘세계정보사회정상회의(WSIS)&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사회 작업반(이하 CWG-WSIS&SDG) 부의장으로 전선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선출됐다고 23일 밝혔다. CWG-WSIS&SDG는 ITU 내 세계정보사회정상회의 결과 및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을 촉진하고 조정하기 위한 논의 전담 작업반이다. 전선민 부연구위원은 아태지역을 대표해 앞으로 4년 동안 부의장직을 수행할 예정이다. 전 부연구위원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ICT 분야 국제협력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이다. 그동안 2022 세계전기통신개발총회(WTDC-22) 본회의작업반 의장, 2022 국제전기통신엽합 전권회의(PP-22) 정책·법률위원회(COM 5) 의장을 역임했다. 또 현재 ITU 개발부문(ITU-D) 연구반 2(SG 2) 부의장직을 담당하고 있다. 전선민 부연구위원의 이번 이사회 작업반 부의장 선출은 해당 분야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가 논의를 주도하는 데 기여할 것
개발자 커뮤니티 ‘데보션’ 중심으로 개발 생태계 발전 위해 노력할 것 SK텔레콤이 SK ICT 패밀리가 보유한 기술 역량을 스타트업, 대학 등 외부 개발자들과 교류하고 소통하기 위해 기술 공유 행사 '데보션 테크데이'를 29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개발자들을 위한 영감의 바다는 뜻을 가진 ‘데보션’은 작년 6월 SKT가 SK하이닉스, SK(주)C&C, SK브로드밴드, SK플래닛 등 SK ICT패밀리 소속 개발 전문가들과 외부 개발 인재 간 소통을 위해 만든 개발자 커뮤니티다. 데보션은 매월 다양한 업계의 개발자들이 개발 관련 트렌드를 공유할 수 있는 세미나를 열고 개발 관련 유익한 콘텐츠를 담은 데보션 레터를 발송하는 등 개발자 생태계의 발전을 위해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데보션 테크데이는 SK에서 개발한 기술 및 솔루션에 대해 외부 개발자들에게 소개하는 행사로 매 분기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제1회 테크데이에서는 쿠버네티스 기반의 컨테이너 기술을 시연하고 상용화 사례를 소개한다. 컨테이너 기술은 앱,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하는 기술이다. 앱과 서비스의 출시와 업데이트가 증가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컨테이너 기술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가상화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제조업 분야 AI, 빅데이터,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산업일자리고도화기술개발’을 '21년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글로벌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이 사업은 학습과 경험을 통해 개인 또는 해당 직무에 필요한 지식인 암묵지를 디지털화해 AI분석하고, AR 등 신기술을 적용해 생산성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30억 원의 규모로 ▲휴먼팩터 기반 수동용정기술 현장지식 자산화 시스템 기술개발 ▲검수작업자 인지능력 증강을 위한 디지털 검수 공정 테이블 및 편의기술 개발 ▲작업 노하우 기반의 생산장비 운영 및 관리 고도화 기술개발 ▲제조산업 현장지식 자산화 및 확산을 위한 업종간 핵심역량 분석기술 개발 ▲노동집약적 제조공정의 숙련공 노하우 확산 기술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한다. 황수성 산업정책관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플랫폼 등 산업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우리산업의 경쟁력을 지속 확보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통해 ‘디지털전환 시대에 걸맞은 산업현장’을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사장 김종갑) 전력연구원이 전력계통 주파수를 공부하는 학생과 전문가를 위해 ‘발전소 터빈과 전력계통 주파수 제어’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발전소 터빈과 전력계통 주파수 제어 책은 발전기와 주파수의 관계를 이론과 실무에서 얻은 지식을 수록한 책이다. 전력설비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와 생산된 전력을 수송하고 분배하기 위한 송전선로, 변전소, 배전선로 등 수송설비로 구성된다. 전력계통 내부의 전기를 일정한 주파수로 제어하기 위해선 유효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 터빈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책은 저자가 근무하면서 얻은 실무 지식과 발전소 터빈 제어 시스템을 연구 개발해 현장에서 습득한 기술적인 내용 등이 담겨있다. 저자는 원동기인 터빈과 피동체인 발전기와 전력계통 주파수의 관계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도록 실무에 이론을 접목하여 설명했다. 또, 최근 화두인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역할과 제어, 터빈계통과 증기터빈의 과속도 보호 등에 대한 내용도 다루었다. 저자인 최인규 한전 전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책이 발전소 현장의 계측제어 기술자들과 터빈과 전력계통 주파수 제어에 관심을 갖는 모든 분들께 전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