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식 가스센서 수분문제 해결,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게재 미세먼지 예보 등 대기 질 관측이 일상화되면서 공기 중 특정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가스센서 중에서도 크기가 작고 작동이 쉬우며 제작비용이 적게 드는 반도체식 가스센서가 주목받고 있지만, 여러 가스가 혼재돼 있을 경우 감지 신뢰성이 떨어지고, 고온에서의 화학적 내구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특히 고습한 환경에서 감도가 낮아져 센서 신호가 변하는 치명적 단점 때문에 별도의 습기 제거장치를 부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센서의 부피가 커지고 가격도 높아져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칼슘실리케이트의 수분 흡착층을 활용해 나노시트를 제조하고, 이를 기반으로 반도체식 가스센서 실용화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습기 문제를 해결한‘나노시트 반도체 센서기술’을 개발했다. 생기원 기능성소재부품연구그룹 정영규박사 연구팀은 먼저 거미줄 구조를 갖는 기존의 주석산화물 나노와이어 사이에 2차원 형태의 칼슘실리케이트를 성장시켰다. 시멘트의 원료인 칼슘실리케이트(Calcium Silicate)는 보통 응집된 시트 형태로 존재하는데, 연구팀
“안전과 환경을 지키는 솔루션 제공으로 고객의 ESG 혁신에 일조하겠다.” 데키스트는 라디오노드라는 브랜드를 론칭하고 IoT 센서 모니터링 사업을 13년째 수행하고 있다. 데키스트 우원희 대표는 최근 콜드체인 시장의 빠른 성장과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에 따라 라디오노드 제품이 제조 현장에서 사람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한다. Q. 데키스트가 주력하는 사업은. A. 우리의 주력 분야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써멀벨리데이션(Thermal Validation) 시장, 즉 콜드체인, 제약, 바이오 산업군의 온도 관리와 같이 열에 대한 검증이 꼭 필요한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둘째는 환경 안전 분야이다.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다양한 유해한 가스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라디오노드는 IoT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가스센서를 클라우드 모니터링 솔루션과 함께 제공하고 있다. Q. 지난해 사업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도 라디오노드 제품의 매출은 성장했다. 성장률로만 본다면 기존 제품보다는 가스 센서를 탑재하고 있는 제품의 성장률이 크게 높아졌다. 2022년도에는 콜드체인 시장의 빠른 성장과 최근 중대재해처
[첨단, 헬로티] 고성능 센서 솔루션 기업인 ams는 주방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냄새, 가스 탐지를 위한 저전력 가스 센서인 ams iAQ-core 모듈의 최신 버전을 발표했다. iAQ-core K는 첨단 MEMS 가스 감지 모듈인 ams iAQ-core 제품군의 최신 모델로서, 기존 제품들과 동일하게 크기가 작고(18mm x 15mm) 견고한 패키지로 공급된다. 신제품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수증기나 먼지, 기름 때 오염 등에 대한 방지 기능을 갖고 있으며, 주방에서 종종 발견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과 습기에 집중적으로 노출되더라도 신뢰성 높은 동작 성능을 나타낸다. iAQ-core 제품군에 속하는 이 최신 모듈은 기존 버전 제품들이 제공하는 특징에 수증기,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음식 냄새를 포함한 주방의 악취들을 감지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결합하고 있다. 새로운 iAQ-core K는 VOC와 수증기의 상대 농도 측정값을 호스트 컨트롤러에 제공하는데, 이러한 아키텍처를 통해 주방 후드나 환기수요제어(Demand-Controlled Ventilation, DCV) 시스템이 팬 회전 속도를 자동
[첨단 헬로티] ams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CCS8xx 가스 센서 IC 제품군의 업데이트를 통해 초기화 시간을 단축하고 성능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ams는 이번에 CCS801아날로그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센서 IC의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CCS811 디지털 VOC 센서 IC의 펌웨어에 대한 주요 업그레이드를 통해 종전에 48시간 이상 걸렸던 초기화 시간을 약 1시간으로 대폭 단축했다. 이로써 TVOC(total VOC)나 eCO2(equivalent CO2)에 대한 상대값을 이용해 실내 공기질 수준을 표시하는 기능은 최종 제품에 전원을 켜자마자 거의 즉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곧, OEM이 공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번인(burn-in) 공정을 대폭 줄이거나 아예 없앨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들이 이 센서가 통합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제품을 구입해 사용할 때 바로 즉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CS8xx 제품군에 대한 이러한 성능 업데이트는 공기질 표시 범위를 ▲최대 eCO2 값: 8,194ppm에서 32,768ppm으로 확장 ▲최대 eTVOC